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東京三才’(洪明熹, 崔南善, 李光洙)를 통해 본 1920년대 ‘문화정치’의 시대

        류시현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09 한국인물사연구 Vol.12 No.-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the Japanese Colonialism changed their policy from the militarism to the cultural policy . At that time, Korean nationalists and Socialists established journalistic media such as the vernacular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political organizations. I would like to want to read Hong Myung-hwi(1888~1968), Choi Nam-son(1890~1957), Yi Kwang-su (1892~1950)’s activities in 1920s under the cultural policy (Munwha Chungchi). They(Three Korean geniuses) had lived as poet, novelist, publisher, editor, teacher, and historian through their whole life. However, during the 1920s, they had a key role among the leaders of Korean nationalists against the Japan Imperialism. They had a key role in Korean national movement such as Match First Movement in 1919. Because of these activities, Yi Kwang-su left Japan and went Shanghai in China for political struggle. Both Hong Myung-hwi and Choi Nam-son were imprisoned. Frustrated with exile nationalist politics, Yi decided to return to Korea in the spring of 1921. Yi’s returning made an instant sensation. Therefore, in the middle of 1920s, they each others worked in Seoul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However, the Three Korean geniuses became estranged each other because of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n the socialism and the future of Korean nation. Analyzing these three Korean geniuses in Tokyo will help deepen our understanding of Korean nationalists’ cultural activit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Moreover, the future work on the Thee Korean geniuses in Tokyo should focus on their thoughts and activities between Japan colonial period and the liberation of Korea. 1900년대 비슷한 시기에 일본 유학을 하고, 유학시절 언론과 문필활동을 활발하게 했던 홍명희, 최남선, 이광수에 대한 조선인 사회에서의 기대감 속에서 이들을 ‘동경삼재’라고 불렸다. 하지만 1920년대 조선 사회에 대한 ‘분열’을 획책했던 일제의 ‘문화정치’ 속에서 이들 ‘동경삼재’는 각기 상이한 정치적 선택을 하게 된다. 이광수는 ‘타협적’ 민족주의자의 일원으로 일제가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의 ‘자치’를 주장하는 방향으로 전환했으며, 최남선은 단군과 ‘불함문화론’ 연구를 통해 일본인 학자의 조선에 관한 연구에 학문적으로 대결하고자 했으나 ‘비정치적’ 학문 연구는 점차 일본 관학자의 입장을 옹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반면 사회주의 사상 연구와 사상단체 참여에 적극적이었던 홍명희는 ‘비타협적’ 민족주의자의 일원으로 1920년대 후반 민족통일전선의 일환인 신간회 활동에 지도부로 참여했다. 1920년대 ‘동경삼재’의 정치적 선택의 과정을 본고에서는 공간과 사회주의에 관한 입장 차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동경삼재’는 3·1운동을 전후 한 시기, 당시 민족운동가 일반이 그러했듯이, 망명과 투옥을 경험했다. 이광수는 중국 上海에 가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가해서 그 기관지인 『독립신문』의 책임자를 지냈다. 당시 『독립신문』에 게재된 논설 가운데 상당수가 이광수가 집필한 것이고, 이를 통해 볼 때 상해시절의 이광수는 ‘절대 독립’과 독립전쟁 노선을 지닌 안창호와 입장을 같이 했다. 따라서 귀국 후 이광수가 1920년대 주장한 ‘준비론’, ‘실력양성론’의 입장은 일제의 ‘문화정치’란 시대적 상황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최남선과 홍명희는 수감생활을 통해 향후 민족운동의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계기로 삼았다. 최남선은 수감기간 일제와 학문적 대결을 준비하는 ‘조선학’ 연구의 토대를 구상했고, 홍명희는 출옥 후 언론활동과 함께 민족운동의 가장 선진적인 사상단체에 적극 참여하여 신사상을 학습 소개하고자 했다. 한편 선행 연구에서 주목되었듯이 타협적 민족주의와 비타협적 민족주의 사이의 간극은 사회주의에 관한 인식과 이를 통한 민족통일전선에 관한 입장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그런데 민족주의 계열의 수양동우회 기관지인 『동광』에 지속적으로 사회주의를 소개하는 기사가 연재 혹은 기고되었으며, 1920년대 초반 최남선 역시 잡지 『동명』을 통해 신사상의 일환으로 사회주의 사상의 소개에 적극적이었다. 하지만 1920년대 중반 이후 이광수와 『동광』의 편집진은 민족주의 계열의 ‘정치적’, ‘경제적’ 운동이 침체되는 상황에서 그 원인을 사회주의에서 찾았으며, 최남선은 조선적 특수성을 연구하는 ‘조선학’ 연구에 대비되는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의 ‘국제주의’를 비판했다. 즉 이광수와 최남선은 당대 조선 사회에서 경쟁 대립해야 하는 볼셰비즘과 조선인 사회주의자의 활동에 대립의 각을 세웠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양자 사이에는 ‘통일전선’에 관한 생각에서 차이를 보였다. 타협적 민족주의의 경향을 지닌 이광수는 통전에 관해 비판적인 입장을 지녔다면 최남선은 통전이 지닌 민족운동에서의 기대 효과를 긍정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러한 차이가 신간회 활동에 적극 참여했던 홍명희가 비록 정치적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최남선과 ‘교유관계’를 지속할 수 있 ...

      • KCI등재

        1930년대 문일평의 조선학 연구와 실학의 재조명

        류시현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5 한국인물사연구 Vol.23 No.-

        This article deals with Hoam(penname) Mun Il-Pong(1888~1939)’s academic relationships with scholars and his works on Korean Studies. Mun was one of the distinguished modern nationalist historians in the realm of “Korean Studies in 1934.” At the middle of 1930’s, Korean Studies consisted of the events for death of Dasan’s commemoration(茶山逝去記念事業) and the Publication of Yoeyoundan- junseo(與猶堂全書). Jeong In-bo, An Chae-hang and Moon Il-Pyong were re-discovering Shilhak through the progress of movement for Korean Studies in the mid 1930’s. New points that this article focuses 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un was evaluated as a pioneer of Korean Studies. For the purpose of approaching his writing on Korean national and cultural history, this paper focuses on his academic relationships with other Korean historians. Secondly, I examine the notion of Korean identity and thought which was called Chosun Sim(朝鮮心) with connected with Korean culture. Lastly, Mun stressed the historical positivism and wrote historical articles and published poplar historical books. He strove to established both rational writings and esthetics of nation mind through the Korean thoughts through the Korean studies on Practical Studies(Shilhak).

      • KCI등재후보

        ‘東京三才’(洪命憙, 崔南善, 李光洙)를 통해본 한말 일제 초 조선의 지성계

        류시현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08 한국인물사연구 Vol.10 No.-

        한말시기 ‘新大韓’을 건설할 주역으로 ‘新靑年’이 주목되었고, 이들 ‘신청년’이 국민국가 수립에 기여할 근대적 지식을 얻는 주된 경로는 일본 유학이었다. 실제로 이들은 일본 유학기간에 습득한 근대적 지식을 그들 자신의 실천 활동에서 적용하고자 했고 이와 병행해서 뒷 세대 청년과 소년층에 출판 및 저술활동을 통해 그 내용을 전달하고자 했다. 이들 동경 유학생 가운데 주목받은 3인이 있었고, 이들을 ‘東京三才’라고 불렀는데, 홍명희, 최남선, 이광수를 가리켰다. ‘아시아의 런던’이라고 불리던 일본 동경에서 유학했던 이들 3인은 학교 및 서점․도서관 등을 통한 근대의 경험을 바탕으로 귀국 후 다양한 분야에서 조선의 ‘문명화’를 이루는 영역에서 활동했다. 홍명희는 1888년, 최남선은 1890년, 이광수는 1892년에 태어났으며, 이들 3인은 각각 2살 터울이었다. 비슷한 연배의 이들은 한말 일제 초 일본에 유학을 했던 경험이 동일했으며, 문학의 영역에서 활동을 한 공통분모를 지녔다. 귀국의 시점에서 홍명희는 자연주의 문학 영역에서, 최남선은 역사와 조선문화 영역에서, 이광수는 문학과 사회 평론의 영역에서 장점을 지닌 존재였다. 이들 ‘동경삼재’의 본격적인 활동은 식민지 상황 속에서 이루어졌다. 귀국과정 및 국내에서의 이들의 활동 폭은 이러한 현실에 의해 제한되거나 굴절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동경삼재’는 일제에 의해 병합된 시기를 전후해서, 자신들의 역할을 스스로 부여하고 교육과 언론 영역에서 활동을 전개했다. 하지만 일본에서 습득한 근대적 사고와 물질적 영역의 성과를 조선에서 실현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이들 동경삼재는 ‘신경쇠약’에 걸리기도 하고 외국을 ‘방황’하기도 했다. 아울러 이들은 윗세대의 도움을 받지 못한 존재로서 자신들을 규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유학시절 경험했던 민족주의적 각성을 토대로, 이들 ‘동경삼재’는 1919년 전민족적 항일운동인 3‧1운동의 과정에서 주역의 역할을 담당했다.

      • KCI등재후보

        여행과 기행문을 통한 민족`민족사의 재인식: 최남선의 사례를 중심으로

        류시현 역사학연구회 2007 사총 Vol.64 No.-

        Mass travel or touring is a kind of symbol of the modern. Though the train and steamship, the Western had traveled the non-Western area such as Asia, Africa, South America. Their travel books composed with exotic observation based on the Orientalism. Comparing with the Colonizer's view, the colonized's traveling book focused on their culture and history with non-prejudice. Among them, I examine Choi Nan-son and his record of trave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First of all, his interest of travel or touring was the means of physical training and Enlightenment. He encouraged the 'boys' who will be the core of the future Korea nation. After that, his traveling books connected with Korean culture and history which called the 'Korean Studies'. Especially, when he had gone both the Bak-du Mt. and the Kumkang Mt., he always interested in Korea's ancient history. After the middle of 1930's, Choi was changed as the collaborator of Imperial Japan. At that time, he supported Japan's Imperial war such as the Manchuria aggression in 1931 and the Second Sino-Japanese War in 1937. His traveling articles was focused on the Japan's main historical role in the East-Asia area. Choi denied his theory on the Korean studies which was produced during from 1900s to 1920s. The political key role of Northeast Asia was changed Korea into Japan based on the theory on the ancient East-Asia history. He agreed with Japan's the theory of Pan-Asian coprosperity and encouraged Korean peasant and intellectuals to collaborate Imperial Japan who lived in Manchuria. He also encouraged Korean university students heartily to entry into the Pacific War. Chio was changed into pro-Japanese in 1940s.

      • KCI등재

        일본의 국가정체성 인식변화와 해양수산정책에의 영향

        류시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연구 목적: 본 연구는 IWC 탈퇴를 결정한 일본의 달라진 해양수산정책을 분석하고, 이러한 정책변화를 유도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일본탈퇴의 국제요인을 국제규범의 역할과 한계에 관한 검토를 통하여 증명하고, 내생적 요인으로서 국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 정체성에 대한 인식 변화요인의 고찰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IWC 국제규범의 변화로 일본 내 규범 확산이 불가능하게 된 과정을 살펴보고, 국내적으로는 아베 정부의 공세적 해양정책이 해양수산정책 전반에도 미친 영향을 고찰한다. 결론 및 제언: 일본의 IWC 탈퇴는 국제규범 확산의 실패와 일본의 국가정체성 인식 변화에 따른 해양정책의 공격적 성격이 작용한 결과다. 앞으로는 일본의 공세적 해양정책과 동아시아 해양안보의 관계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해방 후 최남선의 중등 역사 교과서의 집필과 세계사 인식: 『세계역사요령』(1949)을 중심으로

        류시현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2023 공존의 인간학 Vol.- No.9

        1945년 8월 해방으로 인해 역사 서술과 교육은 새롭게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대전의 결과 미국과 소련의 세계 정치 주도, 한국의 독립과 일본 의 패망 등의 국내외 정세 변화가 일어났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사는 물 론 동양사 및 서양사가 새롭게 쓰였다. 최남선은 1949년에 한국사 및 동 양사와 서양사를 아우르는 『세계역사요령』을 출판했다. 『세계역사요령』은 한국부터 동양과 서양까지의 공간과 고대로부터 당 대까지의 시간을 한 권으로 편집한 것이다. 세 역사책이 어떻게 한 권의 책으로 묶였을까? 1947년에 출판된 『중등국사』와 『중등동양사』는 ‘중등’을 표방했듯이 교육 현장에서 교재(교과서)로 활용되기를 희망했다. 반면 1949년에 출판된 『세계역사요령』은 이전에 출판된 각각 한국, 동양, 서양 이란 공간을 범주로 한 역사 교과서가 1949년에 한 권의 『세계역사요령』 으로 모아진 것이다. 해방 후 최남선이 집필했던 역사 교과서에 관한 관심은 적었다. 또한 동양사와 서양사 교재를 처음 집필했던 것이 주목받지 못했다. 역사 교과 서는 독자인 학생 및 국민에게 역사 관련 기초 지식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서술 내용 역시 과거의 역사를 소개하는 것을 넘어서 당대와 미래에 대한 전망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세계역사요령』의 세 권은 유기적으로 구성되었다. 공간이 한국에서 동 양 그리고 서양으로 확대되었다. 이 책을 통해 최남선은 세계사에서 서양의 ‘성공’의 교훈을 찾고자 했다. 나아가 한국사와 동양사, 서양사를 함 께 조망함으로써 독자인 한국인에게 새로운 대한민국의 ‘국민’이 되기를 바랐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A Patient with Repeated Catastrophic Multi-Vessel Coronary Spasm after Zotarolimus-Eluting Stent Implantation

        류시현,안영근,정명호,김주한,홍영준,김민석,장수영,이기홍,이민구,박근호,심두선,조은애 대한심장학회 2013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43 No.1

        Drug-eluting stents (DES) have gained great popularity because of extraordinarily low rates of restenosis. Despite these superior clinical out-comes, several cases regarding the severe multi-vessel coronary spasm, although rare, after the placement of first generation DES have been reported. We report a case of severe, multi-vessel coronary spasm that occurred two occasions after placement of a zotarolimus-elut-ing stent, one of the second generation DES, in a 42-year-old man with unstable angina. The first incidence was relieved by intracoronary ni-troglycerin alone, and second incident, which had combined fixed stenosis was treated with intracoronary nitroglycerin and everolimus-elut-ing s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