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조건문 영역의 차이 분석 ― ‘-면’과 ‘여과(如果)/지요(只要)’를 중심으로

        류야페이 ( Liu Yafei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1 중국언어연구 Vol.- No.93

        Conditional is a universal category in human languages, but it’s usage in individual languages may be diverse. To describe the same situation, some languages may use conditional clause, whereas some languages may choose other forms. This paper focuses on the comparison of the conditionals in Korean and Chines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Korean conditionals is more widely used than in Chinese. This is because the two language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specific categories. The differences are mainly on generic, temporal and factual conditionals. In Korean they are treated as conditionals, but in Chinese they use other semantic categories to express the same situation. Overall, Korean is a language that uses conditionals more flexibly according to context and speaker's pragmatic intentions.

      • KCI등재

        ‘회(會)’의 서상적 표지 기능에 관한 고찰

        류야페이 ( Liu Yafei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4 No.-

        화자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에 대해 발생할 가능성을 추측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모순이 된다. 그라나 중국어에서는 ‘會’가 이러한 모순된 환경에서 출현할 수 있다. 본고는 기존의 유형론적 연구를 참조하여 ‘會’의 그러한 특수 용법을 고찰하였다. 중국어에서 ‘會’는 사실성 종속절에서 출현하며 주절의 동사나 형용사가 나타내는 감정평가, 즉 화자의 주관적인 태도를 강하게 드러낼 수 있다. 이 외에 특수한 표지가 출현할 때 ‘會’도 이러한 용법을 나타낼 수 있다. 영어 ‘should’가 문법화를 통해 서상법의 용법을 얻은 것과 같이 ‘會’도 통사적 조건의 변화에 따라 구체적인 의미가 손실되어 화용적인 기능만을 가진 서상법의 표지로 변했다. According to most of the well accepted researches, ‘hui’ express the meaning of ability and possibility. But if ‘hui’ appears in the sentence which describes the situation that is the truth been known by the speaker and listener, the usage conflicts with these two meanings. This paper tried to explain that kind of ‘hui’ by comparing the similar phenomena in other languages. From the typological view of subjunctive and irrealis mood, there are some abnormal use that would be explain by the pragmatic rule. If the subjunctive and irrealis mood appears, it means that one’s emotional valuative reaction to the situation is stronger because that situation is less expected. The use of ‘hui’ can also be explain with the same rule. This kind of ‘hui’ would be used when the following prerequisites are fullfilled. First, it is in the subordinate clause or the whole sentence is about a presupposed situation. Secondly, the sentence expresses the speaker’s emotive attitude about the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