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너-호프 제어기법을 이용한 BTT 유도탄의 자동조종장치 설계

        민덕기,박기헌,Min, Deuk-Gi,Park, Ki-Heon 대한전자공학회 1999 電子工學會論文誌, S Vol.s36 No.6

        본 논문에서는 추종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준모델의 2자유도 위너-호프 제어 기법을 이용하여 BTT유도탄의 자동조종장치를 설계하였다. 유도탄의 비선형 방정식으로부터 여러 동작점에 대한 선형화 모델을 구하여 선형 제어기를 설계하였으며 최종 자동조종장치는 설계된 제어기들을 이득 계획 기법을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실제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도탄의 정확한 비선형 방정식과 공력 계수의 변화 등을 포함하는 6 자유도 방정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도탄의 비행 동작에 대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designing an autopilot of the BTT missile using 2DOF Wiener-Hopf control technique to improve tracking performance. Linear controllers are designed based on the linearized models which are obtained from the nonlinear missile dynamic equations at various operating points. The gain scheduling technique is used to implement the final autopilot. A simulation on the flight of missiles is carried out through the use of 6DOF equation program including exact nonlinear equations of the missile and the variations of aerodynamic variables in order to check applicability of the suggested method in real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경인통신사의 활동과 일본의 대응

        민덕기(Deak-Kee Min)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3 No.-

        히데요시가 對馬島主 宗儀智에게 조선 침략의 뜻을 처음으로 표명하는 것은 1586년 6월의 일이다. 규슈를 평정하고 나면 조선으로 들이닥칠 터이니 준비하라는 것이었다. 다음해 6월엔, 20만의 정벌군으로 규수에 출정나각 히데요시가 대마도주에게 조선국왕의 직접 來朝를 명령했다. 흥미로운 것은 조선국왕이 대마도주에게 복속된 존재로 히데요시가 인식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조선국왕의 來朝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대마도주는 통신사 파견 요청으로 바꿔치기 해 조선에 간청하게 된다. 조선이 이에 전라도 연안을 노략질한 叛民 사화동을 압송해 오면 파견해 주겠다고 조건을 제시했고, 대마도가 이를 이행하자 1590년 5월 경인통신사가 파견된다. 당시 조선은 히데요시가 조선의 권위를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했다. 그래서 통신사 파견을 새로 즉위한 ‘일본국왕’인 자신에 대한 축하라고 히데요시가 대대적으로 일본 국내에 선전할 것으로 여겼다. 그런 만큼 통신사행의 부사 김성일도 일본정탐이란 측면보다, 100여년만에 파견되는 이번의 통신사행이 이후의 통신사행에 올바른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임했다. 대마도주의 無體에는 일일이 대응하여 힐책하고, 히데요시의 답서에 있는 부적절한 용어에는 그 수정을 요구했다. 천황이 아닌 ‘關白’ 히데요시에게는 마루 위에서 절하는 楹外拜가 적합하지, 뜰아래에서 행하는 庭下拜가 절대 불가하다고 주장했다. 1590년 7월 통신사가 교토에 체류하고 있음에도 히데요시는 關東지방의 호죠(北條)씨 정벌(小田原 정벌) 때문에 3개월간 출정해 있었고, 교토로 돌아와서도 천황 궁전의 수리 때문에 11월에 가서야 접견을 하게 된다. 이처럼 내란 진압에 분망하고 천황 권위 고양에 진력하는 히데요시를 바라보는 김성일의 눈에 과연 임진왜란이 상상이나 되었을까? 한편 대마도는 통신사 파견을 기회로 조선과의 무역관계 확대를 企圖하고 있었다. 특송선의 부활이나 세견선과 圖書의 증가를 획책하였다. 감추고 있던 ‘巨酋’ 쇼니시와 오우치씨의 멸망 사실을 김성일이 파악하여 힐책하자, 그 땅을 점유하고 있는 보바야카와씨와 모리씨가 멸망한 그 巨酋의 명의를 승계 받아 조선과 무역하고 싶어한다고 다시 속이고 있다. 이로 보면 대마도도 임진왜란의 발발을 아직 예상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평화 지속을 전제로 한 무역관계 확대 획책이기 때문이다. 대마도의 이러한 획책을 관찰하고 있는 김성일의 눈에도 다가올 임진왜란이 전혀 그려지지 않았을 것이다.

      • KCI등재

        암석의 역학지수 추정을 위한 간접시험법의 거동특성

        민덕기(Tuk-Ki Min),문종규(Jong-Kyu Moon),노재술(Jai-Sool Ro) 한국암반공학회 2009 터널과지하공간 Vol.19 No.5

        본 연구는 국내에서 출토되는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1,417개 블록의 일축압축강도를 간접방법으로 도출하는 과정에서 각 시험법에 따른 강도발현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퇴적암은 간접시험법에 따라 암석군에 상관없이 동일거동을 보이며, 압열인장강도를 매개로 시행한 과정에서는 암석군끼리 동일 거동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간접시험법을 적용했을 때에는 지질학적 생성원인에 따라 상관성해석을 시행해야 신뢰성 높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 KCI등재

        정유재란기 황석산성 전투와 김해부사 백사림

        민덕기(Min, Duk-Gi)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7 No.-

        황석산성 전투란 정유재란 초기단계인 1597년 8월 중순, 거창에서 전주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인 해발 1, 190m의 황석산 산성에서 조선의 함양·안음 거창의 지역 군민과, 일본 右軍의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등 6만여명의 군대가 벌인 전투를 말한다. 당시 황석산성은 안음현감 곽준을 수성장으로, 別將으로 김해부사 백사림, 그리고 前함양군수 조종도가 지키고 있었다. 8월 16일 전투가 개시되어 중과부적인 조선군은 18일에는 완전 궤멸되었으나 김해부사 백사림은 미리 도주하였다. 황석산성 전투는 조명(朝明) 연합군 전투인 남원성 전투에 비해 별로 알려져 있지 않다. 관련 사료도 극히 적다. 그런데 함양 선비 정경운의 일기인 『고대일록』을 보면 황석산성 전투에 대한 많은 것들이 읽혀진다. 더구나 정경운은 안음현감 곽준과 막역한 사이였다. 산성에서의 전투 결과 성곽 안에서 조선인 353명이 피살되었지만, 산성주변의 계곡과 멀리는 백운산에까지 마수를 뻗은 일본군은 무자비한 학살 행위를 벌여 양민 수천 명을 학살하고 있다. 백운산으로 피난 갔던 정경운 조차 큰딸과 친척 4명을 이때에 잃고 있다. 황석산성 전투 이후 함양 일대와 중앙 정계에서는 싸우지 않고 도주한 김해부사 백사림을 비난하고 처형하자는 논의가 1612년까지 계속된다. 전투에 앞서 ‘附倭’를 일삼아온 김해 군사들이 먼저 도망했고, 백사림의 가족들에 뒤이어 백사림마저 도망가는 바람에 성이 함락되고 곽준의 父子들이 살해되었다는 것이다. 백사림 처형론자들은 백사림이 ‘通倭’하여 목숨을 부지했다고도 하고 있다. 이처럼 백사림 처형을 ‘영남의 士論’이라며 ‘公議’ ‘公論’으로 자리매김하려하는 분위기에 대하여 선조나 광해군은, 왜적 7명 참획과 ‘北道’ 방어 등등 속죄 조건을 충족했다며 처벌하지 않고 남은 여생을 보내게 하고 있다. Hwangseoksanseong Fortress Battle refers to a battle waged by about 60,000 troops in Hwangseoksanseong Fortress located at an altitude of 1,190 meters above the sea level, which was the main point of the traffic from Geochang to Jeonju, in the middle of August, 1597, when the Secon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 was in the early stage. The civilian militia of Hamyang, Aneum and Geochang areas of Joseon Dynasty fought the battle with Kato Kiyomasa"s army, which was the Right group of the Japanese army. At that time, Hwangseoksanseong Fortress was being defended by Aneum county governor Gwak Jun as the fortress defense commander, Gimhae prefecture governor Baek Sa-rim as the special forces commander, and Jo Jong-do, who was a former Hamyang county governor. The battle began on August 16. Having a shortage of soldiers, the Joseon army completely collapsed in two days, before which Gimhae prefecture governor Baek Sa-rim had fled in advance. Hwangseoksanseong Fortress Battle is less known than Namwonseong Fortress Battle, which was a battle waged by the allied Ming-Joseon forces. Besides, there is little historical record related to it. Godae Illok, which is a diary of Jeong Gyeong-un, a scholar in Hamyang, tells much about Hwangseoksanseong Fortress Battle. In addition, Jeong Gyeong-un was a trusted confidant of Aneum county governor Gwak Jun. 353 Joseon people were killed as the result of the battle in the fortress. The Japanese army, which reached out to valleys around the fortress and to Baegunsan Mountain in the distance, killed thousands of people by ruthless massacre. Jeong Gyeong-un, who had fled to Baegunsan Mountain, was also bereaved of his eldest daughter and four relatives at that time. In Hamyang area and central politics, a debate about the condemnation and execution of Gimhae prefecture governor Baek Sa-rim, who had fled without fighting at all, arouse and continued until 1612 since Hwangseoksanseong Fortress Battle ended. Before the battle, soldiers in Gimhae who frequently ‘collaborated with Japan’ fled away first, and Baek Sa-rim also fled following his family. Consequently, the fortress was fallen, and Gwak Jun and his sons were killed. People who insisted on the execution of Baek Sa-rim asserted that he survived through ‘collusion with Japan.’ Like this, there was a strong argument that the execution of Baek Sa-rim should be regarded as ‘public consent’ or ‘public opinion’ under the pretext that it was based on the ‘public opinion of scholars in Yeongnam area.’ King Seonjo and King Gwanghae, however, allowed him to spend the rest of his life without punishment as they thought he satisfied the requirements for atonement since he killed 7 Japanese soldiers and defended the ‘northern province’.

      • KCI등재

        임진왜란기 조선의 북방 여진족에 대한 위기의식과 대응책

        민덕기(Min, Deak-kee) 한일관계사학회 2009 한일관계사연구 Vol.34 No.-

        임진왜란 연구에서 여진족에 대한 접근은 대체로 미미하다. 그러나 임진왜란기를 『선조실록』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면 첫째 ‘南倭北虜’的 위기상황이라고 조선이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은 ‘남왜’와 전쟁한 것만이 아니었다. 동북방과 서북방의 ‘북로’와도 첨예하게 대립한 상황이었다. 남북으로 적을 맞고 있다고(‘腹背受敵’) 인식하고 남북으로 환난을 당하고 있다고(‘腹背之患’)우려하여 그 극복에 분망하고 있었다. 둘째, ‘남왜’와 ‘북로’는 한 쪽 톱니바퀴가 돌아가면 그 톱니에 물려 다른 또 한 톱니바퀴가 돌아가는 그야말로 連動的인 구조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남왜’가 큰 톱니바퀴였을 따름이다. 1595년 10월, 남방에서 활약중인 경상우도별장 한명련과 의병장 김덕령을 서북방의 장수로 차송하려 하거나 경상우도병마절도사 김응서를 시켜 휘하의 항왜들을 인솔하여 북방으로 가 지키게 하려했던 것은 당시 상황이 ‘남왜’보다 ‘북로’가 더 우려되었기 때문이었다. 셋째, 임진왜란기 군량을 포함한 물량적 측면에서 ‘북로’와의 관계도 그 한 축으로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당시 조선에선 군사보다도 군량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며, 그나마 확보한 군량도 명군에게 공급하는데 급급하였다. 그러므로 조선군의 전투력은 약화일로였고 전국의 백성들은 아사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은 동북방 여진에 대한 회 유책으로 물품 지급이 종종 논의하고 있고 실제로 지급되기도 한다. 이처럼 왜란기 ‘북로’는 정신적?물질적으로 조선의 對日 총력전에 커다란 장애가 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studies of the Imjin War, we can find only a little data about the Jurchen tribes. Based on Seonjosillok (Annals of King Seonjo), however, we can find that first the Joseon dynasty was recognizing the crisis of facing against both the Japanese of the south and the northern tribes during the Imjin War period. It was not just the Japanese people of the south that Joseon was fighting against. The dynasty was in very antagonistic relationships with the tribes of the northeast and the northwest. It was in a rush to try to overcome the crisis with an awareness of having enemies both to the north and the south and concerns about troubles. Second, the Japanese of the south and the Jurchens of the north can be compared to a pair of cogwheels geared into each other. Only the Japanese was the bigger one. In October 1595, Myeongryeon Han, an officer of the provincial guards in the Eastern Gyeongsang Province, and Deokryeong Kim, a commander of the militia, who had been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were dispatched to the northwestern frontier, and Eungseo Kim, a senior military officer in charge of soldiers and horses of the Eastern Gyeongsang Province, was ordered to go to fight against the Jurchens of the north with soldiers under his control, who were supposed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This is because the Jurchens of the north was a bigger concern than the Japanese at that time. Third, the relationship with the Jurchens was significant during the Imjin War period in terms of resources including provisions. At that time, the Joseon dynasty had difficulties in securing foodstuffs for the army rather than soldiers. They also had to supply the foodstuff that they had secured with difficulty to the troops of the Ming dynasty. Therefore, the Joseon troops" combating power was being weakened and people were on the verge of starvation across the nation. Against this backdrop, Joseon often talked about supplying materials to the Jurchens as an appeasement policy and it actually supplied materials to them. As described in the above, the Jurchens of the north was a big obstacle to the Joseon dynasty both mentally and materially in its all-out war against the Japanese.

      • KCI등재

        임진왜란 직전 조선의 국방 인식과 대응에 대한 재검토 : 동북방 여진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민덕기(Min Deak-Kee) 호서사학회 2010 역사와 담론 Vol.0 No.57

        Prior studies on the night before Hideyoshi invaded Korea present the following evaluations regarding the cause of the war. The first theory is so-called a theory of peace and tranquility that Joseon enjoyed a peaceful reign for two centuries since its founding. The second theory is a theory of Joseon's crisis due to Japan that Japan's threat became serious as to trigger Lee Yulgok's argument of nurturing 100,000 soldiers. The third theory is that only the pen was placed importance on, thereby weakening military discipline. Were they true? First, small wars were occurring in northeastern areas in the 1580s and therefore Joseon was already in quasi-war. The 1583 January rebellion by Nitangeu from Yeojin against the Joseon government in Six Garrisons (Yukjin) lasted until July and Nitangeu's army consisted of 20,000 horse riding soldiers. Therefore the government had to send 100,000 seoks of crop and 50,000 rolls of cloth for the war, and King Seonjo even ordered to make chongtong firearms by melting the bronze temple bell (beomjong) of a temple in Hasamdo. In 1587 and 1588 Yeojin's invasion into Nokdundo and Joseon's response to it continued to make crises. In short, Joseon was not peaceful and tranquil at all. Second, in the 1580s Joseon regarded that Japan was threatening, but the nation's perception of crisis was resulting not from Japanese regular army's invasion but from Japanese looters' plundering. What Joseon expected was a little bigger riots than the Japanese riots which happened in the year Ulmyo. Therefore the anticipated war zone was the entire south coast, and defending the coast of Jeolla-do was considered important; as a result, Lee Sun-sin was selected as Naval Commander of Left Ch?lla province (Jeolla jwasusa). Third, Generals Sin Rip, Lee Il, and Lee Chun were dismissed due to their blunders, but discussions on their rehabilitation were made, which shows the government's elastic flexibility of prioritizing national defense while applying punishment to blunderers. In order to deal with Nitangeu’ rebellion, the government presided over a massive military special examination to secure a large number of military officials. The government also permitted sons of illegitimate birth to take civil service examinations and made a reform of elevating some public and private salves to the class of ordinary people. As for the ruling class, more responsibilities were imposed on them; for example, rice for soldiers and cows and horses as vehicles were made to be provided by them. In brief, the Joseon society was never biased toward the pen, inflexible, off its guard, or disorderl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학생용 영어 코퍼스 분석을 통한 형용사 사용의 비교 연구

        민덕기(Min Deok Gi),이승민(Lee Seung min),김현진(Kim Hyun Jin)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4 초등영어교육 Vol.20 No.4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uses of adjectives in English corpor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corpora were collected from Anthony Browne's picture books, graphic novels, fantasy movies,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and English textbooks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analyzing thirty most frequent adjectives from each corpus in terms of the frequency, six most frequently used adjectives such as good, right, nice, big, little, and long were compared among corpora to find out the features of their us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extbooks and the rest of corpora with references to the use of default terms of each adjective. This study suggests that adjectives need more attention in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