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마유미,정선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types of positive emotion among children in nature, specifically situations that cause positive emotions and their meanings. In pursuing this aim, the researcher was able to observe positive emotions caused by experiences in nature, determine situations that caused positive emotions, and seek the meaning of positive emotions in the process. Positive emotions and situations that caused them in nature are as follows. First, an “interest” to a new experience in nature appeare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irect experience. Second, searching “curiosity” about nature appeared, so that the children had accidental encounters. Third, the children showed “persistence,” waiting expectantly for natural objects-changing moments in nature, which always varies. Fourth, “joy” in nature appeared, where it was possible to pool experiences that children, in conjunction with other children, solved the problem. Fifth, “amusement” appeared in nature that was still unknown, where children could imagine infinitely. Sixth, children felt “altruism" of coexistence and consideration through experiencing coexistence personally and watching a process of coexistence within nature. Seventh,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in nature appeared, where there was diversity. Children felt it through one specific natural object or harmony and balance between natural objects. Eighth, “pride” through achievement appeared in nature, which aroused challenges and achievement. Ninth, “anticipation” about changing of fluxional nature appeared. In conclusion, that nature has many characteristics, diversity of nature, prompted children’s positive emotions and their positive emotions toward nature rotationally made them find diversity of nature again. Children also could establish and maintain relations through positive emotions in natur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positive emotions are important factors that children build a relationship in nature.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들이 자연으로 나들이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긍정적 정서와 이러한 긍정적 정서를 유발하는 자연의 특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1년 6월 22일부터 11월 3일까지 16주간 공동육아 ‘깨끔발 어린이집’ 만 3-5세 유아 18명의 청명산 나들이를 관찰하였다. 유아들이 자연에서 보이는 긍정적 정서와 이러한 정서가 나타나는 자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유아들은 직접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자연에서 새로운 경험에 대한 ‘흥미’를 보였고, 우연한 만남의 장을 주는 자연에서는 탐색의 ‘호기심’을, 순간에 머무르지 않고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자연에서는 자신들이 기대하는 순간을 자발적으로 기다리는 ‘끈기’를 보였다. 함께하는 경험이 가능한 자연에서는 함께하는 ‘기쁨’이 있었고, 무궁무진한 상상이 가능한 미지의 특징을 보이는 자연에서는 상상의 ‘즐거움’이 있었고, 자연의 상생을 직접 경험해보면서 공존과 배려의 ‘이타성’을 보였고, 다양성이 있는 자연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의 ‘심미안’을 보였다. 도전과 성취를 자극하는 자연에서 성취를 통한 ‘자긍심’이 나타났으며, 생성, 성장, 소멸의 과정 또는 계절의 변화가 순환적으로 변화하는 자연에서는 변화에 대한 ‘기대’를 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연이 지니는 다양한 특징, 자연의 다양성 자체가 유아들에게 다양한 긍정적 정서를 유발하고 있었고, 유아들의 자연에 대한 긍정적 정서는 다시 자연의 다양성을 찾도록 하는 경험으로 순환적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유아들은 자연이라는 공간에서 긍정적 정서를 통해 서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즉, 긍정적 정서는 자연에서 유아들이 관계를 맺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웨딩메이크업샵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유미,조현정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4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5 No.1

        In wedding ceremony culture, it is perceived that formal wedding procedures such as wedding videography and main wedding ceremony are essential. In particular, makeup is a must-have element in completing such wedding ceremony. This study attempted to unveil the influence of wedding makeup salon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and find a way to enhance competitiveness for the continued growth and development of wedding makeup industry.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those who had services at a wedding makeup salon befo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environment and facilities’, ‘professionalism’ and ‘near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affected word-of-mouth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ther words, customer satisfaction developed into word-of-mouth intention which encourages others to acquire the services. Therefore, it appears that it is needed to develop a marketing strategy base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selection attributes which can meet customer needs and use it in attracting new customers. As a result, it would be possible to increase sales through sales promotion and keep wedding makeup salon business stable.

      • KCI등재

        Korean EFL Learners’ Perceptions and Uses of Count/Mass Nouns

        마유미,오윤자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4 영어영문학21 Vol.27 No.4

        This study explores Korean EFL learners’ perceptions of quantification and their grammatical sensitivity in the use of count/mass noun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adult learners and young learners, it compared the perceptions of thirty children with those of thirty adults using a quantity judgment task. For the adult group, a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was additionally administered to investigate their actual use of count/mass nouns. The findings show that both the young and adult learners exhibit a consistent pattern in their perceptions of count/mass nouns giving support to the results obtained in studies which addressed the same topic with learners of different L1 and L2 backgrounds. In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the adult participants judged the grammaticality of count nouns and subject mass nouns appropriately. They showed a tendency to judge quantity based on numbers for the object mass nouns and the flexible noun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adult participants’ use of count/mass nouns match their perceptions of count/mass distinction.

      • KCI등재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의 ‘부모 되어가기’

        마유미,정선아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1

        This study began with the awareness of problems that are emphasized only in the aspects of parental participation or community, although parents are the main subjects in cooperative parenting association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ontological aspect of becoming-parent of a communal childcare cooperative. As a result of the study, we were able to see parents opening up a world of ignorance, unknown, and oblivion, parents as ainfinite possibilities's diversities instead of 1/N, parents who experience daycare like mutants, and parents who connect knowledge and life. Through this, parents in co-parent care centers should be seen as emergence multiplicity, suggesting that parents in co-parent care centers should check the striated spaces and be present in smooth spaces. 본 연구는 공동육아 조합에서 부모가 운영과 교육을 책임지는 주체로 존재하나, 공동육아 부모들에 대한 이해가 부모 참여 또는 공동체성의 측면으로만 강조되고 있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 부모의 ‘되어가기’ 과정을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부모들은 끊임없이 되어가는 존재로서 무지, 미지, 망각의 세계를 열어가는 부모, 1/N이 아닌 무한의 가능성을 지닌 다양체로서의 부모, 돌연변이 생물 같은 어린이집을 체험하는 부모, 앎과 삶을 연결하며 부단히 ‘되어가는’ 부모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 부모는 발현적 다양체이며, 명시적 규칙들이 만들어진 홈 패인 공간을 견제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 합의의 과정을 지속함으로써 변화 가능성을 지닌 매끈한 공간에서 되어가는 존재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식민지기 조선 민사법의 호주권 기능

        오카자키 마유미(岡崎まゆみ) 한국법사학회 2013 法史學硏究 Vol.47 No.-

        ‘호주와 가족원’으로 구성된 메이지 민법(明治民法)의 「家」는 식민지 조선에 籍을 근간으로 도입 되었다. 1909년에 시행된 민적법(民籍法)은 조선에 신분 등록적 성격의 籍을 적용하여, ‘호주와 가족원’으로 구성된 「?」를 형성하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보면, 메이지 민법의 ‘호주와 가족원’이라는 「家」의 구도가 조선에 도입됐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민적법은 점차 개정되며, 1923년에는 조선호적령(朝鮮?籍令)이 시행되었는데, 이러한 일련의 호적 법규 정비를 ?地의 호적 법규와 비교하여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가 조선에 온전히 이식된 것이라 보는 기존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의 근간은 호주의 지위가 장자 단독 상속제(家督相續制)에 의거한다는 것과, 호주권이 「?」에 속하는 가족원에 대하여 절대적이며 권력적인 지배 관계를 확립하는 것에 있다. 기존 연구는 호적 법규의 체재의 비교나 상속 제도의 비교를 통해 일본 ?地와 조선에 있어서의 호주에 대하여 언급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호주의 구체적인 권한이나 ‘호주와 가족원’의 구체적 관계성에 대해 언급한 연구는 찾기 힘들다. 이에 본 고에서는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를 유지했던 호주권의 구체적 기능-「家」의 구성권으로서의 離籍權ㆍ復籍拒絶權 및 호주권의 절대성-에 주목하여, 그것이 메이지 민법에 어떻게 규정되어 있으며, 식민지 조선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본고의 논의는 조선에서 점진적으로 형성된 호주권은 메이지 민법의 호주권과는 이질적인 권한이었다는 결론으로 집약할 수 있다. 즉, 호주권의 구체적인 내용에 주목해 보면, 메이지민법의 호주권 기능 중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되었던 「家」의 구성권-離籍權ㆍ復籍拒絶權-은 조선에서는 호주권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호주권의 효과면에서도, 메이지 민법이 근대 법전으로서의 성격을 관철하면서도 「家」의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가부장적이며 전근대적인 성격을 띠는 호주권의 절대성을 규정할 수 있는 ?置를 마련했던 반면, 조선의 호주권의 효과는 宗族制에 의거하는 長幼의 序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가족원에 대하여는 상대적인 권한으로 형성되었다. 메이지 민법의 「家」의 구도가 籍이라는 제도를 통해 식민지 조선에 도입되고 조선에서 ‘호주와 가족원’이라는 신분 관계가 형성됐다는 외관상의 사실에 입각해 보면, 「家」가 이식됐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본 ?地와 조선의 호주권의 구체적 기능을 비교해 보면, 「家」의 구성권이나 호주권의 절대성을 바탕으로 유지되었던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가 조선에 전면적으로 유입되었다는 주장은 상당한 오류를 내포한다. 일본 ?地와 식민지 조선의 호주권기능을 견주어 볼 때,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와 전혀 다르게 기능한 식민기기 조선의 호주권의 독자적인 구체적 특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Ie(「家; Household」)’ constituted by a House Head and its family members in the Meiji Civil Code was transmitted to Korea based on the law of census registration (Min-Seki-Hou; 民籍法) in 1909. After that, the composition of ‘Ie’ of the Meiji Civil Code was transferred to Korea, and Min-Seki?Hou was gradually revised. Eventually, Chosun Census Registration (Koseki-rei; 朝鮮ㆍ籍令) was enforced in 1923. Concerning those processes, most researchers have asserted that the system of ‘Ie’ in the Meiji Civil Code had been completely conveyed and implanted in Chosun Korea. But the core concepts of ‘Ie’ of the Meiji Civil Code are based on both ① the system of succession of the House Head status through a male descendant and ② the House head’s right which has absolute authority toward his family members. In the past decades, many researchers studying the household system have focused on comparing ① the succession system or the regulations of census register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seems that there is no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 head and its family members’ or the House Head’s rights of functioning his authority. Therefore, this article discusses the functions of the House Head’s right in supporting the ‘Ie’ in Meiji Civil Code, and how it worked in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the House Head’s right which can legally exclude or reject his defiant family member to return to his own household, and its absolute authority as the base of constituting the ‘Ie’. As a result, I attempt to argue that the House Head’s right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in Meiji Civil Code. The House Head’s right for forming the ‘Household’ in Korea could not be approved whereas that in Meiji Civil Code was regarded as the core function. In addition, the right in the Meiji Civil Code has been defined as absolute authority. Nevertheless, the right of House Head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relatively depended on his family custom due to the traditional value of honoring seniors in the family. Overall, focusing on the House Head’s rights, I demonstrate the fallacy of those arguments in saying that the ‘Ie’ system of the Meiji Civil Code, which admits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House Head or the right for forming the ‘Ie’, has been transferred and implanted into Korea. Because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functions of the House Head’s right in Japan and those of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青年期の動機づけとキャリア形成 -日本⋅韓国の女子大学生の比較文化的研究-

        오오이에 마유미,이타카 쇼코,우에부치 마리에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硏究 Vol.30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에 있어서의 청년기의 동기부여와 캐리어 형성에 대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일본의 조사 대상자는 도쿄의 여자대학교에 재학중인 여대생 337명(평균연령 19.39세, 표준편차 1.68)이며 한국의 조사 대상자는 서울의 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326명(평균연령 19.73세, 표준편차 1.88)이다. 한일 쌍방에서 실시한 질문지 조사는 아래의 4개의 하위척도로 이루어진다. 즉 1) 대학생활을 향한 동기부여, 2) 자기긍정감, 3) 시간적전망 척도, 4) 내적⋅외적 통제 지향성이다. 대학생활을 향한 동기부여의 척도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것으로서 「배움을 향한 동기부여」와 「대학에 대한 사회적 평가」의 두가지의 인자로 이루어진다. 질문지 조사의결과 한일 양쪽 모두 배움을 향한 동기부여가 높은 경우에는 자기긍정의식이 높고, 과거⋅현재⋅미래의 모든 시간적 전망도 넓어지며 자신의능력과 노력으로 컨트롤할 수 있다는 신념이 강하고 대학에 대한 사회적 평가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자신의 틀 안에 갖혀 있거나 타인과 접촉하거나 할 때의 긴장도가 낮다는 결과가 나왔다. 비교 문화적인 시점에서는 일본의 여대생은 한국의 여대생보다 대학에 대한 사회적 평가의 인식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기긍정의식이 낮고 미래와 과거로의 시간적 전망은 적으며 자신의 능력과 노력 등의 내적요인보다도 운이나 환경 등의 외적요인에 의해서 컨트롤당하고 있다는신념이 강하여 자신의 틀 안에 갖혀 있는 경향이 보였다. 한편 충실감과 현재의 충실(present plenitude)에 대해서는 한국과 일본의 차이를 볼수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