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북한 경제난의 인구학적 영향과 경제에의 함의

        문경연,김판석 통일연구원 2013 統一 政策 硏究 Vol.22 No.1

        In 2000, Park Sunyoung’s study, which was on the same topic and objectives a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emocratic impact of the North Korean economic crisis, but it was not enough to show the impact of the economic crisis due to the lack of data on the North Korea economic crisis in 2000. Cho Dongho and Jang Namsoo also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nges in North Korea and labour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Neither did this study show the impact of chronic economic downturn on the demographic changes in North Korea which has continued for the last 20 years from 1993 to 2013. This study, therefore, seeks to identify the demographic impact - not simply mortality rate, but also the impact of mal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of North Korea people - during the North Korean economic crisis from 1993 to 2013. By doing so, this study extrapolates a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demographic impact of the 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in 2013. This article found that the North Korean economic crisis, which continued since 1993 until 2013, resulted in the significant demographic impact and changes in the North Korean population. This study also argues that such demographic changes should not be ignor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economic resuscit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resumption of humanitarian food assistance to North Korea, especially for vulnerable target groups such as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mothers, and women in fertile regardless of the political, military and economic confront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umanitarian assistance should also include health sector assistance as well as food aid to North Korea.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e continuation of nutritional surveys of UN agencies in North Korea and for this, at least,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finance the budget for UN nutritional surveys in North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impact of the North Korean economic crisis more scientifically and design a future possible response strategy for the recovery of North Korean people from the humanitarian crisis. 2000년, 동 연구와 유사한 주제와 목적 하에 박순영이 북한 경제난의 인구학적 영향력 분석을 위한 연구를 시도하였으나 당시 북한의 영양실태 조사 자료가 미흡하여 영양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영양결핍으로 인한 생리학적 변화’를 소개하는 일반적인 논의에 그쳤다. 조동호, 장남수의 연구 역시 인구학적 변화가 노동 생산성과 경제성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나 이 역시 북한 식량난 실태 자료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99년에 실시된 연구로 불충분한 데이터에 기반하고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98년부터 2~3년 주기로 2008년까지 실시된 북한의 영양실태 조사 자료와 박순영의 영양결핍과 그것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이론적 개괄을 생애주기 접근법을 기반으로 새롭게 접목함으로써 2013년 현재 북한의 인구학적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93년부터 시작된 북한의 경제난은 인구학적 관점에서 북한에 유의미한 양적·질적 변화를 초래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부정적인 인구학적 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처는 경제재건을 모색하고 있는 북한 지도부가 간과해서는 안 될 사항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남한 정부가 북한 경제난의 부정적 영향을 고려할 때 북한의 취약계층에 대한 선택적 지원을 재개하여야 하며, 이러한 대북지원은 식량지원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지원도 병행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 남북관계 경색으로 인해 대북지원이 불가능하더라도 국제기구가 지속적으로 북한에 대한 영양실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기구에 대한 남한 정부의 재정지원을 통해 최소한 북한 주민들의 영양실태를 파악하는 노력만이라도 지속되어야함을 제언하고 있다.

      • KCI등재

        두 편의 구술 채록본과 기억의 재현 - 연극인 이병복을 중심으로

        문경연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9

        본고는 한국연극사 연구의 영역을 확대하고 새로운 사료를 생산하기 위해 구술사를 활용하는 일종의 탐색적 작업에 해당한다. 연극인 이병복이 남긴 두 편의 구술채록본을 통해 공식적인 한국연극사 연구에서 누락 혹은 배제된 이병복의 연극 활동을, 그의 생애사 구술과 기억 재현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두 편의 구술채록본은 1960년대 이후 40여 년에 걸친 극단 자유의 공연 활동뿐만 아니라 이병복의 무대미술이 지향하는 가치와 다양한 소도구·무대의상 등 무대미술을 제작하는 방식, 무대의 창작 원리 등 구술자의 오랜 창작 고민과 활동들까지 기록하고 있다. 필자는 이 구술채록본을 통해 스스로를 ‘뒷광대’라 칭했던 예술가 이병복의 삶이 ‘역사적 사실’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이병복의 생애사 구술은 실증적 역사가 문자화하지 못한 것들, 구술자가 관여했던 연극계와 예술공동체의 문화적 역동성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것들은 기존 문헌 자료의 보충적 자료가 될 것이다. 또 이러한 구술사 연구가 의미있는 것은 그것이 역사적 사실의 확증을 돕는 것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무대예술가인 구술자가 당대 문화 생산과 향유의 주체였음을 전면화하는 ‘서사적 진실’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일제 말기 극단 신협(新協)의 <춘향전> 공연양상과 문화횡단의 정치성 연구

        문경연 한국연극학회 2010 한국연극학 Vol.0 No.40

        本稿では、1938年に日本と朝鮮で公演された劇團「新協」の<春香傳>がもつ文化史的な意味網を、文化橫斷的實踐という側面から捉えようと試みた。<春香傳>に關する座談會をはじめとして、作家や演出家の弁論、觀劇評やレビュ―記事などをテキストとして選び、<春香傳>の具體的な公演樣相を再構するとともに、文化橫斷的飜譯に內包された實踐と意味作用を明らかにした。今日「飜譯」という問題は、ポスト植民主義批評と文化人類學に勵まされ、文化硏究において重要な領域を占めている。本稿では、新協の<春香傳>公演こそ、文化橫斷的飜譯の歷史的內容を前景化する植民地時代の重要事件だと見ている。『テアトロ』, 『文芸』, 『帝國大學新聞』, 『京城日報』など、當時の日本語媒體に載せられた記事や記錄は、從來の硏究狀況を克服し、公演自體に對する具體的かつ實證的な情報を提供してくれた。公演記號學的な略號である衣裝、セットデザイン、音樂、照明、振りつけ、舞台言語、ジェスチャ―、登場人物の形象化などに關する情報を集め合わせて、全般的な公演樣相を再構成した結果、本稿では、新協の<春香傳>公演が、「二つの民族間の文化的融合」だという高評と、「朝鮮の古典に對しなんの硏究もしない」,「不充分な飜譯」だという批判という、全く相反した讀解を可能にした兩義的なテキストであったという点を確認した。また、意識的分裂を體驗する植民地出身の劇作家·張赫宙の態度を通じて、思想と芸術的信念を立てることの出來ない「境界人のジレンマ」を目擊することができた。これは窮極的には、文化の飜譯不可能性、あるいは朝鮮と日本の間の理解不可能性を證明するものでもあり、今日の 文化飜譯が倫理的な問題として認識されているという点を想起させる。しかし、張赫宙が見せた曖昧な態度と重層的なポジションは、文化という槪念自體が歷史性を持って構成されているということ、そして文化飜譯が樣樣な異質性とアイデンティティの間で相關する知識を構成する行爲であることを證明する事例となるだろう。

      • KCI등재후보

        1920-30년대 대중문화와 <신여성> ― 활동사진과 유행가를 중심으로 ―

        문경연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2 No.-

        Constituting a significant series with several concepts of personality, refinement, taste, "culture" based on the colonial capitalism of 1920~30 had an important role to abet and reveal the desire of the new woman. Through scrutinizing The New Woman, most representative popular women magazine, this thesis would unveil the position of the new woman in the realm of popular culture. Focusing on motion pictures and phonograph records, first section of this thesis studies the scene of the new woman's encounter with popular culture. In this assemblage the magazine, The New Woman was a provided text for "reading" motion pictures in another way. And it also promoted young women's consumption of motion pictures and phonograph records. The purpose of second section is to unveil, in the heterogeneous voices echoing in The New Woman, the fact that the masculine rhetoric of the modern suppressed and controled the social position of the new woman, while it continuously made the modern woman main consumers of popular culture. And this thesis argues that though there were prejudiced gazes of masculine society, the new woman tried to overcome the imposed position, the passive consumer of popular culture. In other words, they want to be productive subjects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popular culture. They craved to get such an modern occupation as actress or songstress. Futhermore the new woman successfully represented their identity in some in modern characters like moviegoer, theatergoer, flapper, etc. The new woman's embodiment of modern characters and the change of life style are investigated in section 3 and 4. Popular culture was a positive mechanism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female subject which made the new woman acquire her existential position in her society. Surely the new woman's consumption of popular culture was sometimes ostentation or a kind of hierarchy to mak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e old woman. However the positive revelation of the new woman's desire and their concrete experience in the realm of popular culture operating inconsistently "social permission and control", "inducement and censure"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created critical fissures in the adamant patriarchal masculine society. 1920~30년대 식민지적 자본주의의 토대 위에서 ‘문화’라는 키워드는 개성, 교양, 취미라는 개념들과 계열관계를 형성하면서 신여성들의 욕망을 추동하고 발현하도록 도왔다. 본고는 이 시기의 대표적인 여성잡지인 『신여성』을 텍스트로 해서, 당시 대중문화의 장(場) 안에서 신여성이 근거하는 지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1절에서는 신여성이 대중문화와 조우하는 현장을 활동사진과 유행가 음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안에서 잡지 『신여성』은 스크린의 활동사진을 지면상에서 읽는 텍스트로 전환하여 독자에게 제공하기도 했고, 활동사진과 음반의 구매를 유도하기도 했다. 2절에서는 신여성들을 대중문화의 소비자로 호출하는 반면, 한편에서는 끊임없이 신여성들을 억압하고 위험 담론을 재생산했던 남성들의 교묘한 금기의 수사학을『신여성』내의 다양한 목소리들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다. 그러나 신여성들은 일면 부정적인 (남성)사회의 시선에도 불구하고 대중문화를 무기력하게 구매하고 즐기기만 한 것이 아니라 심지어 생산 과정에 투신하여 생산주체가 되고자 했다. 여배우, 여가수라는 근대적인 직업을 욕망하기 시작했고, 영화광․극다광(劇多狂), 플랩퍼형 여성 등의 근대적 인간형을 주조해내기도 했다. 이상과 같은 근대적 인간형의 창출과 신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모는 3․4절에서 고찰하였다. 신여성이 자신들의 존재감을 구체적으로 획득하고, 과거와는 다른 방식의 근대적이고 적극적인 여성 주체를 확립하는데 있어 대중문화는 긍정적인 기제로 작용했다. 그 과정에서 신여성들의 대중문화 소비가 과시적 포즈로만 표출되거나, 구여성과의 위계가 공고해지는 여성 내부의 모순들이 발생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사회의 허용과 통제, 권유와 비난이 동시에 작용했던 이중적인 대중문화의 공간 안에서, 신여성들의 적극적인 욕망의 발현과 구체적 체험의 결과는 가부장적 남성사회에 균열을 내는 효과를 발휘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Advocacy for aid to North Korea by South Korean NGOs: Agenda framing and its impact in pea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문경연,박현아,손혁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9 평화학연구 Vol.20 No.2

        Using the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the constructivist approach, this paper focuses on norm grafting by the NGOs: especially the agenda framing which are exploited by NGOs to maximize norm grafting and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norms in the differing stages of state policy making as a final process of norm grafting. For a case study, this paper examines how South Korean NGOs framed the issue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throughout the three administrations of Kim Young-Sam (1995-1997), Kim Dae-Jung (1998-2002) and Roh Moo-Hyun (2003-2007) and to what extent it affected changes in aid polity towards North Korea. The paper argues that two variables - the issue characteristics of humanitarian crisis in North Korea itself and South Korean NGOs' ability to reframe the issue timely and effectively - were important factors explaining South Korea's aid decision to North Korea from 1997 to 2007. Ironically the consecutive humanitarian crisi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favorable operational environment for South Korean NGOs' advocacy of aid to North Korea. However, South Korean NGOs' capacity to frame the issue was a critical factor in changes of South Korean government and civil society's stance for aid to North Korea.

      • KCI등재

        재일 한국인 극작가 정의신의 낯선 역사 재현 - <야끼니꾸 드래곤>을 중심으로

        문경연 한국극예술학회 2012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8

        국가와 민족을 묶어줄 합의의 이미지는 무엇보다 ‘과거’의 ‘기억’에서 비롯한다. 그런데 국민의 과거 기억은 배제와 억압, 차별과 은폐를 통해 이루어진 지배적인 허구이기 때문에 균질적인 이미지는 애초부터 불가능하다. 2000년대 한국 연극의 새로운 현상 중 하나는, 역사와 민족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쫓겨난 소수적 기억들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재일 한국인 극작가 정의신의 <야끼니꾸 드래곤>(2008)은 일본 내 재일 한국인의 삶을 통해 물리적으로 국경 외부의 공간에서 살아야하는 ‘실향’의 존재를 전경(前景)에 내세운다. 이 작품은 식민 제국에 의해 이루어진 식민지적 체험 뿐 만 아니라 사회적, 심리적으로 구조화되어 각인됨으로써 식민 이후에도 작동하는 식민주의를 기제를 형상화하고 있다. 일본 제국에 의한 ‘식민지 지배’와 그 이후에 벌어진 ‘전쟁’과 ‘분단’이라는 역사적 상황, 그 위에서 탈식민주의적 시각에 대한 문제제기를 시도한 작품인 것이다. 마지막에 세 딸들은 북한행, 한국행, 일본 잔류를 선택하면서 각자의 길을 떠난다. 이들은 국가로 통합되지 않는 삶을 지속할 것이고, 이들의 삶의 양상과 주체성 구성 간에는 다시 측정불가능한 차이가 생성될 것임을 짐작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 작품은 소수적 기억을 발화하고 기록하고 서사화함으로써 자이니치들이 소수적 주체로 다시 설 수 있게 하는데 기여한다. The image of consent that ties state and nationderives, mostly, from the “memory” of the “past.” However, a nation’s memory of the past is a dominant fiction that has been formulated from the process of exclusion, suppression, discrimination and concealment; hence, a homogeneous image is impossible from the outset. One of the new phenomena in the 2000s’ Korean drama is the emergence of the minority’s memories that had been expelled dur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history and nation. Yakiniku Dragon(2008), a drama by the Zainichi Korean playwright Chong Wishing, puts the presence of “displacement” and “diaspora” in the foreground via the life of Zainichi Koreans who must physically live in the space outside the national border. This drama embodies not only the colonial experience under the colonial empire, but the colonial devices that are still at work during the post-colonial period by being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structured and imprinted. It attempts to question the post-colonialist approach and perspective by dealing with the “colonial rule” by the Japanese Empire and the ensuing historical situations such as “war” between and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In the end, the three daughters each go their separate ways by, respectively, choosing North Korea, South Korea and Japan as their destinations. They would continue to live their lives that could not be integrated into a nation; and it is not difficult to assume that unmeasurable changes would occur among them in the modes of their lives and the construction of subject. This work contributed to the reestablishment of Zainichi as the minor subject by enunciating, recording and narrativizing the memories of the minority.

      • KCI등재

        국익과 ODA 관점에서 주요 공여국의 정책 연구: 미국, 영국, 호주 사례를 중심으로

        문경연,임란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2 평화학연구 Vol.23 No.1

        이 논문은 ODA 인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주요 공여국의 ODA 정책 변화와 조직 개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최근 주요하게 작동하는 원조 동기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먼저 국제사회의 전반적인 ODA 현황을 살펴보고 특히 국제개발협력 정책에서 큰 변화를 보이는 미국, 영국, 호주 사례를 통해 공여국의 ODA 인식이 원조 정책 등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미국은 테러 등 전통적인 안보를 실현하기 위한 ODA를 활용하고, 국무부가 주된 원조 집행기관 역할을 하며 국익 실현에 유리한 원조 거버넌스 체계를 가지고 있다. 영국은 GNI 대비 ODA 비율 0.7%를 달성하고 관련 규범을 제시하며 원조 모범국이라고도 평가받았지만, 최근 ODA를 무역정책과 연계하고 독립 원조기구를 외무부로 통합 개편하였다. 호주는 자국의 안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리적 인접 국가들에 대한 치안 확보 및 안정화를 우선순위에 두는 ODA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독립 원조기구를 타 부처와 통합하는 개혁조치를 단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최근 주요 공여국들이 정책 변화 및 조직 개편을 통해 ODA를 국익 실현의 한 수단으로 보는 전통적인 현실주의가 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과 개발재원: 개발재원 논의와 주요 행위자 정책 분석

        문경연,이진영,여원영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4 동서연구 Vol.26 No.2

        This paper aims to analyze views of major actors on mobilizing development finance. Major actors cooperating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an be classified into public sector(n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private sector(corporation, civil society organization, foundation). Recognizing times to termination of the MDGs scheme, analyzing the major actor's different views on the development finance is vital for the future development finance discussions since the analysis is closely related to why different views on development finance existed, how diverse views emerged and what are the issues for. Moreover, analyzing actor's progress for mobilizing development finance is critical agenda for the futur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ince it is reflected by each actor's behavior for eradicating poverty. As a result of analyzing major actor's views on the development finance, the positions between the traditional donors, referring to OECD DAC, and emerging donors represented the most different views, and also the roles of corporations among the private sector showed different aspects. Namely, traditional donors regard mobilization of innovative finance as critical issue for development finance since aid fatigue has been likely to persist. On the other hand, emerging donors prefer traditional development finance to innovative finance. 본 논문은 국제개발협력에 있어 주요 행위자들의 개발재원 마련에 대한 입장을 분석하였다. MDGs 목표 시한이 다가옴에 따라 국가, 국제기구, 기업 및 시민사회단체, 민간 부문으로 구분되는 주요 행위자들의 개발재원에 대한 입장 및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향후 개발협력 논의를 위해 중요한 이슈이다. 특히 국제개발협력은 빈곤 감소를 위한 각 공여 행위자들의 행동이 실천되는 분야이기 때문에 이들의 재원 마련 추이를 분석하는 것은 향후 국제개발협력에 있어 주요한 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개발재원에 대한 주요 행위자들의 인식이 어떻게 다르며 왜 다른지, 이들의 쟁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행위자들의 입장 분석 결과, OECD DAC과 같은 전통적 공여국과 신흥 공여국의 입장이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민간부문에 있어 기업의 역할 또한 다른 모습을 보였다. 즉, 기존 공여국들의 경우 개발재원에 대한 피로감을 느끼는 가운데 전통적 개발재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혁신적 재원의 마련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신흥공여국의 경우는 혁신적 재원 보다는 전통적 개발재원에 부합하는 재원 공여방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