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팔레놉시스 조직배양 및 형질전환 최근 연구동향

        노희선,이상일,이이레,백선영,김종보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2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9 No.4

        This report describes recent advances in tissue culture and genetic transformation of commercial Phalaenopsis. Recently, an importance of Phalaenopsis has been increased due to its popularity with beautiful flowers and is widely used for pot plants as well as cut-flower. Its use is rapidly enlarging in worldwide. Thus, demands for the release of new elite cultivars in Phalaenopsis have been increas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some critical progresses have been made in tissue culture and genetic transformation in Phalaenopsis species. Cooperation with these biotechnological methods are supposed to promote the release of commercial Phalaenopsis cultivars in the near future. Until now, no technical review on tissue culture and genetic transformation in Phalaenopsis has been reported in Korea. Therefore, we inquired the brief history and techniques of tissue culture system in Korea.

      • KCI등재

        K-평균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팜 농작업별 소요시간에 따른 군집분석: 파프리카 농가를 중심으로

        노희선,이윤숙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22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9 No.4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a standardized model of smartfarm working process for paprika. First, we classify main works by each production stage and then we evaluate difficulties and lengths of major works by cross-check. Finally we investigate real working hours of each main work in twenty paprika smartfarms. Based on the real data of working hours, we utilize a cluster analysis using the K-means algorithm and Silhouette method in order to categorize paprika smartfarms. The results from the K-means cluster analysis show that sixteen farms were clustered into ten groups. We conclude that each farm was not clearly categoriz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Ascorbic acid, citric acid 및 AgNO3가 나리 기내식물체 생장촉진 및 갈변화 감소에 미치는 영향

        노희선,김종보,이상일,강윤임,김미선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3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0 No.4

        Lily is an important cut-flower in Korea and world as well due to it’s a variety of flower colors and various sizes of flowers. To develop elite lily cultivars, conventional breeding techniques have been used so far. However, an introduction of tissue culture system in mass propagation of bulbs and regeneration of shoots with a high efficiency is prerequisite at this moment. Especially, growth of bulbs and shoots as well as reduction of browning is critical factor to proliferate bulbs with shoots of superior lines or cultivar in lily. For this purpose, we tried to test whether ascorbic acid, citric acid and silver nitrate in medium to facilitate growth of bulbs and shoots as well as reduction of browning of bulb scales in lily. As a result, ascorbic acid and silver nitrat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plants in the growth of bulbs and shoots. When bulb scales were treated with 150 mg․l-1 of citric acid, formations of shoots and bulbs showed best result. While, bulb scale treated with 100 mg․l-1 of citric acid showed the growth of shoot and root as well as increasing of fresh weigh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Regarding the reduction of browning, 150 mg․l-1 of ascorbic acid showed the best result with the less than 2%. Although more experiments with several commercial varieties are needed in the future to establish mass propagation of bulbs of lily,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pposed to provide the basic knowledge and contribution in tissue culture system of lily.

      • 벤처기업의 고객관계관리를 위한 개인화 추천 시스템 성과 분석

        노희선,김광용,한경석 한국인터넷비즈니스학회 2001 인터넷비지니스연구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현재 벤처기업의 고객 중심의 전략을 수립하고 벤처기업의 장기성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개인화 추천 시스템(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ystem)의 성과를 가시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그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고객의 충성도를 인식 충성도(Perceptional Loyalty), 거래 충성도(Transactional Loyalty), 잠재적 충성도(Complex Loyalty)로 나누어 충성도 성과를 측정하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설문 데이터뿐만 아니라 웹 상의 거래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또한 솔로몬 4 집단 실험설계를 통해 개인화 추천 시스템 도입과 사용여부의 요인을 모두 고려하고 가능한 모든 외생변수를 룹제하여 보다 정확한 개인화 추천 시스템의 성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개인화 추천 시스템으로 인해 인식 충성도인 만족도, 거래충성도인 교차판매, 잠재적 충성도인 LTV 성과가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고객의 구매패턴이 빨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개인화 추천 시스템의 정성적 성과와 정량적 성과를 제시할 수 있었고, 개인화 추천 시스템이 벤처기업의 매출 향상과 고객이 한번에 많은 량을 구매함으로써 그 배송비용을 절감시켜줌으로써 벤처기업의 수익구조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performance of 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for building the customer oriented strategy and connecting into the long-term profit of the company.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customer loyalty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is divide into Perceptional Loyalty, Transactional Loyalty and Complex Loyalty. For achieving the research objectives, two different kinds of data were used, One is the perception data through the web survey and the other is the transaction data in the electronic commerce cyber book store. The methodology used is not only independent sampling T-test but also Solomon four-group experimental design, for getting more accurate result. In addition, the analysis of Return of Investment(ROI) through the Life time Value(LTV) were tried. The result shows that all of the loyalty is increased by 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 the increase of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perceptional loyalty, the increase of Cress selling in transactional loyalty and the increase of LTV in the complex loyalty. The analysis of Solomen 4 group experimental design, it also shows that the sales are per each customer increased by amount 250,000 per year. The Further research, like customer pattern analysis using the log data, should be done for the more complex and varied measure of ROI in electronic commerce.

      • KCI등재후보

        유전자총을 이용한 팔레놉시스 형질전환 효율향상에 삼투압 조절제 및 발사횟수차이가 미치는 영향

        노희선,김종보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4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1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 efficienttransformation protocol via particle bombardment withPLBs (protocorm-like bodies) in Phalaenopsis. To achievethis aim, osmoticum treatment and an increasing shootingchances in particle bombardment process were applied forthis study. In addition, pCAMBIA3301: ORE7 vector whichcontains a herbicide-resistance bar gene as a selectablemarker and ORE7 gene as a gene of interests were employed. With regard to the increasing chances of shooting in particlebombardment, double shooting was the best results with 1.5 ~2.5 times higher than those of a single or triple shootingtreatment in the productioon of PPT (D-L-phosphinothricin)-resistant PLBs. However, regeneration rate of shoots indouble shooting was not high as a single shooting. Further,double shooting showed 35 ~ 40% higher than that of asingle shooting in the frequency of browning. Regardingeffects of different osmotic treatments, combination of 0.2M sorbitol with 0.2 M mannitol showed the best results intransformation efficiency, regeneration of transformants andreduction of browning. Putative transgenic Phalaenopsisplants were analyzed by PCR analysis and confirmed thepresence of bar and ORE 7 gene. Also, real-time PCR wasconducted by using 21 transgenic plants and showed only 4plants had one copy of transgene; whereas, the other 17plants had more than 2 copies of transgene. Transgenicphalaenopsis plants produced in this study were transferredto pots and flowered normally without morphologicalvariations in flower and leaf.

      • KCI등재

        파프리카 스마트팜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노희선,이윤숙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22 地域發展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강원도지역의 파프리카 농가를 대상으로 스마트팜 도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프로빗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반응변수로는 스마트팜 도입 유무를 사용하였고, 설명변수로는 순이익, 영농경력, 나이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순이익의 증가는 스마트팜을 도입할 확률 증가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영농경력은 스마트팜 도입 확률에 양(+)의 영향을, 나이는 도입 확률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계효과분석 결과 영농경력 및 나이 변수는 일정할 때, 순이익이 한 단위(백만원) 증가하면, 강원도 지역에서 파프리카 작물에 대한 스마트팜을 도입할 확률은 평균적으로 11.4% 증가하였다. 이러한 프로빗모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팜을 도입한 농가와 비도입 농가의 경영성과를 단순 비교하였다. 스마트팜을 도입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도입 농가의 초기 경영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스마트팜 재배 작물에 대한 판로 확장과 가격안정화 정책이 필요하다. 에 격차가 발생하고 있으나 지역사회 단위에서 발생 위험 요인을 확인한 연구는 아직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지역사회단위 자료를 이용하여 COVID-19 발생의위험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감염병과의 비교를 통해 COVID-19의 특성을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청에서 공개하는 COVID-19 발생 자료(2021년 2월 16일 기준 누적) 및 법정감염병 발생 자료(2015~2017년)를 활용하였고, 국가통계포털에서 지역사회 특성에 대한 2차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229개 시군구를 분석단위로 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수준 및 의료자원, 건강행태 요인과 COVID-19 및 법정감염병 발생률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COVID-19의 발생률은 평균 인구 10만 명당 123명이었고, 지역별로 0 명에서 1,023명까지 큰 편차를 보였다. 그리고 인구밀도, 재정자립도, 외출 후 손 씻기실천율이 높을수록, 연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이 낮을수록 COVID-19 발생률이 높았다. 이 중 인구밀도, 손씻기 실천율, 예방접종률은 법정감염병과도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나, 회귀계수의 방향은 COVID-19와 상반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대도시 그리고 특정 집단을 중심으로 확산된 COVID-19의 특성을보여준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 요인을 고려하여 COVID-19 발생률을 분석한 초기 연구 중 하나로, 기존 법정감염병 발생과 위험요인이 다를 수 있음을 학술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