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수준 학업 성취도에 대한 미네소타 교원성과급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홍사훈 ( Saa Hoon Hong ),류지훈 ( Ji Hoon Ryo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2

        미국의 교원성과급제는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주요 평가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교원성과급제의 적용은 학력신장에 미치는 교원의 효능성에 관한 연구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교원성과급제와 학력신장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종단 연구의 필요성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 는 학교 수준의 학력신장을 교원성과급제의 핵심으로 반영한 미네소타의 교원성과급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력신장에 미치는 교원성과급제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미네소타의 교원성과급제는 초등학교 3, 4, 5학년의 학력신장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 교원성과급제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교원성과급제 전반에 대한 심도 있는 재논의의 필요성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Minnesota performance pay is intended to help with the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high-ability teachers that leads to successful student learning, Linear Mixed Model(LMM) was employ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formance pay for teachers on student educational performance as measured by Minnesota Comprehensive Assessments II(MCA II) test scores in mathematics and reading assessm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pay and school mean growth in MCA II tests; thu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showing that Minnesota performance pay tied to student achievement was not sufficient enough to improve school performance in academic assessm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SW-PBIS가 인지발달장애학생들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효과

        홍사훈 ( Saa Hoon Hong ),류지훈 ( Ji Hoon Ry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3

        SW-PBIS는 학생들의 사회적 능력 습득과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포괄적인 학교환경의 변화를 제안하고 있다. 삼층 위계모형을 기반으로 한 SW-PBIS는 학생들이 바람직한 학습 태도, 행위규범, 소수에 대한 이해와 배려, 다양성 존중에 관한 교육기회를 제공한다.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에게는 그들의 필요에 맞추어진 개별화된 혹은 특성화된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체계적인 지원은 사회적 능력의 습득과 향상을 도울 뿐 아니라 일반학생들의 학력신장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경향점수를 활용하여 SW-PBIS와 경도 인지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SW-PBIS를 통한 긍정적인 학교 환경의 변화는 특수교육요구학생들의 읽기 학력신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는 학생들의 과목별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SW-PBIS 역할과 활용을 위한 논의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W-PBIS on special education student achievement b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allowed to identify a matched sample whose control group has similar characteristics as its experimental group. SW-PBIS schools and their matched samples were compared within model selection procedures using model fit index. The result indicated that special education student achievement growth in math was not associated with SW-PBIS while their growth in reading was associated with SW-PBIS. For Korean education, SW-PBIS could be introduced to support Korean character eduction and democratic civil education. Implication for Korean-version SW-PBIS application was also discussed.

      • KCI등재

        통합교육 운영 만족 예측모형 분석에 근거한 통합교육 개선 방안

        홍사훈(Hong, Saahoon),류지훈(Ryoo, Ji Hoon),박소영(Park, So-Young),유장순(Yoo, Ja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미치는 잠재변인과 외 생변인의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G도 전체 초․중․고등학교에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의 통합학급 담당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각 1 명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일반교사 445명(39.4%)과 특수교사 683명(60.5%)의 총 1,12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하나의 교사 집단으로 고려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초등학교가 중․고등학교 보다 통합교육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의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직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의 교직경력은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간접효과만을 보였다. 그 밖의 통합교육 담임교사 경력, 통합교육 연수, 협력교수와 같은 외생변인은 통합교육 운영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의 일반교사가 초등학교의 특수교사보다 통합교육 만족도에 대하여 학교공동체의 수용태도를 매개로 하는 긍정적인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들의 경우에 학교공동체의 장애학생들에 대한 수용태도가 긍정적일 때, 통합교육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에 이를 때까지 통합교육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원인과 일반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를 보이는 특수교사에 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1,128 general/special education teachers’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by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o examine the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school type, special education teacher, teacher exper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o-teaching,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tudent with special needs than middle and/or high school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less positive on the attitude toward inclusion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general/speci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had an indirect effect of teachers’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via teaching experience. This study highlights the current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t also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challenges and tasks to improve inclusive education that meets special education student needs and teachers with/without special education teacher licenses.

      • KCI등재

        비선형 분수다항함수를 이용한 종단연구 영어성취도 성장선 모형화

        차인숙(Insook Cha),류지훈(Ji Hoon Ry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2

        국가 수준 및 시도교육청 수준의 종단연구는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변화와 성장이 어떻게 발달 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긍정적인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설명변수들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성장궤적함수를 찾는 것은 설명변수의 효과검정과 개인 간 차이에 대한 이해의 시작점이므로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종단 연구자들은 일차함수인 선형모형을 적용하고, 일부 연구자들은 다항함수 및 시그모이드 성장모델을 적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는 선형과 비선형의 2차 및 3차 다항함수, 그리고 지수 성장곡선 등을 유연하게 표현할 수 있는 분수다항함수를 소개하고, 분수다항함수에 존재하는 여러 모형에 대하여 고정효과(초기위치, 성장률, 예측변수)와 무선효과 결과치들의 비교를 통하여 가장 적합한 분수다항함수를 찾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The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ies investigates students’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development according to grade and age, in additi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anatory variables that can help positive growth. Finding a growth trajectory function is the most important step as it is the starting point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explanatory variables and understanding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Most researchers tend to have applied a linear function, while some have tended to apply conventional polynomial functiong or sigmoid growth models. This study introduces fractional polynomial functions fitting empirical data. It illustrates how the fixed effects and random effects change as the growth trajectory function changes to indicate the significance of using a growth trajectory function with good model fit, so as to emphasize to apply fractional polynomial functions with good model fit in terms of flexibility and parsimonious in longitudinal studies.

      • KCI등재

        정렬법을 적용한 학생 스트레스 척도의 측정 동일성 검증 및 잠재평균 분석

        노재희(Jaehee Rho),류지훈(Ji Hoon Ry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4

        학생 스트레스 검사와 같이 다양한 하위 모집단군에 걸쳐 이루어지는 검사에서 그 측정 도구가 타당한지 검증하는 것은 중요한 절차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스트레스 척도가 지역규모 및 성별에 따라 측정 동일성 확보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4차년도(2016년도) 데이터인 학생 6,773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측정 동일성을 검증하였다. 분석에는 다집단의 잠재평균 차이를 비교하는 데 있어 전통적 다집단 분석 방식의 한계를 보완한 정렬법(alignment method)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 척도는 지역규모 및 성별에 따라 전체적으로 측정 동일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8문항 중 2문항에서 지역규모, 성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는 해당 척도를 사용하여 학생의 지역규모 및 성별 간 스트레스를 비교함에 있어,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 해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In tests that span a variety of subpopulations, such as the student stress test, it is an essential to verify that that the measurement tool is valid. This study used the response data of 6,773 students, the data of the 4th year(2016) in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 in order to verify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student stress scale by region size and gender. In the analysis, the alignment method, which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multi-group analysis method,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tent means of the multi-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scale satisfies the overall measurement invariance in groups of each region size, and gender.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2 of the 8 items in groups of each region size and gender. This means that some items requires more careful attention in interpretation when comparing the stress levels of students in relation to the region size and gender with this scale.

      • KCI등재

        GAMM과 PGM을 적용한 성장모형의 탐색

        박희주(Hee Joo Park),류지훈(Ji Hoon Ry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2

        종단연구에서 성장모형을 탐색하는 것은, 성장과 관계된 변인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만큼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성장모형을 확인함에 있어 종단연구에서 일반화 가법 혼합 모형(GAMM)과 조각별 성장모형(PGM)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자료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2013) 데이터를 통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GAMM과 PGM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GAMM에서 최적화된 성장모형 함수의 지수가 2.98로 산출되어, 성장모형은 3차 함수에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GAMM을 적용해 무선 효과를 검증한 결과, 조사의 시작점인 1차년도에서 198.73점의 성장을 확인하였고,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 성장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2.97점 높은 성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PGM을 적용한 결과, 전환점은 2.54에서 나타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학교 급이 변화하는 시점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데이터 기반 성장모형을 탐색하는 GAMM과 PGM을 통한 접근을 시도했으며, 이러한 연구는 데이터 기반 기계학습법 등의 성장모형 분석으로 크게 확장될 수 있다. Exploring a growth model in a longitudinal study is as important a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variables related to growth. In this study, in identifying the growth model,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generalized additive mixed model (GAMM) and the piecewise growth model (PGM) in longitudinal study. For empirical data, GAMM and PGM were used for identifying changes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rough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2013) data. As a result, the exponent of the growth model function optimized in GAMM was calculated as 2.98, confirming that the growth model was most suitable for a cubic func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andom effect by applying GAMM, a growth of 198.73 points was confirmed in the first year, the starting point of the survey, and it was confirmed that female students showed 2.97 points higher growth than male students in terms of growth in students' math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pplying PGM, the turning point appeared at 2.54,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atest change was shown at the time of school grade change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Such results as in this study show different approaches through GAMM and PGM to explore data-based growth models, and these results can be greatly expanded to analyze growth models such as data-based machine learning methods.

      • KCI등재

        학교수준의 부가가치모델을 통한 학교 효율성 척도 연구

        홍사훈 ( Saahoon Hong ),류지훈 ( Ji Hoon Ryoo ),곽노훈 ( Nohoon Kwak ),이동엽 ( Dong Yub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7 중등교육연구 Vol.65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 1-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단위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학교단위의 변인들을 바탕으로 네 가지의 학교단위 부가가치모델(value-added model)을 구현함으로써 학교 효율성 척도를 산출하였다. 특히 전체학생들과 학업성취도 수준이 낮은 학생들에 대한 학교의 효율성(effectiveness)을 구분함으로써 모집단이 달라짐에 따른 학교 효율성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제시된 네 가지 부가가치모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같은 과목 내에서의 모델 간 학교 효율성 척도 상관관계는 대부분 0.8 이상으로 높았지만, 각 모델 내에서 영어와 수학에 대한 학교 효율성 척도 상관관계는 0.39부터 0.44로 낮았다. 이는 부가가치모델이 학교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다양한 변인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과목 간의 낮은 상관관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부가가치모델을 통한 효율성 척도는 각 과목별로 해석되고 활용되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As student learning gains depend on the quality of school, effective school must be a primary measure of its quality. However, the evaluation of school is at best inconsistent, which is mainly because of the lack of reliable and valid evaluation tools. This study examines four value-added models (VAMs) to measure school accountability by using panel data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VAM estimates yields the academic growth rates of groups of all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low performing students, respectively, from year to year. The results indicate that VAM estimates from four different VAM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particular, correlations between Math and Reading in each VAM vary between 0.39 and 0.44, while correlations among VAM estimates within each subject are above 0.8. The findings suggest that critical school variables could be taken differently to compare the school effectiveness in Math and Reading, respectively. VAM estimates also need to be interpreted by subjects, Math and Reading, separately. Recommendations for policy associated with VAMs and future research topics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수학 학업성취도의 동질 성장모형과 변화 전환점 추적: 비선형 조각별 성장혼합모형의 적용

        박희주(Hee Joo Park),류지훈(Ji Hoon Ryoo)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4

        종단연구에 있어 변화의 패턴을 찾아내어 성장을 예측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이라 할 수 있다. 그 변화의 패턴은 대부분 비선형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모델 중 조각별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하여, 이질적 성장모형의 존재가능성과 알려지지 않은 전환점을 찾아냄으로써 성장모형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베이지안 추정 방법과 최대우도법을 조각별 성장혼합모형에 활용하였다. 실증적 자료인 서울교육종단연구(SELS-2010)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떠한 지점에서, 몇 번의 전환점을 가지는지를 확인하였다. SELS-2010 데이터 중 9개 시점의 수직 척도화된 수학 학업성취도 점수를 활용하였으며, 코호트 자료 중 고등학교 과정 자연계열로 진학한 총 1,01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화는 동질군에서는 4개의 전환점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전환점은 각각 2.02, 4.48, 6.72, 7.75로 나타났고, 이는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시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는 두 개의 이질군이 존재하고 고정군에서는 3개의 전환점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전환점은 각각 2.49, 4.64, 6.39에서 나타났고, 이는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의 시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장군에서는 4개의 전환점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전환점은 각각 2.03, 4.98, 6.80, 7.70에서 나타났고, 이는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시점으로 나타났다. 성장의 측면에서 모집단이 이질군들로 이뤄질 수 있다고 하는 혼합모형은 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이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조건으로 확장될 수 있어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개별화된 학습분석에 적용이 가능하며 정책적 프로그램의 효율성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 Examining a growth pattern is key in a longitudinal study. Such a pattern is often represented as nonlinear growth. In this study, we fit a piecewise growth mixture model (PGMM) into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data by searching unknown change points and assuming heterogeneity of growth. Bayesian estimation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re often applied within PGMM. More specifically, we used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scores over nine years with the SELS data collected from 2010 (SELS-2010). SELS-2010 data comes from 1,014 students followed from third grade to twelfth grade. Results include two growth models with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n terms of growth. In the homogeneous growth model, four change points were identified as 2.02, 4.48, 6.72, and 7.75. When considering the heterogeneous growth model, we found one group without growth over 9 years with change points of 2.49, 4.64, and 6.39, and the other group exhibiting growth over 9 years with change points of 2.03, 4.98. 6.80, and 7.70. The PGMM method can be extended with covariates. The results can also be applied to analyze student learning analytics and to test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s.

      • KCI등재

        인지능력의 군집화를 통한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 분석

        김정훈(Junghoon Kim),박희주(Heejoo Park),류지훈(Ji Hoon Ry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초등학교 6학년의 인지능력 영역별 특징에 따른 동질군을 군집화 분석(clustering analysis)을 활용하여 파악하고, 군집에 따른 수학 학업성취도의 성장모형으로 나타난 패턴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분석한 후 교수학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에 있는 A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전원인 59명을 대상으로 수학 학업성취도와 인지능력(귀납적 추론, 순차적 추론, 양적 추론, 시각화)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퍼지 군집화(fuzzy clustering)를 실시하여 인지능력이 특징을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된 인지능력에 따른 수학 학업성취도의 성장에 관한 혼합효과 성장모형을 분수다항함수를 통해 추정하였다. 결과 퍼지 군집화 결과, 전체 표본의 이질성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인지능력 영역별 분포는 두 계층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류된 인지능력의 특징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고인지-순차적 추론 집중형’과 ‘저인지-비등형’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1차 분수다항함수를 통해 두 그룹의 성장 혼합 모형을 분석한 결과, ‘고인지-순차적 추론 집중형’은 3차시 이후 수학 학업성취도의 성장이 완만해 지는 로그함수 형태의 패턴을 보인 반면 ‘저인지-비등형’의 경우 1차시부터 7차시까지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는 선형함수 형태의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력에 관한 개인차 진단에서 인지능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인지능력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교수⋅학습방안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type of cognitive abilities specified by CHC theory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6 graders. Student’s type of cognitive abilities were identified by applying clustering analysis and the growth were fitted by growth mixture modeling. Method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59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sang Nam-do were selected and they participated both survey of cognitive ability test, called MOCA, and mathematics exams. Based on their response data, fuzzy clustering analysis was fitted to identify student’s type of cognitive abilitie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was fitted to identify their growth pattern with each class. Results In the fuzzy clustering analysis, two classes were identified: the one is “high cognitive ability and strong inductive reasoning group (class 1)” and the other is “low cognitive ability and similar abilities over narrow cognitive domains (class 2)”. The result from growth mixture modeling, log growth pattern was chosen for the class 1 and linear pattern was chosen for the class 2, which indicates different pattern over classes. Log growth pattern tells us that students in the class achieve the section goal faster at the 1st to 3rd classes and stable over the remaining class period. And the linear growth pattern tell us that students achieve the section goal steady over tim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fferent pattern on cognitive abilities. In teaching pedagogy, it is implied that curriculum was tailored for each class identified by cognitive abilities.

      • KCI등재

        온라인 교육을 위한 LMS 패러다임의 전환

        박희주(Hee Joo Park),류현석(Hyun Suk Ryoo),권종겸(Jongkyum Kwon),류지훈(Ji Hoon Ryoo)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미래교육학연구 Vol.35 No.2

        연구목적: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코로나19로 인한 사회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은 확대되었고, 인재상 등 많은 영역에 있어 온라인 교육의 재정립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교육의 핵심도구인 학습관리시스템(LMS)의 역할과 기능을 조사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교육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구체적 예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LMS의 역할과 기능, 필요성에 대해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하여 재정립하였다.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LMS가 개별 학생들의 학습 피드백을 제공하고 학업 성장을돕는 학습 플랫폼의 역할로써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탐색하였다. 또한,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LMS의 핵심 기능인 학습분석학과 온라인 평가의 적용을 설명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교육을 위한 LMS는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고 학업 성장을 측정, 예측하는 학습분석학의 기능을 갖춘 형태의 시스템이어야 하며, 온라인 평가가 내재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체계적인 LMS를 통해 학생들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업을 제공받으며, 학습에 대한 개별적인 피드백도 함께 제공받게 된다. 학술적 기여: 4차 산업 인재양성을 위한, 온라인 교육을 주도할 LMS의 연구는 학습분석학과 온라인평가의 융합학문으로써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LMS의 효율성(effectiveness), 확장성(scalability)과 유지 가능성(sustainability)은 교육 기회의 불공정 해소와 같은 교육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써의 역할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Online education has in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the Covid-19 pandemic, which requires to re-define foundational concepts including talented people. In this study, we examine and re-define concepts of roles and functions in LMS and demonstrate an example of LMS fitted to online education. Methods: Systematic review was applied to examine the roles and functions in LMS, which allows to re-define online educ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 explored specific approaches of LMS to help student learning. Also, we demonstrated learning analytics and online assessment as primary functions of LMS via a well-developed LMS. Results: Study results summarize two-folds of LMS: the one is learning analytics and the other is online assessment. That is, LMS should be designated based on learning analytics that indicates student’s learning progress and predicts student’s achievement. LMS should also include ‘on-the-fly’ online assessment that measures student’s learning within online education. Based on these aspects of LMS, we introduced a LMS, called CLASS. Implications: Research on LMS for online education should be collaborated with learning analytics and online assessment, which boosts a convergence research encompassing three topics for online education. Results also inform that LMS plays a key role in cultivating people of talent for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 improving fairness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