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경 성형술 후 초음파 유도하 내측 분지 차단술의 유용성

        문상호,이송,정재현,신원식,Moon, Sang Ho,Lee, Song,Jung, Jae-Hyun,Shin, Won Shi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1

        목적: 신경성형술로 치료한 추간판 탈출증 환자들 중 호전되지 않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음파 유도하 내측 분지 차단술을 시행하여 치료적으로 유용한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1월에서 2013년 2월까지 추간판 탈출증으로 신경성형술을 받은 만성 요통 환자 559명 중 시술후에도 요통 혹은 하지 연관통 증상을 보여, 초음파 유도하 내측 분지 차단술을 시행받고 1개월 추시가 가능하였던 88명과 이 중 6개월 추시가 가능하였던 3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 명의 의사가 모든 증례를 시술하였으며 방사선 피폭의 위험을 없애고자 방사선 투시 하가 아닌, 초음파 유도하에 23 G, 10 cm 주사 바늘을 삽입하고 약제를 주사하였다. 내측 분지를 목표로 하기 위하여 횡축 영상에서 상 관절 돌기와 횡 돌기의 교차점에 바늘이 놓이도록 하였다. 시술 후 각 시점에서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와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측정하여 시술 전과 통증의 정도와 기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의미 있는 통증 및 기능의 호전 기준은 VAS 50% 이상의 감소, ODI 40% 이상의 감소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시술 전 VAS는 평균 $7.35{\pm}1.68$점, ODI는 평균 $32.82{\pm}8.77$점이었다. 이에 대하여 시술 후 1개월에 VAS는 평균 $3.36{\pm}2.98$점, ODI는 평균 $15.14{\pm}14.01$점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p<0.05) 시술후 6개월에는 VAS는 평균 $3.05{\pm}2.27$점, ODI는 평균 $12.97{\pm}8.82$점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5). 1개월 군에서는 통증이 64.49%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 59.81%에서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3개월 군에서는 통증이 64.10%에서 의미있게 호전되었고 61.54%에서 의미있게 기능이 향상되었다. 결론: 초음파 유도하 내측 분지 차단술은 추간판 질환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후방 관절의 문제에 대한 치료로서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ultrasound-guided medial branch block (MBB) for the herniated lumbar disc patients who did not relieve their symptoms after percutaneous epidural neuroplasty (PEN).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2011 to February 2013, 559 patients with herniated lumbar disc have undergone PEN. Among them, ultrasound-guided MBBs were performed for the patients who had sustained low back pain and refered pain to lower extremities. Eighty eight patients were followed at 1 month and 39 patients could be followed at 6 month. All procedures have been performed by the one operator, and 23 G, 10 cm needle was placed and 0.5% lidocaine was injected under ultrasound guide. To target medial branches from L1 to L5, the groove at the root of transverse process and the base of superior articular process has been identified on transverse scan. Patients were evaluated by Visual Analog Scale (VAS)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t each follow-up. Significant pain relief was described as a 50% or more reduction in VAS an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unction was described as at least a 40% reduction in ODI. Results: VAS showed that preprocedure pain ($7.35{\pm}1.68$; $mean{\pm}SD$) significantly decreased 1 month after block ($3.36{\pm}2.98$) and 6 month ($3.05{\pm}2.27$) (p<0.05). ODI also showed that preprocedure score ($32.82{\pm}8.77$) significantly decreased at 1 month ($15.14{\pm}14.01$) and 6 month ($12.97{\pm}8.82$) (p<0.05). Significant pain relief was observed in 64.49% at 1 month and 64.10% at 6 month. Significant functional improvement in 59.81% at 1 month and 61.54% at 6 month. Conclusion: Ultrasound-guided medial branch block may sufficiently treat the facet problems secondary from disc disease.

      • KCI등재

        스크린 프린팅 기법으로 제작된 ZnBO 첨가 (Ba,Sr)TiO<sub>3</sub> Planner Capacitor 특성 분석

        문상호,고중혁,Moon, Sang-Ho,Koh, Jung-Hyuk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2 No.9

        We have fabricated (Ba,Sr)TiO3$TiO_3$ thick films doped with various amount of ZnBO dopants (1, 3, and 5 wt%) by screen printing method on the alumina substrates, which were sintered at the temperature below $1200^{\circ}C$.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ZnBO dopants, the relative dielectric permittivity of ZnBO doped (Ba,Sr)$TiO_3$ was decreased, while loss tangent was increased. 1 wt% ZnBO doped (Ba,Sr)$TiO_3$ thick film has relative dielectric permittivity of 759 at 1 MHz, while 3 and 5 wt% of ZnBO doped (Ba,Sr)$TiO_3$ thick films have 624 and 554, respectively. By introducing ZnBO dopants to the (Ba,Sr)$TiO_3$ thick films, leakage current densities were decreased. The decreased leakage current with increasing ZnBO dopants can be explained by increased density and grain size of thick film on alumina substrate. We believe this decreased leakage current density probably come from the increased grain size and increased density.

      • KCI등재

        흑염소 방목초지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문상호,김상우,최기준,장세영,박재현,전병태,김명화,김성진,오미래,Moon, Sang Ho,Kim, Sang Woo,Choi, Gi Jun,Jang, Se Young,Park, Jae Hyun,Jeon, Byong Tae,Kim, Myoung Hwa,Kim, Sung Jin,Oh, Mi Ra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흑염소 사육을 활성화하고 경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산지초지의 활용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흑염소 방목 이용 농가(20호)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야초지로 이루어진 방목지의 경우 계절별 초지 생산성이 여름에 가장 높았으며(p<0.05), 봄철과 가을철에는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반면 목초지로 이루어진 방목지의 초지 생산성은 봄철에 가장 높은 생산성을 나타냈으며 가을철에 생산성이 다소 저하(p<0.05)되긴 하였지만, 대체적으로 계절별 생산성의 차이가 야초지 방목지에 비해 완만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계절별 방목지 초지의 사료가치 비교 결과 목초지의 경우 계절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건물함량을 나타냈고, 야초지는 봄에서 가을로 갈수록 건물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목초지의 경우만 가을철에 증가하였고(p<0.05), 야초지의 경우에는 봄에 비해 여름과 가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목초지의 경우 야초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지방 함량은 높고 조섬유소 함량은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계절에 따른 농장별 흑염소의 일당증체량은 농장별 초지 생산성 및 초지관리 기술에 따라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흑염소 사육의 활성화와 경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방목 야초지를 우수한 사료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계절별 생산성의 변화도 적은 방목 목초지로 갱신 및 조성을 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산지초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서 초지관리 기술의 메뉴얼화와 보급으로 초지 생산성의 개선을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basic inform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goat industry and the improvement of mountainous-pasture management by investigating seasonal changes in forage and livestock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grazing-pasture type. The forage productivity of rangeland was the highest (p < 0.05) in summer and decreased in autumn; but that of pasture was the largest (p < 0.05) in spring and had relatively stable productivity with minor seasonal differences, although it decreased slightly in autumn. The dry matter content was not seasonally different at pasture, but it was changeable from spring to autumn at rangeland. The crude protein content increased in autumn at pasture (p < 0.05), and decreased in summer and autumn compared with spring at rangeland. The crude fiber content was lower and the ether extract was higher at pasture compared with rangeland. The average daily gain of the goats was different depending on forage productivity and pasture type; consequently, the lowered forage productivity at rangeland compared with pasture means that rangeland needs to be changed or improved to a pasture type that provides a more effective grazing system for goats.

      • KCI등재

        종골 골절에서 Essex-Lopresti 술식 후 발생한 비복 신경 포착 -증례 보고-

        문상호,서병호,김동준,공규민,김욱년,Moon, Sang-Ho,Suh, Byoung-Ho,Kim, Dong-Joon,Kong, Gyu-Min,Kim, Wook-Nyeo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5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9 No.2

        Injuries to sural nerve through surgical incision or open wound in calcaneal fractures were reported as complications causing lateral hindfoot pain. But sural nerve entrapment by adhesive fibrous tissue after Essex-Lopresti axial fixation has not been reported. We report a case of sural nerve entrapment after Essex-Lopresti axial fixation which was successfully treated by nerve decompression.

      • 서혜부에 발생한 유척색종 - 증례 보고 -

        문상호,김동준,공규민,이수원,심종옥,박진경,김성환,Moon, Sang-Ho,Kim, Dong-Jun,Kong, Gyu-Min,Lee, Soo-Won,Shim, Jong-Ok,Park, Jean-Kyung,Kim, Sung-Hwa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1

        유척색종은 전세계적으로 소수의 증례만이 보고될 정도로 매우 드문 종양으로서 척색종과 조직학적으로 매우 유사한 소견을 보이지만 구간 골격에 위치하는 척색종과 달리 유척색종은 구간외 골격 조직에 발생한다. 또한 국소적으로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2개월 전 서혜부 연부 조직 종양으로 국소 마취하에 단순 절제술을 시행받은 후 재발하여 광범위 절제술을 재시행하였던 유척색종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척색종의 전이를 배제하기 위하여 골주사 검사를 시행하여 골병변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절제된 조직의 종양 세포는 면역조직화학 염색상 Epithelial membrane antigen(EMA), S-100 단백질, vimentin, cytokeratin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Parachordoma is an extremely rare tumor that histologically resembles chordoma of axial skeleton but occurs in a peripheral site. It is considered an indolent neoplasm with potential for local recurrence. We present a case of soft tissue parachordoma at inguinal subcutaneous tissue which recurred 2 months after primary simple excision under local anesthesia and was performed revisional wide excision. Bone scan showed no other metastatic lesion.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revealed tumor cells to be reactive to EMA, S-100 protein, vimentin and cytokeratin.

      • KCI등재

        한국인에서 족무지 지관절의 종자골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문상호,김동준,서병호,Moon, Sang-Ho,Kim, Dong-Joon,Suh, Byoung-Ho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6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0 No.2

        Purpose: Frequency of sesamoid bone on hallucal interphalangeal joint has been described to be low probability in orthopaedic and anatomical literature. We have, however, experienced two cases of interphalangeal joint dislocation giving difficulty to usual manipulative reduction because of presence of sesamoid bone recently. In order to ascertain existence of sesamoid bone on interphalangeal joint of hallux in Korean adults, radiological study have been performed with feet of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3 and October 2006, 974 patients with 1098 radiographs of feet which were reached skeletal maturity over 18-year-old were examined. Unilateral or bilateral anteroposterior, lateral and oblique radiographs were observed by one same person and presence was recorded if there was sesamoid in films. Distance of long and short axes were measured in lateral view and cases of two sesamoids in interphalangeal joint were record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left and right side or between men and women were evaluated by chi-square test. Results: Frequency of sesamoid was 980 cases (89.3%) and no occurrence in 118 cases (10.7%). Two sesamoids were observed in 3 cases. Average distance of long axis was 4.9 mm (range, 0.5-11.4) and average distance of short axis was 3.5 mm (range, 0.3-9.3). Unilateral sesamoid was observed in 7 patients (5.6%), bilateral absence was 7 patients (5.6%) and bilateral sesamoids in 110 patients (88.8%) out of 124 patients who took bilateral feet radiographs. Men has less frequency than women significantly (p=0.014)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according to side(p>0.05). Conclusion: Sesamoid bone was seen in 980 feet (89.3%) out of 1098 normal Korean radiological studies of feet. We report 3 cases of two seamoids which was extremely rarely reported in literature. Korean frequency is similar with Japanese, but much higher than Caucasians and black Africans.

      • KCI등재

        개인별 학습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기반 학습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문상호,Moon, Sang-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2

        최근에 웹을 이용한 원격교육에 대한 많은 학습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기존의 학습들은 학습자가 개인 수준에 맞는 문제 난이도를 직접 선택하거나, 문제를 동적으로 추출하여 학습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단순히 출제되는 문제 자체의 차별성을 기반으로 하므로 학습자의 능력별 학습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의 문제유형별 약점정보를 기반으로 유형별로 추출되는 문제에 난이도를 두어 개인별 학습 능력을 평가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의 학습에서 개인별 학습정보를 반영하여 문제들을 출제하므로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문제유형과 문제난이도에 대한 개인의 정보를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학습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인 원격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에 있어서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PDA 플랫폼에서 모바일 학습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Many learning methods are recently being proposed for web-based remote education and a method commonly applied to web-based learning is learning through questions. In the existing methods, the difficulty of questions is chosen by learners in accordance with their level or questions are selected dynamically. As these methods are simply based on difference among questions presented, however, it is hardly possible for learners to study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To solve the problem, we adjusted the difficulty of questions presented based on information on individuals' weak points for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Under the system individuals can learn by applying information on their abilities with regard to the type and difficulty of questions repeatedly, so the system can provide more effective distance learning. To overcome space restrictions in learning, also, we design and implement a mobile study system on the top of PDA platforms.

      • 경추부 초음파 유도하 중재술

        문상호,Moon, Sang Ho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1

        지금까지 경추부 중재술은 방사선 투시하에 하는 것이 표준화된 방법이었다. 그러나 방사선을 피폭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실시간으로 조영제를 이용하여 투시하거나 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 시술로써 안전하게 시행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특히 경추간공 차단술에서, 예기치 않은 주사제의 동맥내 주입이 발생하여 심각한 합병증인 척수 손상, 소뇌 및 뇌간 경색 등의 증례들이 방사선 투시하 시술에서 보고되는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는 그 대안으로서 경추부 초음파 유도하 중재술이 시행되고 있는데, 초음파는 주요 신경 및 혈관 구조물들의 위치를 관찰하면서 목표 부위 주위로 주사제가 퍼져나가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초음파는 방사선이 없고 간편하며 주사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계속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시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술기이다. 결국 초음파 유도하 시술은 주요 신경과 혈관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그에 대한 손상 혹은 주사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물들의 손상 위험이 높은 경추부에서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는 중요한 장점이 있는 술기이다. 그리하여 저자는 실시간 초음파 유도하라는 술기가 경추부 중재술에서 얼마나 유용한가에 대해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Traditionally, cervical interventions have been performed under fluoroscopy. But radiation exposure is the major concern when obtaining fluoroscopic images and even under real-time fluoroscopy with contrast media or CT guidance, some cases of serious spinal cord injuries, cerebellar and brain stem infarction have been reported by unintentional intra-arterial injections especially during the transforaminal root blocks. Recently, the use of ultrasound-guided cervical interventions have increased. Ultrasound offers visualization of soft tissues including major neurovascular structures and also allows to observe the spread of injectant materials around the target structure. Ultrasound is radiation free, easy to use and the image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while the injectant is visualized in real-time, increasing the precision of injection. Importantly, ultrasound allows visualization of major nerves and vessels and thus leads to improve safety of cervical interventions by decreasing the incidence of injury or injection into nearby vasculature. We therefore review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performing cervical interventions under real-time ultrasound guidance.

      • 개선된 삼각형 채우기 방법

        문상호,Moon, Sang-Ho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논문지 : 기술교육 Vol.2 No.1

        A parallel algorithm for the rasterization of triangles is suggested that is particularly well suited for 3D B-buffered graphics implementations. The algorithm represents each edge of triangle by linear edge function that has a value greater than zero on one side of the edge and less then zero on the opposite side. The value of the function can be interpolated with hardware similar to hardware required to interpolate rotor and f pixel values. In this paper, we can be removed to evaluate the edge function, it is simplified rasterization and to improve processing but also to simplify hardware implement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to simplify the ASIC. 3D z-buffered 그래픽스 구현에 매우 적합한 삼각형을 채우는 병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알고리즘은 선형 변함수에 의한 삼각형 각 변의 한 쪽은 0보다 큰 값을 가지고 반대쪽은 0보다 작은 값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함수의 값은 색상과 Z 값을 구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와 유사한 하드웨어로 구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변함수를 평가하는 계산을 없애 라스터라이저 과정을 단순화 시기고 처리 속도 향상뿐만 아니라 하드웨어로 구현할 경우 회로를 단순화시켜 ASIC화하기가 용이하다.

      • KCI등재

        충북 영동군의 복합 지질과 지하수 라돈 함량과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문상호,조수영,김성현,Moon, Sang-Ho,Cho, Soo-Young,Kim, Sunghy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5

        영동지역은 지체구조상 옥천습곡대의 중앙 남동부와 영남육괴와의 경계부에 위치하며, 이들 경계부에는 백악기 영동 퇴적분지가 분포한다. 영동지역의 지질은 주로 선캠브리아시대 소백산 편마암복합체, 중생대 화강암류와 퇴적암류, 그리고 이들 암석을 부정합으로 덮은 제4기 충적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외에도, 시대미상의 옥천누층군, 고생대의 퇴적암류, 트라이아스기의 화강암류들이 북서측에서 소규모로 산출된다. 이들 다양한 지질에서 산출되는 지하수 내 Rn 함량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관정 20개, 암반 지하수 관정 60개를 대상으로 2015년 8월 풍수기와 2016년 3월 갈수기 2 차례에 걸쳐 시료를 채취 분석하였다. 충적/풍화대 지하수의 Rn 함량은 백악기 반암 뿐 아니라 일부 쥬라기 화강암류와 소백산 편마암류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상세 지질을 살펴보면, 쥬라기 화강암과 흑운모 편마암 자체보다는 인근의 백악기 반암과의 경계부 혹은 반암 인근의 관정 지하수에서 Rn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암반 지하수에서의 상세 지질별로 Rn 함량 산출 특성을 살펴보면, 영동분지 내 백악기 퇴적암과 소백산 편마암복합체 중 흑운모 편마암과 편암 지역에서 Rn 함량이 적은 편이었고, 백악기 반암 자체, 트라이아스기 청산화강암과 복운모화강암의 경계부위, 쥬라기 화강암과 반암 경계부, 편마암 복합체 중 화강암질 편마암 혹은 화강편마암 지역에서 Rn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는 것들이 나타났다. 지하수 내 Rn 함량과 지질과의 연관성을 검토할 때, 개략적이고 큰 규모의 지질보다는 맥상 규모로 작은 규모와 이에 따른 정밀한 지질 상황을 고려할 때 지질 및 암종에 따른 Rn 함량의 변화 및 관련성을 의미있게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하수 관정이 위치한 지점에서의 지질 자체보다는 인근에 소규모로 산출되는 맥암, 페그마타이트, 석영맥 등의 산출 및 이들과 관련된 광화대/변질대 등 특수한 지질 상황을 고려한 지하수 수질 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Yeongdong area is located on the border zone between Precambrian Yeongnam massif and central southeastern Ogcheon metamorphic belt, in which Cretaceous Yeongdong sedimentary basin exists. Main geology in this area consists of Precambrian Sobaeksan gneiss complex, Mesozoic igneous and sedimentary rocks and Quaternary alluvial deposits. Above this, age-unknown Ogcheon Supergroup, Paleozoic sedimentary rocks and Tertiary granites also occur in small scale in the northwestern part. This study focuses on the link between the various geology and R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For this, twenty wells in alluvial/weathered zone and sixty bedrock aquifer wells were used. Groundwater sampling campaigns were twice run at wet season in August 2015 and dry season in March 2016. Some wells placed in alluvial/weathered part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and Jurassic granite terrains, as well as Cretaceous porphyry, showed elevated R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However, detailed geology showed the distinct feature that these high-Rn groundwaters in metamorphic and granitic terrains are definitely related to proximity of aquifer rocks to Cretaceous porphyry in the study area. The deeper wells placed in bedrock aquifer showed that almost the whole groundwaters in biotite gneiss and schist of Sobaeksan gneiss complex and in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of Yeongdong basin have low level of Rn concentrations. On the other hand, groundwaters occurring in rock types of granitic gneiss or granite gneiss among Sobaeksan gneiss complex have relatively high Rn concentrations. And also, groundwaters occurring in the border zone between Triassic Cheongsan granites and two-mica granites, and in Jurassic granites neighboring Cretaceous porphyry have relatively high Rn concentrations. Therefore, to get probable and meaningful results for the link between R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and surrounding geology, quite detailed geology including small-scaled dykes or vein zones should be consider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take account of the spatial proximity of well location to igneous rocks associated with some mineralization/hydrothermal alteration zone rather than in-situ geology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