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두품종(大豆品種)과 선발(選拔) Rhizobium japonicum간의 숙주(宿主) 친화성(親和性)

        김창진,이윤,김성훈,유익동,민태익,Kim, Chang-Jin,Rhee, Yoon,Kim, Sung-Hoon,Yoo, Ick-Dong,Mheen, Tae-Ick 한국토양비료학회 1986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9 No.4

        우수(優秀) 대두접종제(大豆接種劑)로 이용할 균주(菌株)의 선발을 목적으로 국내(國內)에서 선발한 R. japonicum 균주(菌株)들과 현재 대두장려품종으로 보급되고 있는 대두품종들과의 상호(相互) 접종실험(接種實驗)을 통하여 숙주친화성(宿主親和性) 정도를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供試) 근류균주별(根瘤菌株別) 대두품종(大豆品種)과의 친화성(親和性) 정도를 보면 R. japonicum R-214, R-138 균주(菌株)가 근류형성능(根瘤形成能),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 및 총(總)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도 높아 대두품종(大豆品種)과 친화성(親和性) 범위가 비교적 넓었으며 R. japoncum R-224 균주(菌株)는 아주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2.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근류균(根瘤菌)과의 친화성(親和性)은 황금(黃金)콩, 장백(長白)콩 등이 높았으며 그 다음이 장엽(長葉)콩, 단엽(短葉)콩, 백운(白雲)콩, 동북태(東北太) 등의 순이었고 방사(放射)콩이 제일 낮았다. 3. 일반적으로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이 우수(優秀)한 균주(菌株)가 열등한 균주(菌株)보다 숙주친화성(宿主親和性) 범위가 넓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order to select suitable strains for utilization as soybean inoculants, the affinity between Rhizobium japonicum strains isolated from the domestic field and the several soybean varieties being distributed as recommended species was investigated by cross-inoculation experiment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Rhizobium japonicum R-214 and R-138 showed broad affinity range to varies soybean species in terms of the nodule forming ability, the nitrogen fixing activity and the amount of total nitrogen absorption. In contrast, Rhizobium japonicum R-224 showed very low affinity to the same soybean groups. 2. The affinity of Hwang-Keum Kong and Jang-Paeck Kong to the rhizobium strains was the most signigicant, and that of Jang-Yeop Kong, Dong-Buk Tae, Paeck-Woon Kong and Dan-Yeop Kong was also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Pang-Sa Kong showed low affinity to the strains. 3. In general, the strains having high nitrogen-fixing activity seemed to possess the broad affinity range to the soybean hosts.

      • SCOPUSKCI등재

        Glycine Effect on Spheroplasting and Nodule Bacteroids of Rhizobium Jjaponicum

        김성훈,김창진,이윤,유익동,민태익,Kim, Sung-Hoon,Kim, Chang-Jin,Rhee, Yoon,Yoo, Ick-Dong,Mheen, Tae-Ick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1985 미생물학회지 Vol.23 No.3

        Different spheroplasting methods using glycine were tried to fast and slow-growing R. japonicum. Although one of the fast growers, R-271 showed normal growth in the presence of 4mg/ml glycine, cell morphology and colony forming unit (CFU) were greatly different from the cells of late log phase grown in the medium without glycine. In parallel, R-271 became sensitive to lysozyme after 6hr incubation in medium containing glycine (3.5mg/ml). After 24hr cultivation in glycine $(100{\mu}g/ml)$ medium, one of the slow growers, R-214 was also susceptible to lysozyme action. Spgeroplasting frequency of both strains was over 96% by glycine and lysozyme. Spheroid cell was also found in bacteroids from root nodule and soluble glycine content was relativiely smaller than other amino acids in soybean nodule extracts. Glycine이 R.japonicum의 spheroplasting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Fast-growing R. japonicum R-271은 4mg/ml의 glycine 함유배지에서 생육이 정상이었으나 세포 형태는 배양시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colony 형성단위는 log-phasedlgn 현저히 감소하였다. R-271은 3.5mg/ml glycine 함유배지에서 6시간 배양후에, slow grower R-214는 0.1mg/ml glycine 함유배지에서 24시간 배양후에 lysozyme의 작용을 받았다. 두 균주 모두 이러한 처리에 의해 96%이상의 spheroplast 형성빈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spheroid-type cell은 대두근의 nodule에서 분리한 bacteroid에서도 관찰되었으며 nodule extract에 존재하는 유리 amino acid 중 glycine 은 다른 amino acid에 비해 소량 존재하고 있었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