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 위기'의 시대, 기독교의 안식, 그리고 기독교교육

        류삼준,Ryu, Sam Jun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7

        본 연구는 현대사회가 과거에 비해 매우 심각한 '생명 위기'의 시대를 맞이한 것으로 보는 한편, 이러한 생명의 위기가 일반 교육은 물론 기독교교육에 있어서도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라는 점을 전제한다. 그 이유는 기독교가 생명을 소중하게 여기는 생명의 종교이며 이 생명의 위기에 대처해야 할 막중한 사명을 생명의 하나님께로부터 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의 안식이 오늘날 생명의 위기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전제하에 기독교교육이 생명 위기의 시대 가운데 실천해야 할 과제를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연구자는 현대사회를 성찰하여 오늘날 발생하는 주요 생명 위기의 현상에는 고의적 자해에 의한 죽음,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 사고, 취약계층의 현실과 이에 대한 무관심 및 무감각, 그리고 자연환경의 파괴가 있다고 진단한다. 또한 이러한 생명 위기의 현상에 있어서 신자유주의, 성과주의, 소비지상주의와 물질만능주의, 이기주의와 인간중심주의가 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런 후에, 기독교의 안식에 대한 성서적 및 신학적 고찰을 바탕으로 생명의 위기와 긴밀하게 연관되는, 현대사회에서 기독교의 안식이 가진 목적과 의미를 삶과 생명의 주도권이 하나님께 있다는 사실의 인정, 생명력을 공급하시는 하나님과의 만남, 거룩한 삶으로서의 안식의 실천, '생명 사역'으로서의 안식에의 참여라고 해석한다. 끝으로 이러한 기독교의 안식이 가지는 목적과 의미를 바탕으로 기독교교육이 생명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할 과제로 하나님께서 생명의 주관자가 되심을 일깨우는 교육, '생명문해력'을 함양하는 교육, 생명 위기에 저항하는 교육, 그리고 생명의 안녕과 평화를 추구하는 교육을 제안한다. The author considers that contemporary society has entered the era of 'life on earth in peril' as a very serious situation in comparison with the past, and assumes that this life-in-peril situation, known as 'life crisis,' is one of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issues in Christian education as well as in public education. This urgency and importance is mainly based on the belief that Christianity is the religion of life that values all living beings' life and all Christians have the sacred vocation to cope with this crisis of life on earth, given by the life-giving God.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some tasks that Christian education should perform in the era of imperiled life, premising that diverse life-threatening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in today's world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ristian Sabbath. More specifically, first of all, this article analyzes some notable phenomena of the life crisis in the contemporary world, such as deaths from intentional self-harm (suicides), deaths from industrial accidents and disasters, the real-life situation of vulnerable populations, people's indifference and insensitivity to the situation, and natural environmental degradation, by reflecting on current global issues as well as issues in Korea. This paper also criticizes neoliberalism, productivism, consumerism, economic materialism, egotism, and anthropocentrism as ideologies for causing these phenomena. After the criticism, the author interprets, from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on the Christian Sabbath, main purposes and meanings of the Sabbath for contemporary society that are deeply connected with the crisis of life on earth: confessing that God takes the initiative to govern every creature's living and being; buil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God who has given the power of life to all living beings; practicing the Sabbath rest by living a holy life; and participating in the Sabbath rest as 'life-giving ministry.'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Christian educational practices that confront the life crisis, rooted in the purposes and meanings of the Christian Sabbath: reminding participants of the belief that God is the source of life on earth; cultivating 'life literacy'; helping people to resist the crisis of life; and encouraging humans to pursue the well-being and peace of both humanity and the earth.

      • KCI등재

        기독교 영성교육에 있어서 교수-학습과정의 원리에 대한 고찰

        류삼준(Sam Jun Ryu)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0

        본 연구는 기독교 영성교육과 교수-학습과정, 각각의 중요성 및 이 둘의 연결에 대한 학문적 필요성을 전제로 기독교 영성교육의 교수-학습과정이 그 선정, 실행 및 평가에 있어서 지향해야 할 주요 원리를 성찰·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성찰과 제안의 토대가 되는 기독교 영성과 영성교육의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본 바, 기독교 영성을 인간의 실존적 본성이자 그 구체적인 존재양식으로 전제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교육은 곧 교육 참여자의 영적 존재로서의 자기 인식, 전인적 성숙과 변화, 하나님의 신비와 일상적 삶의 연결, 신앙적 실천, 삶의 변화와 향유를 돕고 격려하는 것을 그 목적과 내용으로 함을 밝히고 있다. 그런 후에 본 연구는 기독교 영성교육에 있어서 교수-학습과정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원리에 근거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 기독교 영성교육의 교수-학습과정은 교육참여자로 하여금 하나님의 현존과 진리의 경험을 기대하고 준비하도록 돕는 ‘개방성’의 원리에 근거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내면과 외면의 모든 것에 적극적으로 집중하고 경청하도록 격려하는 ‘민감성’의 원리에 입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참여자 간의 서로에 대한 존중과 각자의 자기주도성에 바탕을 두고 유기적·인격적 관계를 추구하는 ‘상호주관성’의 원리를 바탕으로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인간 존재의 모든 요소와 영역 간의 연계를 전제하는 ‘통전성’의 원리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 행위에 직접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영성을 발현하도록 돕는 ‘참여성’의 원리에 근거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참여자 간의 친밀감, 상호신뢰, 안전감, 책임감 및 협력 등을 장려하는 ‘공동체성’의 원리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reflecting on and suggesting some essential principles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as the principle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experiences for spiritual growth. For its purpose, the study identifies Christian spirituality as a basic human nature and its lived experiences. Based on this concept of Christian spirituality, this study also describes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as educating for people’s self-identification of being spiritual, holistic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integrated life of mystery and everydayness, praxis, and changes and enjoyment in life. After this description, the study suggests six principles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as follows. First, the principle of ‘openness’ means that the education needs to help participants expect the presence of God and truth. Second, the principle of ‘sensitivity’ states that the education should encourage Christians to turn their attention to inner and outer voices and movements. Third, the principle of ‘inter-subjectivity’ refers to the organic and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people based on mutual respect and self-directedness. Fourth, the principle of ‘wholeness’ implies the interconnectedness of all elements and aspects of human beings. Fifth, the principle of ‘participancy’ means that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aims at helping participants actualize their spiritualities through learning. Sixth, the principle of ‘communality’ refers to the encouragement of people’s intimacy, mutual trust, safety, accountability and collaboration.

      • KCI등재후보

        코로나 이후 교회학교의 교사가 갖춰야 할 전문성에 대한 고찰 및 제언

        류삼준 ( Sam Jun Ryu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2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4 No.1

        본 소고는 코로나 이후라는 시대 상황에서 교회학교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이 무엇인지를 성찰하고 이러한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길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현대사회의 특징으로 부각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및 코로나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전문성으로, (1) 개인의 성숙 및 관계의 강화를 추구하는 멘토링 역량, (2) 급변하는 사회에 필요한 자기주도성의 함양과 동기 부여에 힘쓰는 지도력(리더십), (3) 디지털 시대와 문화를 올바르게 분별하여, 코로나 이후를 살아가는 디지털 문해력, 그리고 (4) 교회학교 구성원 간의, 변화와 위기에 함께 대처하는 협업 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문성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1) 인식의 변화 및 연구 등에 힘쓰는 교회학교 교사 개인적 차원에서의, (2) 교사개인을 지원하고 다양한 형태의 교사교육을 제공하는 개별 교회 차원에서의, (3) 개인과 개교회를 구조적 및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교단 및 공교회 차원에서의 실천 방향 및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reflect on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that equip church school teachers in the era of post-COVID-19, and to suggest the ways to improve these competencies.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four competencies closely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as notabl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world, as follows: (1) the mentoring competency to empower personal growth and relationships, (2) the leadership to strive for nurturing self-directedness and self-motivation necessary for a rapidly changing society, (3) the digital literacy to live after COVID-19 by properly discerning the digital age and culture, and (4) the ability to collaborate among members of the church school for coping together with changes and crises. In addition, the article suggests practical directions and processes necessary to promote these competencies, as follows: (1) the efforts to change perceptions and study at the individual level of a church school teacher, (2) the practices to support individual teachers and provide various forms of teacher education at the local church level, and (3) the tasks to empower individuals and local churches by offering structural and financial supports at the denomination and the universal church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