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세기 宮庄土에서의 中沓主와 抗租 : 載寧 餘勿坪庄土를 중심으로

        都珍淳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1985 韓國史論 Vol.13 No.-

        머리말 一. 官莊土의 유형과 ??勿坪莊土 二. 官房의 莊土經營과 「支定」收取 三. 中沓主와 「中賭支」 四. 莊民의 抗租와 官房의 對處 五. 中沓主와 實作人의 存在形態 맺음말

      • KCI등재
      • KCI우수등재

        雲樹之交와 비극적 귀결: 秋樹[英英]白雲圖와 秋樹白雲續圖

        도진순 역사학회 2022 역사학보 Vol.- No.254

        <英英白雲圖>라 불리는 그림은 현재 秋史 金正喜가 제주도에서 유배 중에 친구를 그리워하는 그림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그림의 畫題(詩)가 추사의 친구 黃山 金逌根이 지은 <題秋樹白雲圖>인 것을 확인하고,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림의 이름은 <영영백운도>보다는 <秋樹白雲圖>가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그림의 현장은 동작진과 노량진 사이 한강변에 있는 추사의 琴湖別墅로 판단하였다. 그림의 제작 시기는 추사가 금호별서에 살았던 1832년 5월~1835년 9월 사이로 보인다. 그림의 화제는 황산유고 에 수록된 바와 같이 김유근이 지은 것이지만, 글씨를 쓴 사람은 추사로 판단된다. 그림의 작가는 현재까지 추사로 알려져 있지만, 앞으로 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추수백운도>의 화제가 황산이 추사와의 아름다운 우정(雲樹之交)과 즐거움을 노래한 것이라면, 그 속편 <秋樹白雲續圖>의 화제는 정반대로 知己와 생이별한 슬픔을 노래하였다. 추사와 황산은 이 <秋樹白雲續圖>의 슬픔에서 <秋樹白雲圖>의 즐거움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오히려 돌이킬 수 없는 영원한 이별, 死別로 귀결되었다. The famous painting entitled YeongYeongBaegUnDo(英英白雲圖) is widely believed to be painted by Kim Junghee during his exile on Jeju island, missing his friend. This study confirms Kim Yugeun as the composer of the poem written on the painting, and identifies, moreover, the followings: ChuSuBaegUnDo(秋樹白雲圖, The Painting of White Clouds and Trees in the Autumn) would be a more appropriate title for the painting than YeongYeongBaegUnDo. The scene is considered to depict the Keumho(琴湖) villa of Kim Jeounghee along the Han River. It could be assumed to have been painted between May 1832 and September 1835, when Kim Jeounghee dwelled in that villa. Although Kim Yugeun is the author of the poem, it was Kim Junghee who wrote it down on the painting. The author of the painting has hitherto been known as Kim Junghee, but a closer examination is needed. While the poem of ChuSuBaegUnDo by Kim Yugeun relates to the joy of being with Kim Junghee, the poem of ChuSuBaegUnSogDo(秋樹白雲續圖), a sequel to the former, refers instead to the sorrow of being distant to his close fri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ims could not return from the sentiment of sadness in ChuSuBaegUnSogDo to the joy of ChuSuBaegUnDo, but ended up in an irreversible eternal separation, a farewell of death.

      • KCI등재

        1839년 기해박해와 그 반대자들 : ‘제1섭정’ 김유근, ‘예비신자’ 김정희, 형조판서 조병현

        도진순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24 교회사학 Vol.0 No.25

        본 연구는 1839년 기해박해에서 순교한 프랑스 사제 3인(앵베르, 모방, 샤스탕)과 1846년 순교한 김대건의 서한과 보고서를 중심으로 기해박해에 이르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서한과 보고서를 조선의 관찬 자료와 비교하고 번역도 다시 검토하여 기존의 오류 몇 가지를 수정하였다. 위의 서한과 보고서에 의하면 안동김씨 정권기 천주교 박해를 막은 1등 공신은 정권의 실세인 김유근이었으며, 대표적인 사례로는 1836~37년 ‘남응중 반란사건’이 천주교와 연계되는 것을 차단하였다. 김유근은 죽음을 앞두고 천주교 세례[代洗]를 받았다고 전해지기도 하지만, 천주교에 대한 그의 믿음이 돈독한 것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그는 왕실과 가문의 번성, 자신의 생명에 대한 기복, 그리고 북학과 서양 골동에 대한 호기심으로 천주교에 호의적이었다. 1839년 기해박해 당시 김유근은 중병에 걸려 식물인간이 되었고, 김정희와 조병현이 박해를 최소화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김유근이 부재한 조정의 권력투쟁에 밀려 조병현은 2개월 만에 형조판서를, 김정희는 3개월 만에 형조참판을 각각 사임하였다. 김대건은 김정희를 천주교 “예비신자”라고 언급했지만, 천주교에 대한 김정희의 호의는 김유근과 각별한 유대, 북학과 서학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가변적이고 불안정한 것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vents leading up to the 1839 Gihae Persecution, focusing on the letters and reports of three French missionaries—Imbert, Maubant, and Chastan—who were martyred in 1839, and Kim Dae-geon, who was martyred in 1846. By comparing these letters and reports with official Korean records, this study reexamines and corrects translation errors found in previous works. According to these letters and reports, Kim Yu-geun, a key figure in the Andong Kim clan government, played a central role in protecting Catholicism from persecution during his tenure. One notable example is his effort to prevent the Nam Eung-jung rebellion of 1836–37 from being linked to Catholicism. Although it is said that Kim Yu-geun received a Catholic baptism on his deathbed, his devotion to the faith seems uncertain. His favorable stance towards Catholicism appears to stem more from personal aspirations for the prosperity of the royal family and his clan, his desire for blessings regarding his own life, and his curiosity about Western relics and learning. During the 1839 Gihae Persecution, Kim Yu-geun fell into a coma due to illness, and efforts to mitigate the persecution were led by Kim Jeong-hui and Cho Byeong-hyeon. Despite their attempts, both were forced to resign from their official positions—Cho Byeong-hyeon after two months as the Minister of Justice (Hyeongjo Panseo) and Kim Jeong-hui after three months as Vice Minister of Justice (Hyeongjo Champan)—due to power struggles in the court following Kim Yu-geun’s incapacitation. Although Kim Dae-geon referred to Kim Jeong-hui as a "catechumen" of Catholicism, Kim Jeong-hui's sympathetic stance towards Catholicism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his close relationship with Kim Yu-geun, as well as his interest in both Northern and Western studies. However, his commitment to Catholicism was unstable and variable.

      • KCI등재
      • KCI등재

        육사의 한시 「晩登東山」과 「酒暖興餘」 - 그의 두 돌기둥, 石正 윤세주와 石艸 신응식

        도진순 한국근현대사학회 2016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76 No.-

        Although there are only three remaining Chinese Poems by Yi Yuk-sa, each of the poems are exceedingly important. The remanent of Yi Yuk-sa is a window which enables one to look into the inner depths of Yi Yuk-s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fascist oppression period. Plus, the three Chinese poems are the key factors in comprehending over 30 Korean poems written by Yi Yuk-sa. However, there is hardly any developed study on the Yi Yuk-sa’s Chinese Poems, even lacking in a basic interpretation. This study analyzed two Chinese poems by Yi Yuk-sa, “ManDeongDongShan(晩 登東山)” and “JuNanHeungYeo(酒暖興餘)” as follows: 1) Identified the inaccuracy of the existing translation, with a new translation of the poems. 2) Revealed the writing period of the poems was not during the spring of 1943 as known so far, but in fact near the Summer Solstice(夏至) of 1942. 3) Two poems; “ManDeongDongShan” and “JuHanHeungYeo” was to dedicate Shin Seok-cho(申 石艸) and Yun Se-ju(尹世胄) respectively. 4) The existence of Shin Seok-cho and Yun Se-ju to Yi Yuk-sa is comparable to a cornerstone of the two world Yuk-sa adhered to; the revolutionary movement for the liberation of the nation, and the poetic literature.

      • KCI등재

        1924년 베이징의 스님 신채호와 조선의 언론인 홍명희·한기악 “妻鎖子獄”과 “朝鮮史藁”

        도진순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5 No.-

        This study reveals Danjae(丹齋) Shin Chaeho(申采浩)’s reply letter, “To Mr. Han Kiak(韓基岳)”, was written on June 29, 1924, not 1925. This finding provides various clarifications on the life of a monk Shin Chaeho, which had not been known so far. 1) After his initiation to Buddhism, Shin Chaeho went to Hongluo Temple(紅螺寺) in the suburbs of Beijing, where he wrote a short essay “My 一, 二, 三, 四, 五, 六, 七”, and an Chinese poem “無題”. 2) These writings clearly exhibit the inner side of Shin Chaeho in the early days of Buddhism. In the former, he expresses his regret not being able to write current and revolutionary writings that are close to reality. In the “無題”, he sings about the situation of an indigent refugee who could not take care of his young child in the homeland. 3) Monk Shin Chaeho, suffering from dire poverty, describes his situation as being locked in a “family prison(妻鎖子獄)”: imprisoned and bound in chains from having a wife and child. To him, the only weapons for liberation from this situation were “the Manuscripts of Korean history(朝鮮史藁)” in his head and a manuscripts fee. 4) Thus, monk Shin Chaeho wrote many manuscripts on Korean history at temples in Beijing including the Guanyin Temple(觀音寺), communicated with Hong Myunghee and Han Kiak in Korea through correspondence, and was able to submit to Korean newspapers and receive manuscripts fees. This relationship, connected by letters, was as valuable as a lifeline to Shin Chaeho. 본 연구는 丹齋 申采浩의 답신 「韓基岳 씨에게」가 1925년이 아니라 1924년6월 29일에 쓴 것이라는 것을 밝힘으로써,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신채호의 스님생활에 대해 여러 가지 해명할 수 있었다. 1) 단재는 불교 입문 이후 북경 교외의 사찰 紅螺寺에 갔으며, 그곳에서 「나의一, 二, 三, 四, 五, 六, 七」라는 단문과 한시 「無題」를 지었다. 2) 이 글들에는 불교 입문 초기 신채호의 내면이 잘 드러나 있다. 「나의 一, 二, 三, 四, 五, 六, 七」에는 현실과 밀착된 시사적 혁명적 글을 쓸 수 없는 아쉬움을토로하였고, 「무제」에서는 고국의 어린 자식을 돌볼 수 없는 亡命僧이 된 자신의빈한한 처지를 노래하였다. 3) 스님 단재는 당시 자신의 처지를 마누라로 해서 쇠사슬에 묶이고, 자식으로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