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켓 추진 원리를 이용한 고등학생 대상 과학교육프로그램 개발

        문영주(Young joo Moon),이동언(Dong eun Lee),이설하(Sul ha Lee),이은주(Eun joo Lee),이창진(Changjin L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3 No.4

        우리나라 우주발사체 개발에 대한 청소년들의 흥미 유발과 로켓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로켓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고등학교 물리 1,2, 화학 1,2를 분석한 후 로켓의 추진 원리와 연계하였고, 추진 원리의 이해를 바탕으로 모델로켓 엔진을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모델로켓에서 추진제로 사탕, 육포, 초콜릿 등과 같은 고열량 식품들을 사용하여 추진제를 제작하였다. 특히 교육프로그램은 식품을 이용한 추진제 제작, 연소 온도 측정, 추력 측정과 모델 로켓의 제작, 발사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통해 사탕을 이용한 제작한 추진제와 솔비톨로 제작한 추진제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성취도 평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술적, 교육적 목표를 제시하고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하여 목표 달성 여부도 판단하였다. This paper aims to design an educational science program based on rocket propulsion for high school students. Curriculum in high school physics and chemistry were evaluated to find out scientific match with basic principles in rocket propulsion. Also model rocketry was implemented as a part of the educational program. Solid propellants were prepared by the combination of sorbitol and candy after a selection process for solid propellant from several high caloric food candidates. Specially, this program was intended to give an opportunity to organize basic knowledge of high school science with model rocketry by measuring combustion temperature, thrust level of developed propellants. A pilot operation of the program was done with four high school students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final goals of the program both in technical and educational aspect.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직무수행에 있어 멘토유무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문영주(Young-Joo Moon) 한국비영리학회 2007 한국비영리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행정조직 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갈등, 역할 모호성, 직무수행에 있어 멘토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공공 사회복지행정조직에서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7월 20일부터 8월 14일까지 부산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550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우편을 이용한 구조화된 설문지 방법을 활용하였는데 배포된 550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258부 가운데, 결측치가 10% 이상이거나 응답이 불성실한 14부를 제외하고, 244부를 최종분석에 반영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다집단 분석 및 잠재평균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멘토가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역할 갈등과 역할 모호성은 낮고, 직무수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성공적 업무수행에 필요한 제반의 기술 습득에 관한 후원, 지도, 보호 등을 제공해 주는 멘토가 있음으로 인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의 수준을 낮추며, 직무수행능력을 제고하는 하나의 토대가 됨을 보여주었다. 결국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멘토링 제도의 활성화는 공공 사회복지행정조직 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뿐 아니라 클라이언트에 대한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과 질 개선을 위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duce plans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Publc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role conflicts, role ambiguity, job performance by the public social workers with mentor.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 to August 14, 2007 by conducting a mail survey for 550 public social workers that worked in Public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Busan. It distributed 550 questionnaires, collected 258 and used 244 questionnaires to analyze.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Latent means analysis(LMA) where workers without mentor are used as the reference group, workers with mentor show lower latent mean values on role conflicts, role ambiguity and higher latent mean values on job performance. Such a results represent that the lever of role conflicts, role ambiguity decrease, the lever of job performance improve when public social workers have mentor providing sponsorship, coaching, protection about skill acquisition required for the successful job performances. Finally, activating of professional and systemeic mentoring system for public social workers is imfortant for the effective service provision and a quality improvement for clients, as well for the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 특성이 지식공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영주(Moon, Young Joo) 한국비영리학회 2009 한국비영리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직무중요성, 직무도전성, 직무자율성 등의 직무특성이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지식공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전국 15개 시도의 지역사회복지관 중 100개의 지역사회복지관을 층화표본추출하여 해당 기관에 근무중인 사회복지사 전체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변수들간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모형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경로에 있어 실무자와 팀장급 이상 직위 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직무중요성은 지식공유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직무도 전성과 직무자율성은 직무몰입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급변하는 대내외 사회복지환경 속에서 민간 사회복지 부문의 핵심 인적자원인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지식공유활동 증진에 더 많은 관심이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of social workers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would be affected by task significance, job challenge and job autonomy. For that purpose, a survey was taken among the social workers working for 100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15 provinces and cities in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After set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ng the variables and analyzing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it was investigated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path of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staffers and those who held a position as a team leader or higher.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ask significance had direct impacts on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while job challenge and job autonomy turned out to have indirect influences impacts via job involvement. Thus they need to invest further interest into the improving of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mong social workers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who are the essential human resources in the private sector in today’s social welfare environment that’s changing rapidly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의 사회적 자본 척도 구성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문영주 ( Young Joo Mo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사회적 자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도가 높은 사회적 자본 척도를 구성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사회복지조직 간 사회적 자본 수준의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국 15개 시·도의 사회복지조직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구성한 사회적 자본 척도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석 수준에 대한 검토 결과, 사회적 자본 변수는 조직 수준에서 해석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형태 동일성, 측정 동일성, 절편 동일성 확인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회적 자본 척도는 사회복지조직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잠재평균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자본의 하위 지표인 네트워크 연결성, 비전 설정 및 공유, 호혜적 규범, 신뢰 및 협력, 단체참여에 대한 사회복지조직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네트워크 연결성, 호혜적 규범, 신뢰 및 협력, 단체참여에 있어 조직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비전 설정 및 공유에 있어서는 조직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조직관리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construct an social capital scale that could be commonly used b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to apply it to examine any differences in social capital amo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by mail to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15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nation and conducted latent means analysis.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measurement indicators of social capital were proved to be satisfactory level. Secondly, social capital were found to be interpret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rough the review of levels of analysis. Meanwhile, the configural, metric, and scalar invariance of social capital scale were confirmed, which indicates that the social capital scale can be commonly applied to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inally, latent means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differences amo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subindexes of social capital including network connectivity, setting and sharing of vision, reciprocal norm, trust and cooperation, and group participat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network connectivity, reciprocal norm, trust and cooperation and group participation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in sharing of vision, goal and core value. Those findings led to implications needed to manag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 KCI등재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이중몰입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문영주(Moon Young Joo)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3

        사회복지사의 이직률이 높은 것은 비단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며, 이로 인해 사회복지 학계에서는 오랫동안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관련 연구를 시도해 왔다. 그러나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탐색적으로 살피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사회복지사들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이직의도를 갖게 되는지, 그리고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와 관련하여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이중몰입(조직몰입,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부산ㆍ경남 지역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1,162명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을 실시한 후, 회수된 875명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조직의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는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중몰입은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과 이직의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효과분해 결과, 경력이동의도에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가 더 크고, 경력변경의도에는 경력몰입의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사회복지관의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와 관련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high turnover rates among social workers have long been an issue in the sector, and the social welfare academy have conducted researches on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s.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remain in the stage of exploring the factors to affect turnover intention. There are few studies that analyzed which factors caused social workers to develop turnover intention and what patterns their turnover intentions took based on a women-friendly human resources management. Thu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men-friendly human resources management on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workers and examine their turnover intentions in details by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dual commitment(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For that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by mail with 1,162 social workers working for community welfare centers around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 total of 875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omen-friendly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had no direct effects on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s. Secondly, dual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friendly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s. To be specific,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s on career mobility intention, And career commitment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s on career withdrawal intention. Implication for agency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particularly in the area of women-friendly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are discussed.

      • KCI등재

        지역자활센터 성과평가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문영주 ( Young Joo Mo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2

        본 연구는 지역자활센터의 성과평가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로, 구체적으로는 성과평가 기준, 평가 절차, 평가 시행, 평가 결과에 대한 보상, 평가 결과의 환류 각각에 있어 팀장급 이상의 실무자와 일반 실무자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9월 6일부터 9월 30일까지 전국 15개 지부의 지역자활센터에 근무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배포된 672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439부 가운데, 432부를 최종 잠재평균분석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자활센터의 실무자들은 참여적 성과평가 시행이라는 측면에 있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성과평가에 대한 환류 측면에 있어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팀장급 이상의 실무자들은 일반 실무자들에 비해 성과평가의 기준, 평가 결과에 대한 보상에 대해 보다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자활센터의 성과평가제도와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Under the goal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staff perceptions in performance evaluations at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whether differences would be found between team leaders or those in higher positions and the common staff in criteria, procedures, implementation, rewards, and feedback of performance evaluation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by mail with staff working for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in 15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nation from September 6 to 30, 2010. Of 672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439 were returned. Of these, a total of 432 were used in latent mea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ff at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had a relatively negative percep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terms of rewards for evaluation results. Secondly, the team leaders or those in higher positions had a more negative percep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terms of evaluation criteria and rewards for evaluation results than common staff.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offered some implications with regard to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at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 KCI등재
      • KCI등재

        통합사례관리 수행과 성과에 대한 공공과 민간 부문 전문가의 인식 비교

        문영주 ( Moon Young-joo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7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4 No.2

        이 연구는 통합사례관리 수행과 성과에서 공공과 민간 부문 전문가의 인식을 비교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경남 지역의 공공과 민간 부문 사례관리 전문가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총 1,108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871부 가운데 성실히 응답한 858부를 최종 잠재평균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상자 발굴과 초기상담, 욕구·위기도 조사와 서비스 제공계획 등에서 공공 부문 전문가들은 민간 부문 전문가에 비해 사례관리 수행도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의 중복 및 누락을 완화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줄여 주는 등의 통합성 면에서 민간 부문 전문가들은 공공 부문 전문가에 비해 사례관리 성과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중심 민관협력 사례관리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xperts from the public sector with those from the private sector in the perceptions of case management performance and outcome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a mail survey with case management expert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on September 15~October 15, 2014. Total 1,10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871 were returned. After excluding the ones whose responses were insincere, the investigator used total 858 questionnaires in the final latent means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s in the public sector had a higher perception of case management performance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private sector in the aspects of identification of subjects, initial counseling, assessment survey of needs and risks, and service provision plans. Secondly, the experts in the private sector had a higher perception of case management outcom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public sector in the aspects of integration such as alleviating service overlapping and omission and reducing the blind spots of welfare.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community-centered case management throughout public-private partnership.

      • KCI등재

        다리움직임을 동반한 척추 가동술(SMWLM)과 통합한방치료를 활용하여 호전된 급성 하지 근력저하 4례 : 증례보고

        문영주(Young-Joo Moon),신원빈(Won-Bin Shin),류광현(Gwang-Hyun Ryu),이지연(Ji-Yun Lee),전현아(Hyun-A Jeon),임수연(Su-Yeon Lim),김성현(Seong-Hyun Kim),구승혁(Seng-Hyuk, Koo),문현우(Hyun-Woo Moon)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20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Vol.15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spinal mobilization with leg movement (SMWLM) using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cute lower limb muscle weakness through four case studies. Methods SMWLM , with other Korean Medicine treatments, was performed on four patients who underwent treatment at OOOO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August 2017 to July 2018. Additionally, results of the Numerical Rate Scale(NRS), EuroQol-FiveDimensions(EQ-5D),Oswestry low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ODI), Straight Leg Raise(SLR) test, and Manual Muscle Test(MMT) were evaluat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NRS, ODI, and EQ-5D scales with im-rovements of SLR angle and MMT figures to a normal rang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combined with SMWLM may affect treating acute lower limb muscle weakness. Further clinical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a definite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