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멀티레벨 위치 트리거 기법

        민경욱,김도현,남광우,김주완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3 No.5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s)의 이용자가 급증함으로써 최근 위치 트리거(Location Trigger)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응용 분야가 등장하고 있다. 위치 트리거는 사용자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여 특정한 지역에 진입, 존재, 이탈할 경우 사용자에게 단문문자서비스(SMS), 전자메일 등을 통하여 알리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기존에 이러한 위치 트리거 기술은 위치 제공 서버에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처리해 왔으나 LBS 서비스 가입자가 증가할수록 서버 및 통신 부하로 인하여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위치 트리거를 처리함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의 위치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모바일 단말기에 임베디드된 GPS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하는 멀티레벨 위치 트리거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설계하고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위치 트리거 기술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였다. Recently, various applications of location trigger service have been required and developed as users of location-based services are increasing. The location trigger is detecting event of entering in, existing in or leaving from pre-specified area, and then alerting by short message service, an e-mail or servicing other pre-defined action to mobile subscribers. The conventional methodology of supporting location trigger is detecting location trigger events as periodical requesting lo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location gateway server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t these conventional methods cause mobile communication interruption when the location trigger services are overloaded; thereby inducing performance of core server to be fell off. So,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a new location trigger technology, named multilevel location trigger, to reduce mobile core network server triggering bottleneck and power consumption caused embedded GPS device of mobile phone. Actually, as design and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location trigger after building test-bed environment, we contribute toward improving technology of location trigger.

      • KCI등재

        朝鮮活字本 《三國志通俗演義》에 대한 文獻校勘 연구

        閔庚旭 한국중국소설학회 2014 中國小說論叢 Vol.42 No.-

        本稿用文本比對與文獻考證的方法探討朝鮮活字本《三國志演義》的文本源流問題,其文本對比的版本包括以下四種:第一,朝鮮活字本。第二,葉逢春本。第三,嘉靖壬午本。第四,朝鮮翻刻本(即周曰校刊本甲本之翻刻本)。筆者就以上四種版本之對校進行文獻考證,得出以下結論: 第一,朝鮮活字本之文本如同周曰校刊本與嘉靖壬午本在整體上屬於江南文本系統。第二,比對分析結果證明,周曰校刊本係後期的校勘本,嘉靖壬午本係江南系統之早期孤本。因此,朝鮮活字本係早于周曰校刊本並不同于嘉靖壬午本之另一種早期江南文本系統。第三,朝鮮活字本在關鍵異文上往往不同於周曰校刊本與嘉靖壬午本,而一致於屬於福建文本系統之葉逢春本。據此,筆者認為朝鮮活字本之底本應為較嘉靖壬午本更早的江南系統文本

      • KCI등재

        毛澤東의 最後를 둘러싼 풍경에 대한 상상과 묘사 (上) - 『管錐編·史記會註考證』 第六則 第四段 札記

        민경욱 한국중어중문학회 2022 中語中文學 Vol.- No.87

        <<管錐編>>의 진정한 창작 동기와 창작 원리 및 작품 주제에 대한 의미 규정은 그 중요도와 주목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장기미제’의 학술적 과제로 남아있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이를 규명하기 위한 일련의 시도 가운데 하나이다. 본고 제2장 제1절에서는 <<管錐編·史記會註考證>>第六則 第四段에 대한 한국어 번역을 제공한다. 본고 제2장 제2절에서는 <<人民日報>>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단의 今典을 규명한다. 이를 통해 전종서가 본단을 창작하게 된 숨겨진 동기는 1969년 10월 24일자 <<人民日報>>第四版에 「高舉毛澤東思想偉大紅旗 深入開展革命大批判」이라는 표제 아래 실린 총 4편의 특집 기사이며, 본단의 숨겨진 주제는 극단적인 毛澤東思想에 기반한 비이성적인 의료 실천 활동에 대한 신랄한 풍자임을 밝힐 것이다. 본고 제2장 제3절에서는 李志綏의 <<毛澤東私人醫生回憶錄>>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단의 두 번째 今典과 그 속의 풍자적 의미를 규명한다. 결론에서는 本段의 今典을 둘러싼 회고 자료를 소개함으로써 本段과 관련된 좀 더 폭넓은 역사적 배경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本段의 의미와 의의를 한층 더 거시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시도한다.

      • KCI등재

        《水滸傳》 石秀 故事의 解釋史 - 近代篇

        閔庚旭 한국중국소설학회 2013 中國小說論叢 Vol.41 No.-

        本稿以《水浒传》石秀故事的近代解读史为研究对象,分别讨论民国时期施蛰存的〈石秀〉与学者夏志淸、孙述宇等人对石秀故事的解读方式。到了近代,已有很多读者无法接受《水浒传》石秀故事包含的残酷性。笔者认为,施蛰存的〈石秀〉可视为一篇以近代读者能接受的逻辑重新解读《水浒传》的文学作品。换言之,施蛰存的〈石秀〉代表近代文学家对《水浒传》石秀故事的艺术解读。至于该如何理解《水浒传》中的残酷性问题,本稿介绍围绕着《水浒传》展开的夏志清与孙述宇之间的论战与其意义。其论战代表近代文学研究者对《水浒传》石秀故事的两种理性解读。最后,本稿简单梳理了桑塬隲藏以来以《水浒传》为旁证的中国文明褒贬论着作。

      • KCI등재

        중화권 영화에 대한 내셔널 알레고리 해석을 통해 본 박찬욱의 <헤어질 결심>

        민경욱 한국중어중문학회 2023 中語中文學 Vol.- No.93

        This paper examines some of the Chinese films of the past decades to which the national allegory interpretation can be applied academically well, and based on this, analyzes the recent Korean film <Decision to Leave>. The goal of this paper is the following two. First of all, this paper critically proves that among the popular narratives produced by Chinese and Korean societies rather than the Western First World, the works worthy of the title of masterpiece can be read as a national allegory for their core narrative structure, even if they have a very flamboyant modernist appearance. In addition, by applying Jameson's concept of national allegory to the reading of a large number of Chinese and Korean films that continue in time, this paper presents my own consistent ‘political reading’ suitable for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and Korean literary works produced in a different history and social structure from the Western First World. In Chapter 2, the history of national allegory interpretation on Wong Kar-wai's <Chungking Express>(1994) and <2046>(2004) was reviewed, and the author's own national allegory interpretation was added. In Chapter 3, the history of national allegory interpretation on Zhang Yimou's <Hero>(2002) and <Coming Home>(2014) was reviewed, and the author's own national allegory interpretation was added. In Chapter 4, I attempted to read the National Allegory for some scenes in Derek Tsang's <Better Days>(2019). In Chapter 5,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I attempted to read Park Chan-wook's <Decision to Leave>(2022) as a national allegory. The core narrative structure of this work can be interpreted as a political metaphor for North and South Korean rela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and it is argued that elements of generational conflict over the basic principles and concrete plans of North and South Korean unification are hidden in it. In the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National Allegory in Park Chan-wook's works were briefly reviewed through comparison with Chinese films and their directors.

      • KCI등재

        LBS를 위한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민경욱,한은영,김광수,Min, Kyoung-Wook,Han, Eun-Young,Kim, Gwang-S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6

        The LBS(Location-Based Service), which is based on individual's mobility, is required increasingly as mobile telecommunication and various infrastructures have developed rapidly. The technologies for LBS are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service platform technology, contents provider technology and moving object database technology generally. Among these, service platform must be interoperable with location gate-way server and provide common function of billing, authentification, protect location information, privacy control, location trigger and intelligent acquisition and so on. The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published specification that defines a standard protocol for safe and simple interface between LBS client and LBS platform and the OpenLS(Open Location Service) in OGC (Open GIS Consortium) released implementation specification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core services.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service platform for LBS which is able to interoperable with location gateway server and contents provider and is caracterized as follows. First, it could require and response location information from different types of location gateway server with same interface. Second, it complies with the standard interfaces with OpenLS 4 contents providers for core LBS. Third, it could provide location of wired phone as well as wireless mobile terminal compling with the standard protocol. Last, it could provide trajectorH information based past location as well as current location, because it is able to interoperable with moving object DBM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and practical use of LBS by providing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of service platform for LBS. 개인의 이동성을 중심으로 하는 LBS(Location-Based Services,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화 및 제반 인프라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LBS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은 크게 위치 측위 기술, 플랫폼 기술, 컨텐츠 처리 기술 및 이동체 DBMS 기술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플랫폼 기술은 위치제공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동하여, 과금, 인증. 위치 정보 보호, 위치 트리거, 지능형 위치획득 등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국내 표준 단체에서는 위치 정보의 요청 및 제공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리 정보의 대표적인 컨소시움인 OGC(Open GIS Consortium)의 OpenLS(Open Location Service)에서는 핵심 LBS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LBS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치제공 게이트웨이 서버 및 컨텐츠 서버와 연동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였으며, 일반적인 플랫폼의 기능 이외에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서로 다른 위치제공 게이트웨이 서버에 대하여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요청, 제공 할 수 있다. 둘째, OpenLS에서 제공하고 있는 4가지 핵심 컨텐츠 서버와 표준화된 방법으로 연동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무선 단말의 위치뿐만 아니라 유선 전화의 위치 또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넷째,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이동체 서버와 연동하므로 과거 이동 궤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표준화된 방법을 이용하여 플랫폼의 구현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LBS 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에 크게 기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