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Cellular Structure in Drosophila Retina Using 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y

        문지영,이경은,한성식,Mun, Ji-Young,Lee, Kyung-Eun,Han, Sung-Sik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2009 Applied microscopy Vol.39 No.2

        초파리 망막 세포의 미세구조연구는 1960년대부터 수행되어 왔으나, 이 연구들은 2차원 구조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다. 본 논문은 초고압 동결법, 연속절편법, 초고압 전자현미경, 그리고 3차원 구조 구현법을 이용하여 초파리 성체의 망막 세포에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 미세소관, 그리고 핵의 3차원 분포를 연구한 결과이다. 이를 통하여 미토콘드리아는 주로 세포막 가까이에 위치하며, 그 수는 렌즈와 가까운 말단부분에 많은 것을 알 수 있었고, 미세소관은 렌즈와 가까운 망막 말단부분과 시신경과 연결되는 기부에 특히 많은 수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망막 변성의 원인이 되는 세포 소기관이므로, 이들의 세포 내 3차원 분포는 병의 원인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Studies about the structure of Drosophila melanogaster retinal cell using electron microscopy have been carried out in details since 1960s. However, these results can have limitations in functional research because of two-dimensional structure. In this study, the adult retina of Drosophila melanogaster was investigated by employing high pressure freezing method, serial sections, 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y, and 3-dimensional reconstruction method. From there results, mitochondria, microtubules, and nuclei were reconstructed as 3-dimensional structure using IMOD program. The 3D structure of these organelles showed that mitochondira mainly located in distal region near lens, and microtubule mainly located in distal and basal region. The 3D reconstruction of these organelles can be used for a critical evaluation in the dynamic change of cellular organelles caused by functional abnormality like retinal degeneration.

      • KCI등재

        Rhabdomere Formation in Late Pupal Stage of Drosophila melanogaster; Observation Using High-Pressure Freezing and Freeze-Substitution, and High-Voltage Electron Microscopy

        문지영,한성식,Mun, Ji-Young,Arii, Tatsuo,Hama, Kiyoshi,Han, Sung-Sik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2007 Applied microscopy Vol.37 No.1

        The late pupal stage of Drosophila melanogaster occurs immediately before the completion of retinal development, during which the rhabdomere rapidly forms. In this period, the photoreceptor cells were fixed and dehydrated using a high-pressure freezer (HPF) and freeze substitution (FS) technique, which is the most effective in preserving the cell structures, and observed using high-voltage electron microscopy (HVEM) at 1000 KV. The rhabdomere was classified structurally into three types of formation patterns using stereo-tiling image of thick sections. Initially, hexagonal arrays of rhabdomere existed in different angles. In addition, small pieces of rhabdomere could be observed in the cytoplasm of the photoreceptor rolls, which were visible during the profess of rhabdomere formation. In addition, multiple layers of rhabdomere strings were observed. We observed there are at least three types of vesicles related to rhabdomere formation in photoreceptor cel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se vesicles initiate the formation of the rhabdomeres during the pupal stage. Collectively, these data suggest that rhabdomeres were mainly formed through vesicles, and that parts of the rhabdomere formed first and then gathered and formed rhabdomeres in the late pupal stage. 감간분체 (Rhabdomere)가 왕성하게 형성되는 번데기시기의 Drosophila melanogaster 광수용체 세포를 고정효과가 가장 좋은 high-pressure freezing (HPF)와 freeze-substitution (FS) 기법으로 고정한 후, 초고압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1000 KV 전압에서 관찰하였다. 후박절편(250nm)의 tilting image를 통하여 광수용체 세포에서 감간분체 형성의 세가지 형태가 관찰되었다. 첫째로, 감간분체의 육방정계 배열이 (hexagonal may) 서로 다른 각도로 존재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광수용체 세포의 세포질 안에서 감간분체 형성의 중간 과정으로 보여지는 작은 조각의 감간분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감각분체가 여러 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 광수용체 세포의 세포질에는 최소한 세 가지의 소낭(vesicle)이 존재하였고, 이들 소낭들은 번데기 시기의 감각분체 형성을 주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들에 의하여 소낭이 감각분체 형성과 감각분체의 부분들이 모여서 감각분체를 완성되는 과정에 관여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 KCI등재

        Improved Ultrastructural Preservation of Retinal Cells in Drosophila melanogaster

        문지영,박세진,한성식,Mun, Ji-Young,Park, Se-Jin,Han, Sung-Sik Korean Society of Microscopy 2007 Applied microscopy Vol.37 No.3

        정확한 세포의 구조 분석을 위해서는 조직을 가능한 한 자연 상태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용되고 있는 화학적인 고정방법은 조직의 변형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그 해결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연구의 결과로 현재 급속 동결법이 제시되었고, 그 중 초고압동결법(high-pressure freezing method)는 가용 두께가 $200{\mu}m$로서 $10{\sim}15{\mu}m$정도인 침윤동결법(plunging method) 혹은 접촉동결법 (slamming method)보다 우수한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팀에는 노랑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의 레티나를 화학고정법과 고압동결법으로 고정하여 미세구조를 비교하였다. 먼저 120kV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세포 소기관을 비교하였고, 그 중 미토콘드리아의 형태변화를 좀 더 자세히 비교하기 위하여 초고압전자현미경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급속동결 세포의 세포막과 미토콘드리아의 고정에서 특히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주로 탈수에 의한 구조변형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The Drosophila retinal cell is widely used to study cell development and cell signaling processes. In the past decades, conventional chemical fixation had been used to study the structure of retinal cells in Droscphila. Rapid freezing methods are superior to chemical fixation methods due to their fixation speed. Some Drosophila tissues, such as the eyes, should not be freezed due to their surrounding cuticle layer.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Drosophila retina, the benefits of high pressure freezing and freeze substitution (HPF-FS) had not been verified. In this study, a retinal cell from Drosophila melanogaster had been studied by using the HPF-FS method. Compared to chemical fixation, the preservation of the cytoplasm in the HPF-FS sample was improved on the whole. The HPF-FS cell membranes were smoother than that of chemical fixation. In addition, HPF-FS preserved the mitochondria structures very well. Thes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HPF-FS is superior to other fixation methods for the preservation of the retinal cell structure.

      • KCI등재

        대학생의 과학 정보에 대한 신뢰도 판단 특성

        문지영(Mun Ji yeong),김은진(Kim Eun jin),김성원(Kim Sung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과학 정보를 선택하고 판단하는 일상적 맥락에서 과학 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기준과 그 특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이 미디어에 제시된 과학 정보를 선택하여 신뢰도를 어떠한 기준에서 판단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 대학에서 과학 교양 과목을 한 학기동안 수강한 45명의 대학생이었다. 강의가 이루어지는 기간 내에 연구 참여자들은 미디어에 제시된 과학 정보 중 신뢰하는 정보와 신뢰하지 않는 정보를 한 가지씩 선택한 후 각 과학 정보에 대한 내용 요약 및 신뢰할 수 있는 이유, 신뢰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고 제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생 보고서를 통해 이루어졌고 총 90개의 과학 정보에 대한 신뢰도 판단 근거를 분석하였다. 2인의 연구자가 귀납적 분석을 통해 총 243개의 신뢰도 판단 근거를 비교하고 분류하여 범주화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243개 신뢰도 판단 근거의 빈도수를 체크하였다. 연구 결과, 신뢰도 판단 기준을 1) 과학 내용에 기반을 둔 신뢰도 판단, 2) 과학 정보의 질적 측면에 기반을 둔 신뢰도 판단, 3)사회적/윤리적 측면에 기반을 둔 신뢰도 판단, 그리고 4) 개인적 신념과 일상경험에 기반을 둔 신뢰도 판단의 4가지 범주와 12개의 하위 범주로 나타났고, 하위 범주별로 각 신뢰도 판단 사례를 제시하고 기술하였다. 응답비율을 살펴보면, 과학 내용에 기반을 둔 신뢰도 판단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사회적/윤리적 측면에 기반을 둔 신뢰도 판단 사례가 적었다. 한편, 과학 정보가 지닌 윤리적 측면에 기반을 둔 신뢰도 판단은 신뢰하지 않는 과학 정보에 대해서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정보의 판단과 평가를 위한 과학 수업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In contemporary society, the ability of decision making has been emphasized as a key component of 21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21st century citizens contact with scientific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TV programs or news coverage. In order to acquire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to make a decision about it, the public and students need to evaluate and judge scientific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media.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undergraduate students evaluate the trustworthiness of scientific information in the daily context of selecting and judging scientific inform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45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science liberal arts course for one semester. During the lecture period, the students selected two types of scientific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media, one is a trustworthy information and the other is not. They evaluated the trustworthiness for each scientific information. Students’ written pape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 total number of 243 evaluation criteria were founded. They were compared, classified and categorized based on inductive analysis by two researchers.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evaluates the trustworthiness of scientific information based on four criteria: 1) the scientific content, 2) the quality of information, 3) social/ethical aspects of science, and 4) personal belief and everyday experience. Many students focused on the scientific content for evaluating the trustworthiness of scientific information, both of the trustworthy and the untrustworthy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s rarely draw up social/ethical aspects for evaluating the trustworthiness of scientific information. Also, students’ evaluation based on the ethical aspect of scientific information appeared only for the scientific information which was not tru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proposed the science lesson for judging and evaluating the science information.

      • KCI등재

        시청각 자료 중심 방법과 문맥 중심 방법의 아랍어 어휘 학습 비교 연구

        문지영 ( Mun Ji-yo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21 중동연구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stening-visual based teaching and context based teaching on Korean AFL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in a classroom.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24 Arabic intermediate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8 classe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listening-visual based teaching and context based teaching groups. The effectiveness of vocabulary teaching has been measured in the following dimensions: how it affects long-term memory and how it affects application of memorized vocabulary in various contex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utcome of the experiment indicates that listening-visual based teaching was more effective than context based teaching for learners to infer the meaning of the target words. Also, in the 8 tests for Arabic vocabula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t showed that listening-visual based teaching was effective in learning vocabulary. Secondly, listening-visual based teaching helped increase the retention of vocabulary in learners’ long-term memory.

      • KCI등재

        의미 단위화, chunking와 소리 내어읽기, reading aloud에 의한 학습이 아랍어 어휘 및 문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지영 ( Jiyoung Mun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15 중동연구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unking and reading aloud as Arabic teaching method which can improve Arabic grammatical and lexical ability of AFL learners. An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on two groups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tudents for 4 weeks, 20 hours in total. The lesson for each group was composed of two parts. In the first part of the lesson, both groups learned Arabic grammar with different treatments. Comparative group learned Arabic grammar only with the grammatical explanation and experimental group learned chunked sentences of meaningful units or syntax structure units while reading those aloud. In the second part of the lesson, comparative group solved problems related to the contents taught in the first session. However, experimental group learned Arabic verbs with Arabic collocation dictionary. In common with the first session,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ad the example sentences aloud agai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considerable improvement while those in comparative group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Second,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 read chunked sentences aloud during the experiment, showed more interest in studying Arabic language in general and active attitude in learning Arabic vocabulary. Also, it is observed that the way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helps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sentences while reading and to learn both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while listening and speaking. Lastly, learning with collocation improves Arabic reading skills of students since it enables students to grasp the real meaning of the vocabulary in given context.

      • KCI등재

        대학생 학업 중단 예방을 위한 기계학습 기반 모형 탐색

        문지영(Jiyoung Mun),조명근(Meounggun Jo)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2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중단 예방을 위해 학생의 특징과 중도 탈락 여부의 예측 성능 지수가 좋은 모델을 탐색하였다. 2018년~2022년 동안 충남지역 A 대학교 학적 데이터 30,118건을 6가지 분류 모형에 적용한 결과, 정확률은 XGBoost 알고리즘이 96.9%, 재현율은 서포트벡트머신이 94.4% 성능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성능 지표가 좋은 XGboost가 최종모형으로 선택되었으며 중도 탈락 영향 요소 중요도는 학적 변동 총 횟수, 이수 학기 수, 휴학 횟수, 총 평점 평균, 학년, 학사경고 횟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계학습 모형 결과를 기반으로 일관적인 중도 탈락 예측 과정을 통해 학교 이탈 확률이 높은 학생들의 대응관리 장·단기 전략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we explored models with good performance indexes for predicting student characteristics and dropout status to prevent students from dropping out. As a result of applying 6 classification models to 30,118 academic data of University A from 2018 to 2022, the accuracy rate of XGboost algorithm was 96.9% and the recall rate was 94.4%. XGboost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and the importance of the dropout influencing factors w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total number of grade changes, number of semesters completed, number of leaves of absence, grade point average, grade level, and number of academic warnings. Finally, we proposed long-term and short-term management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a high probability of dropping out of school through a consistent dropout prediction process.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예술통합 활동의 분석

        문지영 ( Ji Yeong Mun ),송주연 ( Joo Yeon Song ),김성원 ( Sung Wo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예술 통합 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예술적 요소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예술통합 활동을 선정하고, 이를 예술 활동의 형태, 기능, 역할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Baron과 Eisner(1997)의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예술적 요소 분석틀을 개발하여 과학-예술 통합 활동에 포함된 예술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예술통합 활동에 사용된 예술 형태로는 미술이 가장 많았고, 두 가지 형태를 가진 혼합형, 언어 등이 많이 나타났다. 예술 활동의 기능 측면에서는 학생들에게 직접적으로 예술 활동을 요구하는 직접적 기능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술 활동의 역할에 관련해서는 응용 및 적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기 유발과 개념 이해가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예술적 요소 분석 결과에서는 공감의 증진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 형태 위주의 과학-예술통합 활동뿐 아니라 음악, 무용 등 다양한 예술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예술 활동의 역할측면에서도 동기 유발, 개념 이해도 강조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고려한 과학-예술통합 활동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science-arts integration activities in science textbook and explore the artistic elements of science-art integrated activitie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science-arts integration activitie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Korea by revised curriculum in 2007. We analyzed them by the type,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arts. The analysis of artistic element was based on ``design element`` suggested by Baron & Eisner. Results revealed that the science-arts integration activities were using a visual art form than any other and the role of arts was mainly to apply science concepts. Through the artistic element analysis, we found that most activities were emphasized on ``empathic understanding`` category than other 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s, science-arts integration activities with more diverse form of art should be developed. Also the artistic el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future science-arts integratio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