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작 교육에서 학습자의 창의성 제고 방향 모색

        민정호(Min Jung ho),전한성(Jeon Han s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분야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전국 16개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진 16차시 문학 창작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사후 인식 설문 분석을 바탕으로 창의성 제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고에서는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분야의 특징을 밝히고, 창작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창의성 함양에서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밝혀보았다. 학생들은 창의성 영역 가운데 ‘호기심’, ‘심미성’, ‘사고 개방성’ 항목에서 ‘언어적 표현’과 관련된 부분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창작 교육에서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 다음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창작 과정에서 요구되는 창의성 영역의 모든 하위 구성 요소에 ‘언어적 인지’ 요소가 전제되어야 한다. 둘째, ‘호기심’, ‘심미성’, ‘사고 개방성’ 이외에 ‘표현성’이라는 요소를 추가하여야 한다. 셋째, ‘심미성’과 ‘표현성’이 ‘언어적 표현’이라는 측면에서 일부 겹치는 부분이 있으므로 이들 범주를 재개념화할 필요가 있다. 향후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분야에서 전개될 창작 교육은 이와 같은 세 가지 유의점을 적극 반영하여 학습자의 창의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direction of increase creativity of creative writing in Literary creative writing field at the school 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survey analysis of students’ awareness in pre creative class and post creative class. In this paper, we outlined the full content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field in The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clarified the lacking elements to get creativity based on survey analysis of students’ awareness about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in pre creative class and post creative class. In the survey analysis, we clarified the students’ lack of language expression among the creativity’s prerequisites. That’s why it presented the following three based of this for learner to get creativity in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First, the linguistic cognitive factors need to be strengthened among the required creativity’s element in the creative process. Second, It will be added ‘expressiveness’ in addition to ‘the spirit of inquiry’, ‘aestheticism’, ‘openness’. Third, ‘aestheticism’ and ‘expressiveness’ needs to re-conceptualize to prevent confusion of concepts in terms of the linguistic expression To be deployed effectively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of the school 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the classroom scene in the future, it will be reflected the three considerations and be applied the way to improve the learner’s creativity.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불교 문화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민정호(Min Jung 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한국어연수과정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에서 중요한 자리에 위치한다. 본 연구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동기가 되어 한국으로 유학을 오는 유학생이 많다는 것을 전제로 한국어연수과정에서의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새롭게 제안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외국인 유학생의 학습자 특수성과 외국인 유학생이 학습해야할 문화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내용 설정의 방향을 잡았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낮추 고, 한국의 전통문화와 일상생활 문화를 아우르는 문화교육이 가능하며, 한국문화와 한국어 교육을 함께 진행하는 방향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도출했다. 특히 불교에서의 사찰이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적용·운영하기에 최적의 공간이라 판단하고 사찰을 중심으로 활동을 제안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이 프로그램은 유학생의 한국어 수준을 고려해서 탄력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며, 심리치료와 문화체험이 함께 진행될 수있고, 한국문화와 한국어 교육이 통합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국어 연수과정의 문화체험활동을 위한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제안되어서 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질적 발전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Korean language training course is an important process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his study newly proposed a cultural experience program in the Korean language training course on the condition that there are many students studying in Korea due to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based on this, we have derived the contents of the new program in a way that lowers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students, that can provide cultural education encompass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daily culture in Korea, and that we conduct Korean cultur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ogether. In particular, temples are the best places to run such Buddhist-centered cultural experience programs. The program can be operated flexibly considering the Korean level of students, psychological therapy and cultural experience can be conducted together, and Korean cultur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conducted in an integrated manner. We look forward to developing and proposing more diverse programs for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Korean language training course so that the quality of cultural experience programs can be developed.

      • KCI등재

        학부 유학생의 비판적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강의 설계 방안 연구

        민정호(Min, Jung-Ho) 동악어문학회 2020 동악어문학 Vol.81 No.-

        ‘교양’ 과정에서 글쓰기를 배운 유학생이라도 ‘전공’ 과정에서의 학술적 글쓰기는 어렵다. ‘교양’ 과정에서 배우는 ‘학술 담화규약’이 텍스트의 ‘형식’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텍스트의 ‘내용’에서는 필자의 ‘비판적 리터러시’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 비판적 리터러시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강의 설계 방안을 밝혔는데, ‘읽기 내용’은 유학생에게 친숙하고, 학습 욕구가 강한 ‘한류’로, ‘읽기 자료’는 한류 관련 ‘신문 기사’로 선정했다. 이때 ‘읽기 방법’으로 ‘CDA’를 적용했고, ‘강의’는 읽기와 쓰기가 융합된 학술적 과제의 특징을 고려해서 ‘신문 기사를 읽고 쓰기’, ‘발표문을 읽고 쓰기’라는 ‘읽기․쓰기’가 통합되는 방향으로 구성했다. 또한 15주차 강의내용과 1차시 수업 예시를 제시하고, 이 강의의 교육적 함의를 밝혔다. 이 강의 설계가 교양과 전공을 연결해서 유학생의 비판적 리터러시를 강화시키고, 전공 과정에서 유학생의 글쓰기 어려움을 해소해 줄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premised on that even for foreign students, who learn writing i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academic writing in the Major Course is difficult, since academic discourse convention, they learn i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has positive effect on the ‘forms’ of text, whereas the ‘contents’ of text require ‘Critical Literacy’ of writers.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 related to this Critical Literacy, this study suggests a lecture plan, which uses ‘Hallyu’ that is familiar to foreign students and arouses a strong desire for learning, for ‘reading’ and Hallyu-related newspaper articles ‘as reading materials’. This time, ‘CDA’ is applied as ‘a way of reading’ and in the light of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ask combining reading and writing together, a ‘lecture’ is designed to integrate ‘reading and writing’, like ‘writing after reading newspaper articles’ and ‘writing after reading announcements’. Moreover, this study illustrates the contents of the fifth week lecture and the session 1 instruction by example and defines an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is lecture. It is expected that if this lecture is applied for foreign students, it will help in reinforcing critical literacy of foreign students and getting over the difficulty of writing in the major course.

      • KCI등재

        다문화가족이 함께 하는 한국어 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전한성(Jeon Han-sung),민정호(Min Jung-ho)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1 No.-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자녀들과 여성결혼이민자가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다문화가족 자녀와 여성결혼이민자가 함께 한국어를 공부하는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함이다. 특히 본 연구는 학령 전기 자녀들을 학습자로 선정하고 여성결혼이민자를 교수자로 설정했다는 특징이 있다. 다문화가족 자녀와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다. 다문화가족 자녀는 정체성의 혼란과 부모와의 갈등, 학업의 어려움과 대인관계결핍이라는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가정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 가정교육의 교수자로서의 위치를 잃고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문화가족이 함께 하는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 프로그램의 특징은 엄마는 교수자로서의 능력을 갖추고 자녀는 놀이와 체험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 엄마의 모국을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서 엄마는 교수자로서의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상담법’, ‘훈육법’, ‘한국어 교수법’, ‘한국 문화’ 등과 관련된 교육을 받는다. 자녀는 엄마를 이해하고 가족 및 친구와 올바른 관계 형성을 위해서 ‘다문화 교육’, ‘예절 및 관계교육’, ‘한국어 화법 교육’, ‘한국어 자모 교육’을 받는다. 그리고 엄마와 자녀는 함께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한국어’,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서로를 ‘이해’한다. 물론 이때 진행되는 교육은 ‘놀이’와 ‘체험’에 기반을 둔 활동이고 건전한 ‘경쟁’과 ‘협력’도 함께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that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study Korean with and to resolv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difficulties experienced by. In particular, this study is characterized that preschool children selected by the learner and married female immigrants was set up as a teacher.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lack proficiency in Korean. That’s why the children suffer from Identity confusion, interpersonal difficulties, conflicts with parents and the difficulty of learning. Married female immigrants lose their position as a teacher in Korea and Korean culture and home education at home and experience parenting stress. For solve this problem, it proposes ‘The korean learning program with a multicultural family’. Features of the program is that the mother has the ability as a teacher and that the children understand the culture of Korea, Korean and the country of mother. In this program, the mother receive training related to the Korea Culture, consultation process, discipline law, korean didactics to furnish abilities as a teach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ther and to make right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family, the children were educa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manners and relationships education, Korean Speech education, education Korean alphabet. While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with mother and children, they can understand Korean culture, even understand each other. The training course is being conducted activity based on "play" and "experience" and the children can learn ‘healthy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ogether.

      • KCI등재

        유럽지역의 한글학교 운영 모형 개발 방향 모색

        전한성(Jeon Hang-sung),민정호(Min Jung-ho)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4 No.-

        한글학교는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기관 중에서 기관수도 가장 많고 분포하고 있는 지역도 가장 넓다. 특히 유럽은 재외동포가 특정 국가에 몰려있지 않고 넓게 분포한다는 특징이 있다. 본래 한글학교는 재외동포들에게 한국어와 한국사 그리고 한국문화 교육을 통해서 ‘한인 정체성’을 함양하도록 설립된 교육기관이다. 세종학당으로 한국어교육 브랜드가 통합되는 시점에서 괌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한글학교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한국사, 한국문화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는 것은 타당하다. 본 연구는 한글학교 관련 실태조사와 연구물들에서 제시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한글학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관리 모형을 제안했다. 이 모형은 ‘순환’ 구조로서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교육내용과 방법의 내실을 기하고 운영 측면에서는 한글학교의 자립적 운영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만들어졌다. 이와 같은 관리 모형으로 한글학교가 관리 발전된다면 한글학교는 재외동포들의 한국어 학습과 한인 정체성 함양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교육기관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Korean Schools’ have the largest number of institutions and the widest number of distribution area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Europe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overseas Koreans are not scattered in specific countries but spread out widely. Originally, the Korean School w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established to educate overseas Koreans ‘Korean identity’ through Korean, Korean history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It is reasonable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n Schools,’ which were widely distributed at the time the Korean education brand was integrated into ‘Sejonghakdang’, and how to effectively teach Korean language, Korean history, and Korean culture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s a management model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Hangul Schools’ based on the actual research. This model may be depicted as a "circular" structure, in terms of how the curriculum,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are strengthened and in terms of operation. It was designed to help the independent schools of Korean. If the Korean schools are managed and developed with this management model, the Korean school will be able to become an educational institution playing a major role in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strengthening Korean identity of overseas Korean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에 관한 비판적 소고 : 교재의‘ 실제성’ 구현 방안을 중심으로

        전한성(Jeon, Han-Sung),민정호(Min, Jung-Ho) 한국언어문학회 2015 한국언어문학 Vol.9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real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materials based on reality by analyzing "Korean languag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is study, the real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defined by the general performance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activities by themselves in order to accomplish its goal in a real context. By the definition, this study proposed three categories for analysis; the reality of communicative situation, the reality based on the distinctiveness of learners, and the reality based on the surroundings of learners. After analyzing the material "Korean languag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practical ways for materials and activities were proposed a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ontexts of learners, time and places in communicative situation. Secon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include activities which can recognize and distinguish written and spoken words considering the distinctiveness of learners. Third,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should be taught together depending on the learners' individual circumstances. In the end, the emphasis of real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ns the consideration of all the circumstances and sociocultural contex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ers will face. Finally, it is meaningful for this study to discuss ways of perform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ing to reality in aspect of materials and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