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초 지도로 본 간도의 역사적・지역적 범위와 한인 이주지

        문상명 만주학회 2020 만주연구 Vol.- No.29

        This paper is a categorical investigation of Gando and its regional categories based on the Japanese-made Gaihōzu map and the Chinese Army Chiefs of Staff’s map. Gando has both meanings of historical and natural geography. The categories adopted expose overlapping areas of significance that provide a historical sketch of the Gando region’s perceived geographical layout at that time. However, several contradictions in interpreting this layout reveal stark differences in how people imagined this area geographical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ew scholars have carefully analyzed these contradictory interpretations, while often selectively ignoring or adopting what works for their needs. The Baekdusan National Boundary Monument that the Mokjeokgung established in 1712 and the description of the Tumen River both served as significant geopolitical plots used as grid reference for Gando’s regional map plotting. Gando’s isoline gradually expanded from the north of the Tumen River to the upper part of the Yalu River. Scholars and people in the past often referenced Gando as when referencing Japan and China’s geolocational plotting and sketching of the area. Deriving its name from the island between the Tumen River and a shoal of a sandbar that creates a waterway, Gando expands to inland areas. These geographic perceptions led to ‘Gando’ as a significant geopolitical symbol used to refer to Korean migrants. 본 논문은 일제가 제작한 가이호즈와 중국의 참모본부지도 등을 바탕으로 20세기 초 간도의 역사적・지역적 범위와 한인의 이주지를 연구했다. 간도는 역사지리・자연지리 두 가지 의미를 모두 내포하고 있다. 먼저, 간도 공간의 범위에 관하여 서로 다른 견해를 나타내는 이유는 역사지리적 관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일제시기 간도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현재까지 많은 학자들이 그 해석의 차이를 면밀히 분석하지 않고, 일부의 의견을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1712년 목극등의 백두산정계비 설치와 ‘東爲土門’의 ‘土門江’ 해석은 공통적으로 간도의 공간의 범위를 설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되어 왔다. 간도 공간은 ‘간도[동간도+서간도(두만강 북쪽 일대의 만주지역)]’에서 ‘동간도(간도)와 서간도(압록강 상류 북쪽 일대의 만주지역)’로 점차 확장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일본과 중국 모두의 공통된 인식이었다. 가이호즈를 통하여 간도의 명칭이 사잇섬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잇섬은 두만강의 사주로, 물길 사이에 형성된 모래톱을 의미한다. 두만강의 사주로 형성되었던 사잇섬(간도)은 두만강의 대안지역으로, 그리고 내륙지역으로 확대되어 나갔으며, 이러한 韓人의 이주지역은 간도라는 명칭으로 상징화되었다. ‘북간도’라는 명칭의 연원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겠지만, 일본과 중국이 지칭하는 ‘동간도 동부’ 지역에 대하여 조선족은 ‘북간도’라고 명명해 왔다.

      • KCI등재

        조선후기 《天下圖》에 담긴 白頭山 인식

        문상명 만주학회 2021 만주연구 Vol.- No.32

        This paper re-examines the <Cheonhado>, a popular circular world map develop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clarifies the meaning of Mt. Baekdu as expressed on the map. The center of the <Cheonhado> includes a continent and several landmasses that enclose it. The seas separate the inner continent from the surrounding lands. This enclosed continent contains illustrations of the major rivers and five mountain ranges of China. Most place names appear in the Sanhaegyeong, denoting them as the Inland Sea and the outer continents. On the northern edge of the center of the map, one finds the common Daetaek (Big Lake). Among the detailed illustrations, Mt. Baekdu also appears in the <Cheonhado>, a document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Cheonhado> was another way for Silhak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express the geographical history of Sanhaegyeong. The method of illustrating and communicating a map with images supplemented with text had limitations in describing spa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ndependence of Joseon gradually expanded. Joseon intellectuals hoped to escape from the Chinese world and express a new world vision from a Joseon perspective. Existing geographical knowledge and social awareness at the time thus expressed their desires through the abstractions included on the <Cheonhado>. Mt. Baekdu was at the center of the world, and its independence mirrored that of Joseon’s desires and destiny. 본 논문은 조선후기에 유행한 추상적인 세계지도〈천하도〉를 다시 고찰하고, 지도에 표현된 백두산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천하도〉는중심에 대륙이 있고, 그 주위를 바다가 둘러싸고 있으며 다시 그 주위는육지와 이를 둘러싼 바다로 이루어져 있다. 내대륙은 중국의 대하천과오악을 중심으로 표현되어 있고 내해와 외대륙에는 『산해경』에 등장하는 지명이 대부분이다. 지도의 북쪽 중앙에는 공통적으로 대택이 그려져있다. 그런데 점차 〈천하도〉에 백두산이 나타난다. 〈천하도〉는 조선후기 실학자들이 『산해경』의 지리적 고증을 표현하는또 다른 방법이었다. 이미지로된 지도는 공간을 묘사하는 데 한계가 있는 텍스트를 보완하는 효율적인 방법이었다. 조선후기 점차 확대되어간조선의 자주성을 중국의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천하로 표현하고자 했던 욕구이기도 했다. 실재하는 지리지식과 당시 사회적 인식을 〈천하도〉 를 통해 추상적으로 표출하였다. 조선이 생각한 천하와 그 자주성의 중심에는 백두산이 있었다.

      • KCI등재
      • 다문화 가정을 이루고 있는 한국 여성의 복지 혜택

        문상명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2013 여성연구논총 Vol.13 No.-

        저출산과 고령화, 생산 가능 노동인구가 부족한 대한민국의 현실에서 외국인 노동력은 매우 중요하다. 논문에서는 첫째, 현재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유형과 규모에 대해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사적 영역에서 지원되고 있는 금융상품과 대학입시제도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책과 제도가 형평성에 맞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다문화가정은 우리와 함께 살아가야 할 우리의 국민으로 우리가 포용하고 배려해주어야 하며 기회의 형평성을 맞추어주기 위해 다문화가정에 대한 복지와 혜택은 당연하다. 하지만 다문화가정 가운데 한국인 여성과 외국인 남성으로 구성된 다문화가정이 현실적으로 우리 사회에서 소외되고 배려 받아야 할 계층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정책과 복지를 실시함에 있어서 다문화가정에 대한 기준을 명확하게 하고 제한하여 실질적으로 소외되고 배려 받아야 할 다문화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상에 기준과 제한을 두지 않고 모든 다문화가정에 복지와 혜택을 주는 것은 오히려 일반 국민에 대한 역차별이 될 수 있으며 형평성에 어긋나 사회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 KCI등재후보

        일본 시마네현의 이른바 ‘죽도의 날[竹島の日]’ 조례 제정에 대한 한국 정부와 국회의 대응

        문상명 동북아역사재단 2019 영토해양연구 Vol.17 No.-

        On March 16, 2005, Shimane Prefecture established the “Takeshima Day” as an ordinance. Since 2006, the event has been held on February 22 every year. Abe Shinzo of Japan has dispatched government personnel since 2013. The minutes of the National Assembly contain details of the current issues, and the responses and policie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explores the attitudes and response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Korean government to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through the “minutes of the National Assembly”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akeshima Day”in Japan. Immediately after passing the “Takeshima Day” Ordinance in 2005,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a decision on the acceptance of some textbooks. At that time, the Korean government showed decisive yet quiet diplomacy on the territorial issue. The announcement of the “New Doctrine for Japan,” the establishment of the Correct History Planning Team, and the birth of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are examples that show how the Korean government responded to the issue. However, after President Lee Myung-bak’s visit to Dokdo in 2013, Shimane Prefecture’s “Takeshima Day” event was promoted to the Abe administration’s “Takeshima Day.” It was a result of changes in the foreig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Since then, Japan has increased the level of distortion of its past aggression. The “Takeshima Day” was a political performance that was used whenever Japan attempted to strengthen its claim over Dokdo. The Takeshima Day is being used as a means topromote Japan’s claim on the sovereignty over Dokdo. Japan’s move toward the Takeshima Day since 2005 is a metaphorical representation of Japan’s position on the territorial issues, including the Dokdo issue. The Takeshima Day event is expected to continue in 2020. The scale and directions ofJapan’s activities in the lead up to this event will provide tips to understand the country’s attitude toward history and the Dokdo issue, which will help Korea to actively respond to what unfolds. 2005년 3월 16일 시마네현이 이른바 ‘죽도(竹島)의 날’을 조례로 제정한이후, 2006년부터 현재까지 매해 2월 22일에 행사가 열리고 있다. 그리고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부는 2013년부터 이 행사에 정부 인사를 파견하고 있다. 『국회회의록』에는 당시의 현안과 이를 둘러싼 국회와 정부의 대응 및 정책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죽도의 날’ 제정 전후의 『국회회의록』을 통하여 조례 제정을 둘러싼 국회 및 정부의 태도와 대응을 연구하였다. 2005년 ‘죽도의 날’ 조례안 통과 직후 일본 문부과학성은 후소샤 [扶桑社] 등 일부 교과서에 대해 검정 합격 판정을 내렸다. 이에 우리 정부는 영토 문제에는 단호하지만, 조용한 외교를 택했다. ‘대일 신(對日 新) 독트린’ 발표와「바른역사기획단」 구성, 「동북아역사재단」의 탄생은 이러한 정부의 대응을잘 보여주는 사례다. 그런데 2013년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후, 시마네현의 ‘죽도의 날’ 행사는 소위 아베 정부의 ‘죽도의 날’로 승격되었다. 우리 정부의 외교 정 책변화에서 비롯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후, 일본은 과거의 침략 행위 등에대한 왜곡의 강도를 높여갔다. ‘죽도의 날’ 행사는 일본이 독도 영유권 주장의 강도를 높여갈 때마다 활용하는 정치적 퍼포먼스였다. ‘죽도의 날’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위한 홍보의 확산 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2005년 이래 ‘죽도의 날’ 행사를 둘러싼 일본의 움직임은 일본의 독도를 위시한 영토 문제에 대한 입장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 2020년에도 일본은 ‘죽도의 날’ 행사를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이 행사 전일본의 움직임과 행사의 규모와 내용을 직시한다면, 향후 그들의 역사 및독도 문제에 대한 태도를 감지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옛 지도로 보는 성북지역의 지정학적 역할과 기능

        문상명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科學硏究 Vol.42 No.-

        본 논문은 조선후기와 일제시기의 지도를 바탕으로 지도 제작 당시 성북구 공간의 명칭, 자연 및 인문정보, 지역적 특성, 지역 사람들과 이 지역을 바라본 사람들의 인식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성북은 한양도성의 북쪽 방어 지역이었으며, 한양에서 출발하여 동북지역으로 나아가는 길이 시작되는 곳이었다. 성북구는 한양도성의 600년 역사와 함께 축척된 시공간적 역사・문화성, 그리고 가치를 공유해온 가장 밀접한 공간이다. 특히 수도의 배후지로서 물자와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으며 일제강점기 도성 내부의 인구 증가로 제일 먼저 확장되어 나아간 곳도 성북구 지역이었다. 서울 도심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현재의 성북구는 옛 모습을 그대로 기억하고 간직하고 있으며 또한 닮아있다. 그리고 역사 도시 서울의 역사성을 간직하고 있으며, 발전하는 현대의 모습이 중첩되어 있다. 되너미고개를 통해 중국의 동북부 지역으로 나아갔으며, 미아리고개를 통해 북쪽의 사람들이 남하해왔고, 돈암현을 통해 도성 안으로 물자를 공급하기도 했다. 이 고개를 통해 새로운 역사가 오고 갈 것이며, 역사와 함께 발전해 나아갈 미래의 성북이 그려질 지도를 기대해 본다 The old map shows the old part of Seongbuk-gu locat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Hanyang. The names of roads and hills, names of village, Hanyang's northern castles, and historical temples tell us about the old castle. This province was the northern defense of the province of Hanyang and was the beginning of the journey from Hanyang to the northeast. This paper studied the names of the spaces of Seongbuk-gu, natural and human informati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ptions of local people and those who viewed them through the map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ongbuk-gu is the closest space that has shared the spatial and temporal history, culturality and values ​​accumulated along with the 600-year history of Hanyang. In particular, it served as a hinterland to provide supplies and rest space. When the population inside the city increa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irst place to expand was in Seongbuk-gu. Seongbuk-gu, which is the closest to the center of Seoul and also the center of Gangbuk, remembers and retains the old image and resembles it. It also retains the historicity of the historic city of Seoul, overlapping the developing modern scene.

      • 고지도에 나타나는 백두산의 명칭과 표현

        문상명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2 한국고지도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지도에 표현된 백두산을 통해 백두산 명칭과 백두산 표현에 담긴 의미와 인식을 연구하는 것이다. 백두산 영역권과 만주를 포함하고 있는 한국의 고지도 248점 가운데 백두산이 그려져 있지 않은 지도를 제외한 160점의 고지도를 ‘백두산 명칭’, ‘천지 표기’, ‘백두산 표현의 특징’, ‘주기’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여 연구의 분석에 활용하였다. 백두산의 명칭에는 다양한 정보와 지식이 반영되어 있고, 색과 형태 등의 묘사에 따라 각기 다른 주제를 상징하기도 한다. 다양한 천지 명칭과 표현 역시 백두산의 상징성과 의미를 반영하며 이러한 모든 표현과 묘사는 백두산에 대한 인식을 총체적으로 표출한다.

      • KCI등재

        1950∼1970년대 일본국회의원의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언과 일본 정부의 독도정책 상관성 연구

        문상명 한국일본문화학회 2022 日本文化學報 Vol.- No.93

        本論文は「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条約」が日本の独島領有権主張にどのように活用されてきたかを研究したものである。講和条約をきっかけに、日本の国会では島根県出身の国会議員を中心に独島領有権の主張が頻繁だったが、このような主張を独島領有権の根拠に掲げるには限界があった。それで日本政府は1965年、韓日基本条約締結のために独島問題を取り上げず、韓国との友好的な関係維持に努めた。しかし、日本国内の独島関連反発世論を意識して「独島国際司法裁判所提訴」と「紛争解決に関する交換公文」という案を通じて、国内世論を静めようと努力した。そこで、本論文は講和条約をきっかけに日本国会で言及された独島領有権主張が「独島国際司法裁判所提訴」と「紛争解決に関する交換公文」という方法で、日本政府の消極的な独島領有権政策に対して不満を持った国会議員をなだめるための論理だったことを明らかにしている。

      • KCI등재

        『1872년 지방지도』에 나타나는 조선 후기 지역 사회의 특수성 - 함경도를 중심으로

        문상명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0 No.-

        19세기 조선은 내외적으로 혼란스러웠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정권을 장악한 흥선대원군은 대내외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중앙집권체제 강화에 힘썼다. 1872년에 재정권과 군사권을 완전히 장악하였으며, 같은 해에 『1872년 지방지도』가 완성되었다. 이 지도는 각 지방의 자세한 지도로 조선시대 관찬지도(官撰地圖) 제작사업의 마지막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고지도에는 제작 당시의 시대상과 사회적 인식이 이미지를 통하여 종합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1872년 지방지도』보다 100여 년에 제작된 『해동지도』, 한 해 전에 제작된 『관북읍지』와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1872년 지방지도』의 특수성과 당시의 시대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해동지도』는 중앙이 중심이 되어 제작된 지도로 지형도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1872년 지방지도』는 지역사회가 중심이 되어 제작된 주제도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사회의 특수성이 더 잘 드러난다. 『1872년 지방지도』는 『관북읍지』의 영향을 받은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을 그대로 그린 것은 아니며, 『관북읍지』보다 자세하고 잘못된 정보는 수정을 거쳤고 새로운 정보는 추가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각 지방에서 끊임없이 지역의 인문․자연정보를 새롭게 축척하고 수정해 나갔다는 것을 반증해준다. 『1872년 지방지도』에는 체계적 국가 운영체계가 상징적으로 잘 드러나며, 이것은 흥선대원군의 중앙집권체제 강화의 결과물 가운데 하나이다. 『1872년 지방지도』는 19세기 후반 조선의 지역사회 모습을 파악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더욱이 북한에 대한 정보와 접근의 한계를 가지는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함경도 등 북한지역의 지도는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Throughout the 19th century, the political situation in Joseon was not very favorable either at home or abroad, and during the period, Heungseon Daewongun came to power. In order to overcome the present situation, he strived to strengthen the centralized system of government. In 1872, he finally took hold of national financial and military authorities, and in the same year, 『1872 Regional Maps』was completed. This map is a detailed map of each region, and considered to be the last map published by the government in Joseon period. Old map represents its time period and social identity with images in a comprehensive way.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Haedong-jido』, which was made around 100 years prior to the 『1872 Regional Maps』, and the 『Kwanbuk upchi』, which was made in the previous year, thereby understanding its distinctive features and its time period when the 『1872 Regional Maps』 was made. 『Haedong-jido』is a topographic map made by the government’s authority. Whereas the 『1872 Regional Maps』is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as a thematic map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munity. It is clear that the 『1872 Regional Maps』 was influenced by the 『Kwanbuk upchi』, however it did not exactly copy by modifying and adding new information. It reflects that each local community continued to accumulate and modify humanistic and natural information. 『1872 Regional Maps』 represents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state and this is resulted from strengthening the centralized regime by Heungseon Daewongun. 『1872 Regional Maps』is an important resource to understand the local communities of Joseon in 19th century. Besides, the map of North Korea including Hamgyong province area is a crucial historical material as the information on North Korea has had a limited a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