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상호운용 성숙도 모델을 이용한 상호운용성 측정 사례 연구
문소영(SoYoung Moon),류동국(DongKuk Ryu),서지연(JiYoun Seo),김영철(R.YoungChul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B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개발시 시스템간의 상호운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도를 제시하는데 있다. 다시 말하자면 다른 웹 서비스 방식과 분산 객체 방식의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들의 상호운용 성숙 정도를 측정하려는 시도에 있다. 적용 사례에서는 클라이언트는 .NET 환경을 서버는 EJB 환경 상에서 개발된 EJB와 .NET 컴포넌트는 웹 서비스 방식과 IIOP.NET를 이용한 분산객체 방식 두 가지 방식으로 상호운용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상이한 상호운용 방식에 대하여 성숙도 모델인 LISI를 기반으로 상호운용 측정 기법을 적용하여 상호 운용 능력을 측정하려 노력하였다. LISI 상호운용 능력을 측정한 결과 웹 서비스에 의한 방식이 분산 객체 방식보다 높은 상호운용 능력이 있음이 나타난다.
봉준호 영화 ‘기생충’과 ‘설국열차’의 상징적 공간을 통해 나타난 종교로서의 자본주의
문소영 ( Moon Soyou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0 예술과 미디어 Vol.19 No.2
본고는 봉준호 영학 '기생충'(2019)과 ‘설국열차’(2013)에 묘사된 자본주의 혹은 자본주의적 계급에 기반한 체제의 상황을 철학자 벤야민의 단편 저술 '종교로서의 자본주의'(1921)와 관련해 분석한다. 미래 배경의 SF액션 ‘설국열차’와 달리 현대 한국 배경의 블랙코미디 스릴러 ‘기생충’은 그 영화적 재현과 현실과의 관계, 특히 가난의 재현 방식에 대한 논란이 있음을 감안하여, 본고는 영학 전체를 현실의 반영으로 보기보다, 현실에서 발견되는 자본주의의 종교학 징후가 영화에서 어떻게 압축적·상징적으로 묘사되는지에 집중한다. 벤야민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일종의 제의(祭儀) 종교로서, 첫째, 모든 것이 제의와 직접 관련해서만 의미를 지닌다. 여기서 제의는 시장가치를 형성하는 매매·투자 등의 행위는 물론, ‘기생충’에서 지하실의 근세가 박사장을 숭배하는 것처럼, 농은 시장가치를 지닌 존재에 대한 숭배를 아우른다. 둘째, 이러한 제의의 “영구적 지속”을 통해 종교로서의 자본주의는 공고해지는데, ‘기생충’의 여러 인물처럼 자본주의적 가치를 모든 가치의 기준으로 삼는 사고의 내재화가 제의의 “지속”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종교로서의 자본주의는 ‘죄책감’과 ‘빚’을 동시에 의미하는 ‘schuld(채무/죄과)’를 생산하고 퍼뜨린다. ‘기생충’의 김씨 가족과 근세처럼 본인의 무능력으로 빈곤해졌다는 죄책감을 갖거나 문자 그대로 부채를 지는 상황이 확산되는 것이다. ‘기생충'에서는 자본주의의 이러한 종교적 특성이 수직적 구조의 상징적 공간들을 통해 강조되는데, 그 3가지 공간은 그늘진 반지하; 축복 같은 햇살이 가득한 언덕 위의 저택; 죄인의 지하감옥처럼 보이는 어두운 지하실이다. 특히 영학의 비관적 결말은 종교화된 자본주의에서 탈출구가 없다는 벤야민의 묵시적 비전과 벤야민에 영향을 미친 베버가 언급한 '쇠우리'에 갇힌 절망감을 공유하고 있다. 반면에, '설국열차’는 탈출구의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설국열차’는 체제가 종교화되어 있는 현상을 ‘기생충’보다 더욱 극단적으로 묘사한다. 또한 ‘기생충’처럼 공간적 상징주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계급 문제를 나타내는데, 열악한 꼬리칸에서 봉기한 빈민 반군이 부유층과 독재자가 있는 머리칸으로 전진해 나가는 서사를 통해, ‘기생충’보다 한결 단순한 공간 구조와 갈등을 보인다. 그런데 ‘설국열차’는 일종의 ‘쇠우리’인 열차 안에서의 ‘꼬리칸 vs 머리칸’ 구조 외에 열차 바깥 세계의 존재를 부각시켜 ‘쇠우리 안 vs 밖’의 구조를 만들고 쇠우리 자체를 부수려는 캐릭터를 등장시킨다는 점에서 ‘기생충’과 차이점을 지닌다. ‘설국열차’의 이런 특성은 원작인 동명의 프랑스 만화와도 차별화되는 것으로서, 낙관성이 두드러진다. 이렇게 한 명의 감독이 고착화된 체제와 계급 상황을 공간 상징주의를 통해 각각 비관적, 낙관적으로 묘사한 두 영화를 상호보완적으로 봄으로써, 현실에서의 자본주의의 종교화 징후를 새롭게 인식하고 그 대안과 관련된 담론에 대한 통찰력을 가질 수 있다. The capitalist situations portrayed in Bong Joon-ho’s film ‘Parasite’ can be associated with the thre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capitalism presented by philosopher Benjamin. Considering the controversy over the cinematic representation’s relationship with the reality, in particular the representation of poverty in ‘Parasite’, this essay abstains from viewing the film as pure reflection of the reality but focuses on its symbolic portrayals of the symptoms of religious capitalism that are discovered in reality. According to Benjamin’s short writing ‘Capitalism as Religion’(1921), capitalism is like a cultic religion, first, as everything has meaning only in relation to the “cult” including worships of high market values. Second, the “cult” is concretized by “the permanent duration”, or our internalization of thinking and lifestyle based only on market values. Third, capitalism produces and spreads “guilt” or indebtedness; the poor feel guilty or indebted since they failed to make money and literally fell into debt. Such characteristics of capitalism are unfolded in ‘Parasite’, a black comedy thriller about class conflicts, through the vertical structure of three symbolic spaces: the shady semi-basement; the mansion on a high hill full of blessing sunlight; and its dark underground bunker, which looks like a dungeon for a sinner. In particular, the movie’s pessimistic ending and Benjamin’s apocalyptic vision share the fear of no escape from the “iron cage”-like capitalist religion. On the other hand, another of Bong’s films, ‘Snowpiercer’(2013), tells the story of an escape. Effectively using spatial symbolism like ‘Parasite’, the sci-fi action portrays class struggle through a horizontal, one-directional, forward movement of rebels from the wretched tail compartment to the luxurious front sections. Unlike in ‘Parasite’, in ‘Snowpiercer’ there exists ‘the outside’ and a character who is prepared to reach it. In this aspect, the film is also distinguished from its original graphic novel of the same title. The two films of Bong supplement each other in upgrading our insight into the symptoms of capitalism as religion in reality and the related discourses.
COVID-19에 따른 비대면 온라인 노인 음악중재 경험에 관한 질적 탐구
문소영(Moon, Soyoung),박지원(Park, Jiwon),양수아(Yang, Sua)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노인 음악중재의 경험과 의미를 질적으로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코로나19로 심리적 지원이 요구되는 3명의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음악중재를 위해 2020년 8월부터 10월까지 초기 전화면담,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 음악중재, 사후 전화면담이 진행되었다. Giorgi의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구성요소와 10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주요 구성요소로 온라인 세션의 심리적 부담, 온라인 세션에 적응하기, 온라인 음악중재의 심리치료 효용성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체계적인 온라인 음악중재를 위한 다각적인 실행 전략이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온라인 노인 음악중재에서 경험할 수 있는 의미와 대안, 음악을 활용한 심리치료의 가능성을 고찰함으로써 심리적 지원의 형태로 적용 가능한 비대면 음악치료의 방향성을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the online usic therapy for the elderly in the COVID-19 era. The on-line music therapy sessions comprising mobile interviews, Youtube sessions and Zoom platform sessions (live synchronous video conferencing system) were conducted for 3 elderly women requiring psychological support from August 2020 to October 2020.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f Giorgi, 3 categories and 10 sub-categor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ere were initial psychological burdens due to unfamiliar online sessions, trials and errors during online sessions and its managements, and therapeutic effects and benefits of online music therapy sessions and tasks towards future music therapy sessions. Based on the findings, various therapeutic strategies were determined. This indicates that online music therapy could be a viable intervention in supporting psychological health of elderly.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문소영 ( Moon Soyoung ),최진혁 ( Choi Jinhyeo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3
thodology. In the education field, the social network analysis have been used to identify friendship, peer-interactions, peer relationships, academic achievement, etc. Thu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cent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characteristics related to ASD students’ social relations, so that more researchers would be able to employ the social network analysis for autistic students’ improvement in their peer relations. We searched 18 related research literatures through the systematic process. The selec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s (i.e., publication years, countries, grade levels, types of participants, measurement methods, etc.) and the research results (i.e., purposes, etc.).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at 18 papers were published since 2007 and the number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consistently increased in the last 11 years. The most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Most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used surveys on students.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implemented to analyze social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with ASD across all grade levels. We discussed that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for the research the ASD students’ social relations.
일 정신병원의 형사정신감정을 통해 본 책임능력판단의 실제
문소영(Soyoung Moon),박소연(Soyeon Park),조진석(Jinseok Cho),유도원(Dowon You)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1 신경정신의학 Vol.60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mographic, clinical, and criminal characteristics and legal judgments of criminal cases, in which psychiatric evaluation was requested,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riminal responsibility judgment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00 subjects that committed crimes and the judgment records of 51 subjects admitted to Yongin Mental Hospital from February 2005 to February 2021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Psychiatric disorder groups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demographic, clinical, criminal characteristics, and legal judgments. Factors affecting criminal responsibility judgment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legal judgment groups. Results Psychiatric history, criminal motivation, and criminal histor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psychiatric disorder groups. Differences between the opinions of the appraiser and courts regarding criminal responsibility were significantly dependent on psychiatric disorder type, and there was a consistent tendency according to the psychiatric disorders, but there was a difference of opinion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psychiatric diagnoses and symptoms such as psychotic symptoms and cognitive impairments that provoke crime can influence criminal responsibility judgments.
AOS음악중재가 노년기 음성건강과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문소영(Moon, Soyoung),박지원(Park, Jiwon),양수아(Yang, Su A)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노인복지연구 Vol.74 No.3
이 연구는 AOS(Alexander technique-Oral motor respiratory exercise-Song psychotherapy)음악중재가 노년기 음성건강과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 노인 커뮤니티 시설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일반 노인 21명으로 하여, 주 2회, 80분씩, 소규모(6-8명) 그룹으로 총 12회기의 AOS음악중재가 수행되었다. 설명적 순차설계 방식에 따라 음성건강을 위한 폐활량 및 음향학적 음성 측정, 심리적복지감 척도 검사가 사전, 사후에 실시되었으며, 심층인터뷰를 통한 질적 데이터가 분석되었다.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결과, 음성건강 및 심리적복지감 사후 차이검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반응에 대한 내용분석에서도 AOS음악중재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음성사용에서는 호흡 및 발성 습관의 변화, 몸을 세우는 자세의 변화를 보였으며, 심리적복지감에서는 삶의 재조명 및 새로운 배움에 대한 도전, 인생통합의 경험 등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고령사회의 노년기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음악중재로서 시사점을 제시하고, 실천적 모델을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OS music intervention on the vocal hygien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wenty one elderly participants (over sixty five years) were recruited and eighty minutes group therapy sessions comprising Alexander technique, oral motor and respiratory exercises, and songwriting were conducted two days per week for six weeks, consisting of twelve sessions in total. Using an explanatory sequential design, PF-200, Praat Tes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followed. In the Wilcoxon"s signed-ranks test, the treatm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vocal hygiene and psychological welling scale. Also, the participants’ response analysis showed the positive changes in respiratory and vocalization patterns and body postures. Life retrospection, challenges of new learning, experience of life integration were discussed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indicates that AOS intervention may be an effective program in enhancing vocal hygien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한의학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태도 변화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김숙경,문소영,김범수,윤영주,Kim, Sukkyung,Moon, Soyoung,Kim, Bumsu,Yun, Youngju 대한예방한의학회 2013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7 No.3
Objective : To find a collaboration strategy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KM),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medical doctors toward KM through systematic review. Method : Systematic literature searches were performed on six Korean databases. Stud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and question items and analyzed by the context of questions, similarity of respondents and measurement scale. And we analyzed the changes of response regarding to medical doctors' and medical students' perspective and attitude to KM. Results : Eighteen survey studies including attitude of medical doctors and medical students toward KM were selected, which were conducted from 1993 to 2011. Although the attitude toward KM did not show any positive change, medical doctors have had more interest in acupuncture than herbal medicine and appreciated KM's treatment effect for musculoskeletal disease. In spite of little KM education experience, they had intentions for acupuncture education at least. Many medical doctors have listed the unscientific aspect as a major reason why they cannot trust KM. Medical doctors working for cooperative practic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han other medical doctors and medical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 in general than medical doctors Conclusion : Though the growth of KM service and cooperative practice since 1990s, medical doctors' attitude toward KM seems to become more negative. To improve their attitude, making scientific evidences for KM is required as well as giving more education and treatment experience.
남경윤 ( Kyeongyoon Nam ),문소영 ( Soyoung Moon ),김현희 ( Hyon Hee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WHO 산하의 국제암연구소는 2013 년부터 미세먼지를 1 급 발암 물질로 분류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노출에 대한 질병 발생의 심각성은 점점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는 추세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 내역 정보 데이터와 2015 년부터 2021 년까지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월 평균 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와 순환기계와 호흡기계 질병 간의 상관 관계를 보이고, 연관성있는 질병을 찾아내었다. 이를 위해 시계열분석, 상관분석,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호흡기질환에서는 급성 부비동염, 코의 농양 등의 질병과 순환기질환에서는 상세불명의 원발성 고혈압, 폐색전증이 상관관계가 높은 질병으로 판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