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주<SUB>海洲 </SUB>남붕<SUB>南鵬</SUB>의 생애와 퇴계학의 계승

        문희순(文姬順)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3

        해주 남붕은 17세부터 일기를 쓰기 시작하여 졸하기 전날까지 50여 년간의 일상을 일기 기록으로 남겼다. 남붕은 7세에 할아버지 남효달에게 한학공부를 시작하여 졸할 때까지 평생을 경서와, 주자‧퇴계의 저술을 독서하며 살았다. 남붕은 물밀듯이 밀려들어오는 신학문과 일제 치하의 근대 격동기, 신구 갈등과 가치관의 충돌이 첨예화되던 시대를 살았다. 이러한 시대를 대항하기 위하여 유교단체를 설립하여 유가의 법도를 진작시키고, 짐승과 오랑캐의 무지를 모면하여 윤리와 도의가 있는 삶을 꿈꿨다. 이 글은 『해주일록』에 기록된 남붕의 다양한 모습 가운데 퇴계 이황의 존모와 계승으로 본 학문 세계에 초점을 맞춰 독해하고자 하였다. 퇴계학 계승은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퇴계 저술의 완미翫味이다. 남붕은 『퇴계집』의 다양한 글들을 ①학문적 측면, ②문장 창작의 전범, ③세상을 다스리는 방도와 실천의 세 가지 측면에서 독서하였다. 둘째, 『운도정음주해雲陶正音註解』 찬술이다. 『운도정음주해』는 남붕이 주희(1130 ~1200)의 호 운곡산인雲谷山人의 ‘운雲’과 퇴계의 호 도옹陶翁의 ‘도陶’를 취하여 주희의 한시 53제 93수와 퇴계의 한시 78제 178수를 주해하고 발문을 수록한 책이다. 셋째, 퇴계 필법의 모방이다. 남붕은 퇴계의 『매화시첩』에 수록되어 있는 퇴계의 91수의 매화 시를 쓰고 또 쓰며 퇴계를 경모하였다. 고인의 친필을 모방하여 임서하며, 매화의 고매한 형상, 퇴계의 인품과 시경詩境에 젖어들어 닮고자 하였다. 남붕은 성리학을 통해 정립된 퇴계의 인생관과 우주관, 『매화시첩』에 표상된 퇴계의 문학과 도道의 세계를 익히고 쓰며, 리理에서 발현하여 착하지 아니한 것이 없는(發於理而無不善) ‘순선의 이학세계’로 빠져 들어갔던 것이다. Haeju Nam Bung(1870~1933) left his records of daily life for approximately 50 years from the age of 17 to the day of his death. He started his study in Chinese classics under his grandfather Nam Hyo-dal at the age of seven and devoted his entire life to the reading of Confucian classics and works of Zhu Xi and Toigye. He lived in a period characterized by new sciences whose flood was taking over the nation, the Japanese ruling that put the nation in modern turbulence, and the sharp conflicts between the old and the new and the radical clashes between different values. Trying to resist this period, he set up “Confucian Corporation” to promote the laws of Confucianism and dreamed of a life of ethics and morality to elude the ignorance of animals and barbarians. This study set out to understand his academic world based on his respect, worship, and inheritance of Toigye Lee Hwang among his diverse aspects recorded in his Haejuilrok. His inheritance of Toigye studies was examined in three aspects: first, his did Wanmi of Toigye’s works. He approached various texts in Toigyejip in three aspects of learning, ②example of sentence creation, and ③methods of governing the world and their practice. Second, he wrote Woondojeongeumjuhae, whose title was a combination of ‘Woon’ from Zhu Xi’s(1130~1200) pen name Woongoksanin and ‘Do’ from Toigye’s pen name Do-ong. This work contains his annotations and epilogues of Zhu Xi’s Chinese poems of 53 Jes and 93 Sus and Toigye’s Chinese poems of 78 Jes and 178 Sus. Finally, Nam Bung imitated Toigye’s style of writing. He copies 91 Sus of Toigye’s poetry about the Japanese apricot flowers in his Maehwasicheop over and over again out of his admiration for Toigye. By copying and writing after Toigye’s handwriting, he tried to immerse himself in the noble form of Japanese apricot flowers and resemble Toigye"s character and level of poetry creation. Nam Bung learned and wrote about Toigye’s views of life and the universe established based on Neo-Confucianism and his world of literature and truth represented in Maehwasicheop, being absorbed into the “Ihak world of pure good” where everything derived from Yi and was thus good (發於理而無不善). The ultimate goal of his life was to worship and respect sages, rise in studies, and evade ending up as a Soin. He committed himself to Wigijihak through the practical performance of Jonsim and Hamyang. He tried to live with no shame for the Heaven and Earth through the life of Sugi, Dokhak, Jonseong, and Heunghak sought after by classical scholars in Joseon.

      • KCI등재

        조애중<SUP>曺愛重</SUP>의 『병자일기<SUP>丙子日記</SUP>』배접지에 기록된 제문과 간찰

        문희순(文姬順)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병자일기丙子日記』는 조애중曺愛重이 쓴 한글 일기이다. 작자와 창작연대가 확실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실기문학實記文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병자호란에 관한 민간의 체험을 소상하게 표현해내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 『병자일기』는 저자 사후 370여 년의 세월이 경과되면서 책의 훼손 상태가 매우 심하였다. 책 표지의 부분적 찢어짐과 뒤틀림, 각 장의 물에 의한 얼룩과 변색, 각 페이지 모서리 끝부분의 임시 배접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행복청은 『병자일기』를 보존처리 하였는데, 책의 해체와 보수과정에서 책표지의 배접지로 사용된 다섯 건의 문헌자료가 새롭게 발굴되었다. 다섯 건의 문헌은 조애중의 6대손 남필복南必復 저술의 제문祭文 1편, 남필복의 지인 조사은趙思殷 발신의 한문간찰 1편, 남필복의 사위 이인운李寅運 발신의 한문간찰 1편, 비婢 뉴월의 고목 1편, 발신자 미상의 한문간찰 1편이다. 이 논문은 새롭게 발견된 다섯 건의 문헌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새롭게 알아내게 되었다. 현전 『병자일기』는 저자 조애중의 6대손 남필복이 조애중 사후 140여 년 뒤에, 6대 조비의 한글 일기 중 병자호란 중심으로 기록된 일기를 발췌하여 장책粧冊했다는 사실이다. Byung-Ja-Il-Gi(Byung-Ja Diary) is a Korean journal written by Cho Ae-jung, considered to be the first Korean female author of her kind. The Journal, along with its clear date of cre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people during the Manchu War in 1636 has strong values and meaning in literature history. After 370 years since the death of the author, the journal’s exterior was in extremely poor conditions. There were issues with partial tears, distortion, water damage and partial grafting on the edge of the pages’ corners. The National Agency for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carried out preservation processes on the journal, during which 5 bibliographical documents were newly discovered used for the backing papers. The documents included one funeral address written by Nam Pil-bok, the 6th son of Cho Ae-jung, a Chinese letter written by Cho Sa-eun, a friend of Nam PIl-bok, a Chinese letter by Lee In-un, the son-in-law of Nam Pil-bok, a letter in Korean by Queen Nyu-Wol, and a Chinese letter by an unknown author. This study deducted the following facts through the 5 newly discovered documents. Byung-Ja-Il-Gi was bound by Nam Pil-bok, the 6th generation son of Cho Ae-jung, by collecting excerpts focused around the Manchu War in 1636 from a Korean journal of his 6th generation grandmother 140 years after her death.

      • KCI등재
      • KCI등재

        「가고 싶은 섬」의 갯벌과 토양환경 특성(Ⅲ) - 여서도, 대마도 중심으로 -

        문희,이덕안,박찬오,오은하,박보영,송승리,정종현,박귀환,최경철,박종수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1

        Jeollanam-do hasnamed Yeoseodo(in Wando-gun) and Daemado(in Jindo-gun)as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 contents in soils (20 samples), mud flats (8 samples) and agro-fishery products (22 samples) produced in Yeoseodo and Daemado. The contents of Germanium and Selenium which wereconsidered asfunctional components were analyzed. Germanium mean concentrations insoil and mud flats were 1.686 mg/kg, 2.013 mg/kg in Yeoseodo and 1.013 mg/kg, 0.871 mg/kg in Daemado, respectively. Selenium mean concentrations of soil and mud flatswere 0.378 mg/kg, 0.649 mg/kg in Yeoseodo and 0.545 mg/kg, 0.626 mg/kg in Daemado, respectively. The Germanium concentrations of agro-fishery products(0.10 ㎍/kg ~ 99.68 ㎍/kg) showed Abalone(87.11 ㎍/kg) > Spiny turban shell(71.81 ㎍/kg) > Sea weed fusiforme(44.24 ㎍/kg) in Yeoseodo, and Abalone(99.68 ㎍/kg) > Green algae(77.18 ㎍/kg) > Natural Pelvetiasiliquosa(71.82 ㎍/kg) in Daemado. The Selenium concentrations of agro-fishery products(0.00 ㎍/kg ~ 212.19 ㎍/kg) showed Sea cucumber(181.52 ㎍/kg) > Abalone(92.46 ㎍/kg) > Spiny turban shell(61.95 ㎍/kg) in Yeoseodo, and Sea cucumber(212.19 ㎍/kg) > Wormwood(184.47 ㎍/kg) > Bracken(152.98 ㎍/kg) in Daemado. The mineral contents of agro-fishery products were observed with high valuesin Sea mustard (Calcium 3,466.4 mg/100g), Garlic (Iron 1,747.4 mg/100g) in Yeoseodo, and Green algae (Potassium 3,846.1 mg/100g), andWormwood (Calcium 1,515.0 mg/100g) in Daemado. Considering thefood composition table recommended by the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ose foods are good sources of several miner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reis no evidence ofsoil pollutants in testedsoil. Furthermore,the risk from heavy metals in fishery products wascould not be found. 전라남도는 12,309 ㎢인 육지보다 바다 면적이 26,450 ㎢로 2배 이상 넓고 전국에서 가장 많은 2,219개 섬(유인도 277개)과 전국의 42 %에 달하는 1,037 ㎢의 갯벌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름다운 자연과 해상경관이 어우러져 주요 관광지로 각광 받고 있다. 갯벌은 수산물의 생산, 다양한 생물의 서식, 오염정화, 재해예방 등 인간에게 직·간접적으로 편익을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수산물의 생산과 서식지 기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6년부터 전라남도에서 브랜드 시책으로 추진 중인 「가고 싶은 섬」 비교우위 자원인 갯벌과 토양, 농·수산물을 대상으로 기능성물질인 게르마늄, 셀레늄 및 미네랄 함량을 확인하고 토양오염실태를 조사하여 섬 지역 토양의 인위적인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토양 환경 청정성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농·수산물의 기능성 성분 결과를 활용하여 섬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8년 「가고 싶은 섬」으로 선정된 여서도와 대마도의 지질분포는 중생대 백악기 화강암과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편마암 등에는 게르마늄이, 응회암 등에는 셀레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분석시료는 토양 20개 지점, 갯벌 8개 지점, 농·수산물 22건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가고 싶은 섬」 토양과 갯벌의 게르마늄 함량 범위는 0.249 ∼ 2.979 mg/kg로 여서도 평균함량은 토양 1.686 mg/kg, 갯벌 2.013 mg/kg, 대마도 평균함량은 토양 1.013 mg/kg, 갯벌 0.871 mg/kg로 조사되었으며, 셀레늄 함량 범위는 0.274 ∼ 0.998 mg/kg로 여서도 평균함량은 토양 0.378 mg/kg, 갯벌 0.649 mg/kg, 대마도 평균함량은 토양 0.545 mg/kg, 갯벌 0.626 mg/kg로 분석되었다. 농·수산물의 게르마늄 함량(범위 0.10 ~ 99.68 ㎍/kg )은 여서도는 전복, 소라, 대마도는 전복, 파래, 뜸북이 순으로, 셀레늄 함량(범위 0.00 ~ 212.19 ㎍/kg )은 여서도는 해삼, 전복, 소라, 대마도는 해삼, 쑥, 고사리 순으로 다른 농·수산물에 비해 2 ~ 3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농·수산물의 미네랄 함량 분석결과 여서도 돌미역(칼슘 3466.4 mg/100g), 해삼(칼륨 800.4 mg/100g), 마늘(철분 1747.4 mg/100g)과 대마도 미역(나트륨 1379.7 mg/100g), 파래(칼륨 3846.1 mg/100g), 쑥(칼슘1515.0 mg/100g)에서 식품 성분표(농촌진흥청)와 비교하면 높은 함량을 보여 미네랄의 좋은 급원 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가고 싶은 섬」의 인위적인 토양오염에 대한 분석 결과는 토양오염우려기준과 비교하여 매우 낮은 수준으로 청정한 토양상태를 나타냈으며, 수산물 중금속 결과도 기준 이내로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결혼관 및 자녀관에 미치는 영향

        문희,선춘자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결혼관과 자녀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 하여 남녀평등의식, 결혼관, 자녀관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S시의 대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수준은 평균 4.23점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결혼관, 자녀관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양성평등의식의 하위영역 중 가정생활 영역에서 결혼관과 자녀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정생활 영역의 양성평등의식이 높을수록 결혼관에 대하여 개방적이었으며 자녀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의 긍정적인 결혼관 및 자녀관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남녀간의 균형잡힌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n view of marriage and children in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tools used questionnaires to understand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view on marriage and children. Participants were 205 university students in S city and analysis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8.0 program.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ppeared as an average of 4.23 points and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view on marriage and childre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home living life area affected the views on marriage and childre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an the higher the sense of gender equality in home living life area, the view on marriage and children was more liberal. To form a positive view of marriage and children of university students, balanced education programs between men and women for gender equality are needed.

      • SCOPUSKCI등재

        γ - Alumina 담체에 담지된 니켈의 농도분포

        문희,박흥철,장경술 한국화학공학회 198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26 No.2

        NiCl₂용액으로 부터 γ-Alumina에 nickel을 함침시킨 후, 활성물질인 nickel의 농도분포를 electron probe microanalysis(EPMA)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Nickel의 분포 및 담지량을 옹액의 초기 pH, 농도 및 온도와 담체의 전처리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서 조절될 수 있음이 실험적으로 밝혀졌으며 Ni/γ-Alumina계의 담지메카니즘은 세공내 용액의 용해도차에 의한 침적현상으로 만족스럽게 설명될 수 있었다. After impregnating nickel from NiCl₂ solution onto γ-alumina, the concentration profile of nickel, an active material was measured by an electron probe micro-analysis(EPMA).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and amounts of nickel could be controlled by changing initial pH,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the solution, and pretreatment conditions of the support. The impregnation mechanism of Ni/γ-alumina system could be explained satisfactorily by the deposition due to difference in solubilities of the active material in the solution which exists in the p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