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준신호원을 이용한 3차원 선배열센서 보정기법

        류창수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41 No.03

        High resolution array signal processing methods for target localization require knowledge of the correct positions, gains and phases of sensors that consist array, because the errors of position, gain, phase of sensors can severely degrade the performance of array signal processing. In this paper, a calibration method using known sources is proposed to estimate the positions, gains and phases of sensors that consist the bottom-mounted linear sensor array, which is used target localization in underwater. The proposed method has a cost function for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estimates the true positions of sensors by minimizing the cost function. The true gains and phases of sensors is obtained using the estimated positions of sensors. 표적의 위치추정을 위한 고분해능 배열신호처리 기법들은 배열센서를 구성하는 센서의 위치, 이득, 위상의 정확한 값을 필요로 하며, 센서의 위치오차, 이득오차, 위상오차는 배열신호처리 기법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해저에 설치되어 표적의 위치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해저고정형 선배열센서를 구성하는 센서들의 위치오차, 이득오차, 위상오차를 기준 신호원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비용함수를 정의하고, 이 비용함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센서의 실제 위치를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된 센서의 위치를 이용하여 센서의 실제 이득과 위상을 추정한다.

      • 임의형상 배열센서에 적용 가능한 다중표적 방위각 추적 알고리즘

        류창수,Ryu, Chang-Soo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42 No.2

        Ryu 등은 선형 선배열센서를 이용하여 표적의 방위각 궤적을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Ryu 등이 제안한 방위각 추적 알고리즘은 선형 선배열센서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부공간을 추정하고, 추정된 신호공간으로부터 각 표적의 방위각 이노베이션을 구하며, 이렇게 구한 방위각 이노베이션을 각 표적에 할당된 칼만필터의 입력으로 사용함으로써 표적의 방위각 궤적을 추적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Ryu의 방위각 추적 알고리즘은 별도의 데이터연관 필터가 필요 없으며 효율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Ryu의 방위각 추적 알고리즘은 선형 선배열센서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제안되었기 때문에 임의형상 배열센서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배열센서를 사용하는 여러 응용분야에서 배열센서를 구성하는 센서들은 실제로 위치오차를 가지며, 배열센서는 임의형상 배열센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Ryu 알고리즘의 장점과 추적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임의형상 배열센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위각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Ryu et al. proposed a multiple target DOA tracking algorithm using a linear sensor array. In Ryu's algorithm first, the signal subspace is estimated using sensor output and the angular innovations of targets are extracted from the estimated signal subspace. Next, the DOA's of targets are tracked using the angular innovations as the inputs of Kalman filters. Ryu's algorithm has good features that it has no data association problem and is efficient. However, Ryu's algorithm can't be a lied to an arbitrarily shaped array because it was proposed using linear sensor array. Actually, when the sensor array is used in the various application fields, sensors have a position error. Therefore, the sensor array can be an arbitrarily shaped arra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ple target DOA tracking algorithm applicable to an arbitrarily shaped array, and it sustains the good features of Ryu's algorithm.

      • KCI등재

        MAYA를 이용한 3D게임 캐릭터 디자인

        류창수,허창우,Ryu, Chang-Su,Hur, Chang-Wu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6

        스마트폰 환경에서 하드웨어인 폰(Phone)은 CPU 처리 속도 향상, 3D 엔진 탑재, 가용량 메모리 확대 등으로 인하여 차세대 스마트폰 게임 시장이 활발하게 떠오르고 있다. 또한 3D 게임 캐릭터설정에 있어서, 작은 스마트폰 화면에서 사실적이고 자유로운 애니메이션이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 설정과 스마트폰에서 효과적으로 3D 게임 캐릭터가 체감을 유발할 수 있는 조작 방법으로, MAYA를 활용하여 NURBS 데이터로 눈에서 코 그리고 입으로 얼굴을 완성하고, Polygon Cube tool로 손과 발을 모델링하였다. 그리고 하나의 큐브를 반으로 나누어 모델링 한 후 mirror 복사를 통해서 바디의 전체를 완성시켜 로우폴리곤 모델링하였다. 그 다음 사실감 있고 자연스러운 캐릭터를 모델링하기 위해 ZBrush로 디테일 완성하고 Divide의 레벨을 4까지 적용하였다. 다소 거칠거나 과장된 형태일지라도 들어갈 곳과 나올 곳 등을 표현해가며 Smooth 브러시 효과로 부드럽게 표현하고 매핑하여 로우폴리곤 3D 캐릭터를 설계하였다. 3D engines loading, and expansion of the usable capacity, next-generation smartphone game markets are rising briskly by the improvement in CPU processing speed of Phones (hardware of smartphone). Therefore, in creating 3D game characters, realistic and free-form animations in a small screen of a smartphone are becoming important. Through this paper, as a method of creating characters and operating for game characters to cause user's feeling, with NURBS data of MAYA, We completed a face in turns of eyes, a nose, and a mouth, and with Polygon Cube tool, modeled hands and feet. After dividing a cube into half and modeling it, through mirror copying We completed the whole body and modeled the low-polygon. Then to model realistic and free-form characters, We completed each detail with ZBrush and applied Divide level up to 4. Though they might look rough and exaggerated, We tried to express stuck-out parts and fallen-in parts effectively and smoothly with Smooth brush effect, map and design the low-polygon 3D characters.

      • 통계 및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웹 사이트 분석

        류창수,서용무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1 국제학술대회 Vol.4 No.1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비즈니스의 발전으로 인해 오늘날 사람들은 더욱 많은 시간을 인터넷 상에서 보내고 있다. 사용자가 기업의 웹 사이트를 방문한 기록은 웹 로그파일이라는 형태로 기업의 서버에 남게 되는데 이러한 로그 파일을 이용해 고객의 행동을 더욱 잘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경쟁력의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제까지는 웹로그를 분석하기 위해 웹 로그 분석 도구를 이용해 왔는데, 경영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발견하기 보다는 단순한 기술적인 통계량을 구하는데 그쳤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와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웹 데이터에 적용하여 경영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되는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 실제 인터넷 기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대량 데이터를 데이터마이닝을 위해 전처리 하는 과정과 준비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웹사이트의 분석은 경영 지식을 찾아내기 위한 과정으로 개별 사이트가 처한 상황에 따라 분석과정이 상이해 질 수 있기 때문에 실제 기업의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해 나가는 과정을 보이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라 생각된다.

      • KCI등재

        Association study of the three functional polymorphisms (TAS2R46G>A, OR4C16G>A, and OR4X1A>T) with recurrent pregnancy loss

        류창수,사공정현,안은희,김정오,고다은,김지향,이우식,김남근 한국유전학회 2019 Genes & Genomics Vol.41 No.1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 whether genetic polymorphisms in the function of stop-gain are associated with a fetal or placental development play roles and a development of idiopathic recurrent pregnancy loss (RPL) in Korean females. Three stop-gain polymorphisms were selected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screening, which allows for the rigorous examination and discovery of previously uncharacterized stop-gain genes and stop-gain expression profiles. Accordingl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stop-gain polymorphisms in Korean women with RPL. Three functional polymorphisms in the TAS2R46G>A (rs2708381), OR4C16G>A (rs1459101), and OR4X1A>T (rs10838851) genes were genotyp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ssays and real-time PCR analysis. We determined that the OR4C16G>A polymorphism was associated with idiopathic RPL in Korean women (Adjusted odds ratio [AOR] 1.782; 95% confidence interval [CI] 1.004–3.163; P = 0.048, and AOR 1.766; 95% CI 1.020–3.059; P = 0.042). In addition, the prevalence of RPL was increased in women with the OR4C16GA + AA genotype and blood coagulation measures of prothrombin time (PT) > 10.4 s (AOR 8.292; 95% CI 2.744–25.054). We suggest that the OR4C16G>A polymorphism might serve as a clinically useful biomarker for the development, prevention, and prognosis of RPL.

      • KCI등재

        미국 기후변화 입법상 국경조치의 WTO 협정상 적법성 연구

        류창수 법무부 2010 통상법률 Vol.- No.93

        United States President Barack Obama set climate change legislation and greater engagement with the international negotiation on climate change as two of his administration’s top priorities. As such, on June 26, 2009, the 111th US Congress led by the Democratic Party passed the American Clean Energy and Security Act of 2009, the so-called Waxman-Markey Bill, which addresses across-the-board issues of climate change. This paper examines the policy reasons for and against the border measure included in the Waxman-Markey legislation. The border measure in the bill may impose extra costs on energy intensive industries in the US, whereas foreign firms will be exempt from such costs. The imposition of costs on imports may be indispensable to leveling the carbon playing field. However, a border measure may cause serious trade impacts and could trigger not only WTO complaints but also retaliatory measures from trading partners. This paper also analyses the WTO consistency of the border measures in the Waxman-Markey Bill in terms of Article I, Article III and Article XX of the GATT and TBT agreement. etc. Even if broader WTO consistency of the border measure is still unclear and remains to be tested, this paper concludes, after reviewing the relevant WTO panel and AB reports, that border measure can be designed to be permissible in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 considering that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 has become flexible enough to accommodate policies for conservation of the environment. For the US to defend a border measure at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 the argument can be given that such border measures amount to a border tax adjustment, which is explicitly allowed under WTO rules for product-related indirect taxes. A second argument is that the border measure is justified under the environmental exceptions of the GATT XX. Nonetheless, the border measure should be a last resort given the additional problems of higher implementation cost and possible negative reaction from trading partners. The ideal solution might be reaching an international agreement that forces all major carbon emitters to agree to cut their emissions collectively. The border measure in the Waxman-Markey bill might act as a trade barrier for Korean carbon-intensive industries, such as Steel and cement industries, etc. Korea needs to closely monitor this legislation process in the US Senate and prepare for possible consequences of legislation pending in the Congress.

      • KCI등재

        미국 기후변화 입법상 국경조치의 WTO 협정상 적법성 연구

        류창수 법무부 2010 통상법률 Vol.- No.93

        오바바 대통령은 취임이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적 논의에 적극 대응하고, 이를 위한 포괄적인 기후변화 입법을 추진하는 것을 행정부가 우선 추진할 핵심 어젠다로 제시하였으며, 민주당이 주도하는 111대 의회는 배출권 거래제(cap and trade)에 기초한 최초의 포괄적 기후변화 법안인 "청정에너지 및 안보법안(The American Clean Energy and Security Act of 2009, 소위 Waxman Markey법안)"이 2009년 6월 26일 통과되었다. 본고에서는 동 법안에 포함된 국경조치의 WTO협정상 적법성(WTO-legality) 여부를 기존의 WTO 판례들을 통해 점검해 보았다. 우선 기후변화 입법상 국경조치의 도입 논거와 도입시 장․단점을 검토하였는 바, 동 법안에 포함된 국경조치는 국내정치적으로 업체들의 우려를 완화시키기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는 견해가 있는 동시에 WTO 제소를 유발하고 뿐 아니라 인도, 중국 등 교역대상국의 무역보복조치를 초래하여 무역전쟁을 야기할 수 있다는 상반된 견해들이 대립하고 있다. 동 국경조치에 대한 WTO 합법성 검토와 관련 수입품에 대한 GATT상 비차별원칙 (GATT 제1조 및 제3조)의 적용 여부, TBT협정의 적용 여부, GATT 제20조에 의한 예외조항 적용 가능성 및 위배 여부 등을 검토하였는 바, WTO 분쟁해결기구는 WTO 협정을 적용함에 있어 충분히 신축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으로 판결을 해가는 추세이며, 국경조치에 대해서도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상원에서 다시 논의될 기후변화법안에서 동 국경조치가 WTO 체제하에서 신축적으로 허용가능하도록(permissible) 고안되고 설계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볼 수 있다. 최선의 방안은 주요 온실가스 배출국들이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국제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며, 국경조치는 이행 비용 및 측정의 어려움, 무역 보복 유발 및 남용 가능성 등을 감안할 때 최후의 수단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미국의 기후변화입법이 WTO 분쟁해결기구에 회부될 경우 미국으로선 동 국경조치에 대해 GATT에서 허용된 국경세 조정을 원용하는 것을 우선 검토하고, 만약 WTO 분쟁해결기구가 동 국경조치에 대해 국경세 조정의 적용을 허용하지 않거나 국경세조정을 허용하더라도 차별적이라고 판정할 경우 GATT 제20조상 예외조항을 원용할 수 있다. 동 예외조항을 원용할 경우 우선 GATT 제20조 서문상 자의적이거나 정당화할 수 없는 차별이 없어야 한다는 요건과 위장된 보호주의가 아니라는 점을 입증한다면 동 예외조항에 의한 위법성 조각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우리나라로서도 철강, 비철금속, 시멘트 등 주요 온실가스집약적 업체에 대해 동 국경조치가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미 의회의 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이에 대한 관련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United States President Barack Obama set climate change legislation and greater engagement with the international negotiation on climate change as two of his administration's top priorities. As such, on June 26, 2009, the 111th US Congress led by the Democratic Party passed the American Clean Energy and Security Act of 2009, the so-called Waxman-Markey Bill, which addresses across-the-board issues of climate change. This paper examines the policy reasons for and against the border measure included in the Waxman-Markey legislation. The border measure in the bill may impose extra costs on energy intensive industries in the US, whereas foreign firms will be exempt from such costs. The imposition of costs on imports may be indispensable to leveling the carbon playing field. However, a border measure may cause serious trade impacts and could trigger not only WTO complaints but also retaliatory measures from trading partners. This paper also analyses the WTO consistency of the border measures in the Waxman-Markey Bill in terms of Article I, Article III and Article XX of the GATT and TBT agreement. etc. Even if broader WTO consistency of the border measure is still unclear and remains to be tested, this paper concludes, after reviewing the relevant WTO panel and AB reports, that border measure can be designed to be permissible in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 considering that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 has become flexible enough to accommodate policies for conservation of the environment. For the US to defend a border measure at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 the argument can be given that such border measures amount to a border tax adjustment, which is explicitly allowed under WTO rules for product-related indirect taxes. A second argument is that the border measure is justified under the environmental exceptions of the GATT XX. Nonetheless, the border measure should be a last resort given the additional problems of higher implementation cost and possible negative reaction from trading partners. The ideal solution might be reaching an international agreement that forces all major carbon emitters to agree to cut their emissions collectively. The border measure in the Waxman-Markey bill might act as a trade barrier for Korean carbon-intensive industries, such as Steel and cement industries, etc. Korea needs to closely monitor this legislation process in the US Senate and prepare for possible consequences of legislation pending in the Cong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