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와 여교사의 훈육유형이 아동의 공감과 희망에 미치는 영향

        문혜림,이동형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371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모(母)의 양육태도와 여교사의 훈육유형이 아동의 공감과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성별과 학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 여교사의 훈육유형, 공감, 희망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후, 성별과 모의 양육태도를 통제한 후에도 여교사의 훈육유형이 아동의 공감과 희망에 대한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 었고, 6학년에 비해 5학년 학생들이 모의 양육태도를 보다 애정적, 자율적인 것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교사의 훈육유형에서는 학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여교사의 훈육유형을 보다 지원적인 것으로 지각하였다. 또한 여학생은 공감이 더 높고, 남학생은 희망이 더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 및 여교사의 훈육유형, 공감 및 희망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아동의 성별과 모의 양육태도를 통제한 이후에도 여교사의 훈육유형은 아동의 공감과 희망에 추가적인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가장 크게 기 여했으며, 이외에도 여교사의 지원적 훈육은 인지적, 정서적 공감에, 민주적 훈육은 희망주도에 유의하 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의 양육태도와 더불어 여교사의 훈육유형이 아동의 공감과 희망에 대한 추가 설명력을 갖는 변인임을 밝힘으로써 아동의 공감, 희망 등 정의적 특성의 발달에 있 어서 모의 양육태도와 함께 여교사의 훈육의 질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MPA) and female teachers' discipline styles (FTD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empathy and hope with a sample of 371 (199 boys, 172 girls) 5th and 6th graders in Korea. We examined mean differences in MPA, ETDS, empathy and hope by gender and grade and bivariat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and tested if FTDS accounted for empathy and hope above and beyond the effects of gender and MPA. Our findings indicated that 6th graders perceived their mothers' parenting attitudes more affectionate and autonomous than 5th graders. Girls perceived their FTDS as more supportive than boys did. While girls also had more empathy than boys did, boys had more hope than girls did.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MPA, FTDS, empathy, and hope we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one anoth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FTDS had unique contributions to empathy and hope above and beyond the effects of gender and MPA. In addition to MPA-affectionate which ha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empathy and hope, FTDS-supportive and FTDS-democratic had significant additional contributions to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and hope-agency, respectively. Our findings suggest that FTD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mpathy and hope in addition to MPA.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have been provided.

      • 계급 죽음 논쟁에 대한 맑스주의 비판

        문혜림 한국사회경제학회 2014 한국사회경제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4 No.겨울

        본 연구는 현실 사회주의의 실패와 몇 차례에 걸친 노동자 계급의 정치세력화 무산이 과연 과학으로서의 맑스주의와 그에 따른 계급 분석에 종언을 가하는 기점이 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 하에 1990년대를 정점으로 한 계급 죽음 논쟁(Death of Class Debate)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 논쟁에서 제기된 맑스주의 계급 분석 비판에 대한 반비판을 시도한다. 반비판은 크게 방법론, 이론의 설명력, 그리고 분석적 측면에서 이뤄진다. 방법론 측면에서는 신베버주의 계급 분석가들, 특히 골쏩과 마샬이 라카토스의 과학적 연구프로그램 개념을 왜곡되게 수용하여 맑스주의 계급론을 비판하고 있다는 점과 라카토스의 과학 방법론에 비춰 봐도 맑스주의 계급 분석은 진보하는 연구프로그램에 속한다는 점을 밝힌다. 이론의 설명력 측면에서는 맑스의 생산에 기반한 계급 개념을 경제결정론과 명확하게 구별 짓고, 더 나아가 맑스주의 진영 내에서 대립 관계에 있던 계급에 대한 구조적 접근과 역사적 접근은 실상 맑스의 변증법적 계급 분석의 기초임을 밝힌다. 그리고 분석적 측면에서는 맑스주의 계급 분석이 종국엔 베버주의 계급 분석으로 수렴될 수밖에 없다는 테제를 라이트의 계급론으로 우회하여 기각하고, 그의 착취 중심적 계급 분석 방법이 갖는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맑스주의 계급 분석의 기초를 확인한다. 계급 죽음 논쟁에 대한 이와 같은 메타 이론적 접근은 계급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원활하게 이뤄지기 위한 초석으로 기능하는 동시에, 추후 구체적인 계급 분석 연구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한계 또한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ritically on the 'Death of Class Debate' that reached a peak during the 1990s, and to attempt anticriticism of the critiques brought up in this debate for Marxism's class analysis. The anticiriticism is done from three aspects: the methodological, explanation ability of theory, and analytical aspect.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this study shows that neo-Weberian analysts, especially Goldthorpe & Marshall, accept Lakatos's scientific research program incorrectly and Marxist class analysis even belongs to Lakatos's progressive research program. In the explanation ability of theory aspect, I try to distinguish Marx's class concept based on production from that of economic determinism, and furthermore show that both structural and historical access in antagonistic relationship are actually the root of Marx's dialectical class analysis. Finally, In the analytical aspect, I dismiss the thesis that Marxist class analysis would be converged toward Weberian class analysis through examining Wright's Neo-Marxist analysis method. Although his exploitation-centric class theory can not represent marxist class theory, critical review of his perspective give us a chance to confirm the basis of marxist class analysis. This meta-theoretic access to the 'Death of Class Debate' may be meaningful to carrying out the empirical researches about class, but has limit in the way that concrete class analysis should be needed.

      • KCI등재

        대학입시 수능시험을 평가 도구로 적용한 ChatGPT 의 학업 능력 분석

        문혜림,김진혁,한경희,김시호 아이씨티플랫폼학회 2023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Vol.11 No.5

        ChatGPT는 2022년 하반기 상업적 서비스 시작 이후에 미국 변호사 자격시험과 의사자격시험을 포함한 전문직 시험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고, 전문직 영역에서 주관식시험의 통과 능력을 입증하였으나, 교육 분야의 영역에서는 ChatGPT의 논리적 추론과 문제풀이 등 학업 능력의 평가에 대해서도 새로운 실험과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대학수학능력 시험 문제의 국어, 영어, 수학 세 주요 교과목을 활용하여 ChatGPT의 학업능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ChatGPT는 영어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69%의정답률을 보이지만, 국어와 수학 영역에서는 각각 34%와 19%의 비교적 낮은 정답률을기록하였다. 문장의 이해와 논리적 추론 능력에 관련된 수능 국어와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II) 및 수능 영어 시험의 결과 분석을 통하여, ChatGPT의 학업능력과 취약점의원인을 분석하였다. ChatGPT는 대화형 언어 모델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국어, 영어, 수학 문제를 이해하고 응답하는 능력은 있지만, 난도가 높은 논리적 추론 능력과 수학 문제풀이 능력에서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성능 평가를위한 간편하면서도 정확도가 높으며 효과적인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 ChatGPT, commercial launch in late 2022, has shown successful results in various professional exams, including US Bar Exam and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 (USMLE), demonstrating its ability to pass qualifying exams in professional domains. However, further experimentation and analysis are required to assess ChatGPT's scholastic capability, such as logical inference and problem-solving skills. This study evaluated ChatGPT's scholastic performance utilizing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KCSAT) subjects, including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ChatGPT achieved a relatively high accuracy rate of 69% in the English exam but relatively lower rates of 34% and 19% in the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domains, respectively. Through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Korean language exam, English exams, and TOPIK II, we evaluated ChatGPT's strengths and weaknesses in comprehension and logical inference abilities. Although ChatGPT, as a generative language model, can understand and respond to general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problems, it is considered weak in tasks involving higher-level logical inference and complex mathematical problem-solving. This study might provide simple yet accurate and effective evaluation criteria for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 the analysis of KCSAT scores.

      • KCI등재

        DNA를 이용한 형광페이스트 추적 방법

        문혜림,정주연,성기민,임시근 한국과학수사학회 2019 과학수사학회지 Vol.13 No.2

        In this study, we utilized artificial DNA to increase the variability of the fluorescent paste. For cost-effectiveness, we amplified the synthesized DNA (AmpDNA) and then diluted this DNA and mixed it with the fluorescent paste. We next confirmed DNA detection within this mixture at ratios of 1:100, 1:1,000, 1:10,000, 1:100,000, and 1:1,000,000. To test the stability of the DNA in various environments, the DNA and fluorescent paste mixtures were mixed at a ratio of 1:10,000 and then incubated under six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Specifically, these mixtures were applied to an externally exposed pipe and brick, transferred into tubes, and placed at 4 ℃, at 56 ℃ and under fluctuating temperature conditions (shifted between 4 ℃ for 2 weeks and 56 ℃ for 2 weeks). Room temperature conditions were also tested. After 1 month, 6 months, and 12 months, we collected samples and performed PCR using original primers and nested primers to confirm the presence of DNA. DNA was detected under all conditions up to 12 months. This study suggests that AmpDNA can be successfully used as a method to accurately track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fluorescent paste. Additionally, nested PCR provides a useful method for rapid, simple, and accurate confirmation. 본 연구에서는 형광페이스트의 다양성을 높이고자 인위적으로 제작된 DNA를 활용하였다.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합성된 DNA를 증폭하여(AmpDNA) 사용하였고, AmpDNA를 희석하여 형광페이스트에 혼합하였다. 1:100, 1:1,000, 1:10,000, 1:100,000 및 1:1,000,000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DNA가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DNA의 안정성 시험을 위해 DNA와 형광페이스트가 1:10,000으로 희석된 혼합물을 6가지 다양한 환경조건(파이프와 벽돌에 도포하여 외부에 노출, 튜브에 옮긴 후 4 ℃, 56 ℃, 4 ℃ 2주 및 56 ℃ 2주 변경 반복,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1개월, 6개월 및 12개월 후 시료를 채취하였고, original 프라이머와 nested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위 6가지 조건으로 12개월 간 보관된 시료들로부터 DNA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형광페이스트가 묻은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하는 방법으로 AmpDNA가 활용될 수 있고, DNA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Nested PCR은 신속하고, 간단하면서 정확한 방법으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체인 Metformin의 모발 성장에 미치는 영향

        문혜림 ( Hye-rim Moon ),박기영 ( Ki-young Park ),강현지 ( Hyun Ji Kang ),이우진 ( Woo Jin Lee ),원종현 ( Chong Hyun Won ),장성은 ( Sung Eun Chang ),이미우 ( Mi Woo Lee ),최지호 ( Jee Ho Choi ),박경훈 ( Gyeong-hun Park ) 대한피부과학회 2019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7 No.4

        Backgrou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is a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that plays a pivotal role in the balance of cellular energy metabolism.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AMPK has numerous roles in physiological conditions, and dysregulation of AMPK induces pathological processes and diseases. However, the role of AMPK and its activators have not yet been studied in the context of hair growth regulation.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tformin on dermal papilla (DP) and outer root sheath (ORS) cells, as well as the role of the AMPK pathway in hair growth. Methods: We evaluated whether metformin, a well-known AMPK activator, had any beneficial effects on hair growth. In addition, to evaluate the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that were involved, protein levels of AMPK and β-catenin were analyzed. Results: Metformin increased the cellular proliferation of human DP and ORS cells. Ki-67 expression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metformin treatment in the ex vivo hair follicle organ culture. Furthermore, DP and ORS cells treated with metformin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AMPK phosphorylation, which in turn suppressed β-catenin degradation and enhanced its nuclear accumulation.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at metformin promoted hair growth via the AMPK/β-catenin signaling pathway in vitro with DP and ORS cells. The hair-promoting effects of AMPK activators may potentially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alopecia, and further investigation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Korean J Dermatol 2019;57(4):175∼ 181)

      • SCOPUSKCI등재

        지방층염으로 발현한 피부근염

        문혜림 ( Hye Rim Moon ),원광희 ( Kwang Hee Won ),원종현 ( Chong Hyun Won ),장성은 ( Sung Eun Chang ),이미우 ( Mi Woo Lee ),최지호 ( Jee Ho Choi ),기찬 ( Kee Chan Moon ) 대한피부과학회 2013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1 No.4

        Panniculitis is a rare cutaneous finding in dermatomyositis (DM), presenting as tender subcutaneous nodules. Because panniculitis may precede other symptoms of DM, and its complications, including pain, lipoatrophy and carcinosis, might be severe and irreversibl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nniculitis is important. We herein describe a case of dermatomyositis first presenting as panniculitis in a 45-year old man. (Korean J Dermatol 2013;51(4):284∼28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