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느티만가닥버섯의 항비만 효과

        류해정(Hae Jeong Ryu),엄민영(Min Young Um),안지윤(Ji Yun Ahn),정창화(Chang Hwa Jung),허담(Dam Huh),김태완(Tae Wan Kim),하태열(Tae Youl H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2

        본 연구는 느티만가닥버섯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주령된 C57BL/6 수컷 쥐를 30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 고지방식이군, 5%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첨가 식이군으로 나누어 8주간 실시하였다. 체중 및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첨가 식이군에서 감소하였다.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도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느티만가닥버섯 처리군에서 낮았다.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인슐린 및 렙틴 수준 증가는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섭취로 인하여 낮아졌다. 또한, 간 중 지질 함량도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첨가군에서 감소하였다. HE staining으로 관찰한 간내 지방 축적과 지방세포의 크기도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첨가식이 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관찰한 지방생성 관련 유전자인 PPARγ, SREBP-1c, SCD-1의 단백질 발현은 고지방식이군과 비교 시,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첨가 식이군에서 억제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고지방 식이와 함께 공급한 느티만가닥버섯 분말은 체중 감소 및 체지방 축적 억제와 더불어 혈청 지방 수준 개선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le anti-obesity effects of Hypsizigus marmoreus on high fat-fed mice. Thirty male C57BL/6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a normal diet group (N), a high-fat diet group (HF), and a high-fat diet with 5% Hypsizigus marmoreus group (HF-H). After 8 weeks, the body weights in the HF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those of the HF-H group decreased. Also, liver and adipose tissue weights in the HF-H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Total serum cholesterol, leptin, and insuli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than those of the N group, but lower than those of the HF-H group. Accumulation of hepatic lipids was apparent in the HF group, as indicated by HE staining and hepatic lipid analysis, while these effects were improved by supplements with Hypsizigus marmoreus in the HF-H group. Also, a reduction in adipocyte size of the epididymal adipose tissue was observed in the HF-H group. PPARγ, SREBP-1c, and SCD-1 protein expressions were down-regulated in the epididymal adipose tissue of the HF-F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psizigus marmoreus may an effective anti-obesity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

        자간전증 임신부의 혈청 및 태반에서의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에 관한 연구

        최혜영 ( Hae Young Choi ),이소현 ( So Hyun Lee ),류해정 ( Hae Jeong Ryu ),신은경 ( Eun Kyoung Shin ),박미혜 ( Mi Hye Park ),우소연 ( So Yeon Woo ),박혜숙 ( Hye Sook Park ),이화영 ( Hwa Young Lee ),하은희 ( Eun Hee Ha ),전선희 ( Su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임신 삼분기의 자간전증 임신부에서 혈청 총 VEGF, PIFG, sVEGFR-1의 농도가 정상 임신부와 비교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자간전증 임신부의 태반에서 VEGF-A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정상 임신부와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40명의 정상 임신부와 46명의 자간전증 임신부를 대상으로 임신 삼분기에 각각 혈청 총 VEGF, PIGF, sVEGFR-1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분만 후 채취된 태반에서 VEGF-A 단백질의 발현은 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자간전증 임신부에서 정상 임신부에 비해 혈청 총 VEGF와 PIGF는 유의하게 낮았으며 sVEGFR-1은 유의하게 높았다. 자간전증 임신부의 태반내 VEGF-A 단백질의 발현은 정상 임신부와 비교해 낮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혈관 성장 요소 (VEGF, PIGF, sVEGFR-1)의 농도가 변화가 자간전증의 유발이나 병태생리기전에 중요한 작용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간전증 임신부에서 sVEGFR-1의 증가는 총 VEGF와 PIGF의 효과를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자간전증 임신부의 태반내 VEGF-A 단백질의 발현이 낮은 것은 임신에 대한 모체 혈관의 적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erum concentrations of VEGF, placental growth facto r(PlGF), soluble VEGF receptor-1 (sVEGFR-1) and the expression of VEGF-A in placental tissue from preeclamptic pregnancy with normal pregnancy. Methods: From pregnant women with (n=46) and without (n=40) preeclampsia, maternal serum in third trimester and placental tissue at delivery were collected. The serum concentrations of VEGF, PlGF, and sVEGFR-1 were measured. The expression levels of VEGF-A protein in placenta were assessed using Western blot. Result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VEGF, PlGF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at of sVEGFR-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preeclampsia. The expression of VEGF-A protein was lower in preeclamptic placenta than in control placent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 abnormality of angiogenic factors (VEGF, PlGF, sVEGFR-1) may b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pathophysiology of preeclampsia. An elevation of sVEGFR-1 may lead to suppression of VEGF and PlGF effects, and also the down-regulation of VEGF-A protein in placenta may result in the decreased maternal vascular adaptation to pregn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