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미디어 캠페인 참여를 통한 환경문제 인식이 탄소중립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탄소중립 정책 선호의 매개효과와 녹색 소비 가치의 조절효과

        노환호,이태준 한국광고PR실학회 2023 광고PR실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성공적인 사회 운동이 가능하도록 사람들의 참여와 관련된행동 의도를 높이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사회 운동이 성공하기위해서는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사회 태만이나 책임감의부재는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를높이는 방안을 소셜 미디어 캠페인을 통해 제안하고자 했다. 또한 소셜 미디어 캠페인 참여 효과를 높이는 심리학적 개인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녹색 소비 가치의 조절효과를검증하고자 했다. 소셜 미디어에 친숙한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 캠페인참여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참가자들은 참여 전보다 참여 후 환경문제에 관한 관심이높아졌다. 또한 환경문제에 관한 관심은 탄소중립 행동 의도를 높였으며, 이 효과는 탄소중립정책에 대한 선호를 통해 매개되었다. 또한 매개효과는 녹색 소비 가치가 높을 때 유의했고, 낮은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소셜 미디어 캠페인의 참여가사람들의 문제 인식 수준과 행동 의도를 높일 수 있으며, 더욱 효과적인 캠페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개인의 친환경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끝으로 연구 결과 의미와 시사점에 대해 추가로 논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increase people's engagement and related activism intentions to enable successful social movements through social media. Increasing people'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s essential for social movements to succeed, but social loafing and lack of responsibility have a negative impact on people's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erefore, we proposed to increase people's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rough social media campaigns. We also want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green consumption value to identify psychological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campaign participation. Using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ho are familiar with social media, we found that participants'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ocial media campaign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addition,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increased carbon-neutrality activism intention, which was mediated by carbon-neutrality policy preference.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when green consumption value were high, but not when they were low.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ticipation in social media campaigns can increas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and activism

      • KCI등재

        미세먼지 위험 인식이 정보 유용성과 정책 선호에 미치는 영향 : SOR 모형의 적용

        노환호,이병관,임혜빈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1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a psychological model for assessing attitudes toward fine dust-related policies and information, emphasizing citizens' coping behaviors. The SOR framework applied to both offline and online environmental stimuli, influencing intentions and attitudes toward relevant behaviors. The study examined how fine dust risk assessment affected anxiety, anger, and involvement and their impact on attitudes toward prevention policies and app-based information. Findings showed perceived risk increased anxiety, anger, and involvement. Anxiety was positively linked to favorable attitudes, while anger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m.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higher involvement and anxiety in promoting coping behaviors against fine dust.

      • KCI등재

        COVID-19 상황 인식이 백신 접종 의향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가 갖는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노환호,이태준,고명철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1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은 신체적인 문제를 넘어 사회, 경제, 그리고 제도적 차원에서 다양한 문제를유발한다. 이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람들 간에 전염되어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이며 그에 따라 개인적 노력이나 질병의 치유가 아닌 집단적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백신의 개발이후로 집단 면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백신 접종을 높이는 것이 필요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백신접종에 대한 MZ 세대의 태도에 미치는 상황 인식과 정부 신뢰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온라인설문을 통해 연구를 수행한 결과 코로나바이러스 상황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백신 접종 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정부 신뢰의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 상황 인식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백신 접종 의도가 낮아지지만, 정부 신뢰가 높은 사람은 유의한 감소 효과가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에 대한 함의와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spread of COVID-19 leads to a variety of problems in society, economy,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beyond physical problems. This is because COVID-19 is transmitted among people and causes problems, and it is necessary to the collective effort and interest, not personal effort or healing of diseas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ole of government trust and the situational recognition of the MZ generation’s attitude toward vaccination in the situation whe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vaccination to form group immunity after the development of a vaccin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COVID-19 situation, the higher the vaccination inten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trust, people with low situation recognition levels have lower vaccination intention, but those with high government trust have no significant attenuation effect.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지각된 사회적 배제가 자신과 타인의 윤리적 문제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유 지각의 매개효과

        노환호,이국희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how differences in their ethical judgments of themselves and others, and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se difference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level of perceived social exclusion: those who did not perceive social exclusion, those who weakly perceived social exclusion, and those who strongly perceived social exclusion. Additionall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ethical problem conditions, one focusing on their own ethical dilemmas and the other on ethical dilemmas of others. Participants read ethical scenarios and responded to questions assessing how acceptable the behavior was and whether there were any justifications for it.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strongly perceived social exclusion were more likely to accept their own ethical problems, but less likely to accept ethical problems of others. Moreover, those who strongly perceived social exclusion tended to think that there were unavoidabl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ir own ethical dilemmas, but not for others.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사람들이 자신과 타인에 대한 윤리적 판단에 차이를 보이는지와 이런 차이의 심리적 기제는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참가자들을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배제를 지각하지 않은 집단, 약하게 지각한 집단, 강하게 지각한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은 두 가지 윤리적 문제 조건 중 하나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하나는 자신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타인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것이었다. 참가자들의 과제는 윤리적 문제에 관한 시나리오를 읽고 ‘얼마나 수용 가능한지’와 ‘이런 문제 행동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는 것 같은지’ 응답하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배제를 강하게 지각하는 집단일수록 자신의 윤리적 문제는 수용하고, 타인의 문제는 수용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사회적 배제를 강하게 지각하는 집단일수록 자신의 윤리적 문제에는 부득이한 사정이 있지만, 타인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지각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혐오 집단 구성원에 대한 차별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노환호,이국희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7

        Purpose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ere have been reports of increasing discrimination against hate group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why this phenomenon occurs. This study, which started wit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conducted two experiment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more strongly perceived the stress caused by COVID-19, the more discriminatory behavior toward the hate group would increase. Methods Experiment 1 distinguished a group with strong and weak COVID-19 stress, and then asked a member of the hate group (religion, foreigner, political orientation) to decide whether to give them a chance to become an employee of the company they run. In Experiment 2, after classifying a group with strong and weak COVID-19 stress, it was rated on a 7-point scale how much they wanted to give interview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to a member of the hate group. Resul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with strong COVID-19 stress made discriminatory decisions that limit the opportunity to become a company employee for the hate group compared to the group with low COVID-19 stress (Expt. 1).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with strong COVID-19 stress had lower intentions to give interview opportunities to members of the hate group and lower intention to give employment opportunities to members of the hate group compared to the weak group (Expt. 2). Conclusion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at stress caused by COVID-19 is a cognitive mechanism of discriminatory behavior that has increased since COVID-19.

      • KCI등재

        사회적 배제와 제품 유형의 상호작용이 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독특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환호 ( Noh¸ Hwan-ho ),임혜빈 ( Rim¸ Hye Bin ),이병관 ( Lee¸ Byung-kwan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4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지만, 삶의 여러 영역에서 사회적 관계의 단절인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다. 사회적 배제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선행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위협인 배제를 경험한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를 드러내기 위해 독특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진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소비자가 자신의 가치를 표현하기 위해 기계 생산 제품보다 독특성이 높은 수제품을 더 선호하는지 확인하고 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적 배제와 제품 유형이 소비자의 독특성 추구와 수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온라인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제품 구매 상황에서 사회적 배제 조건이 사회적 수용 조건보다 독특성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높았고 이는 수제품에 대한 선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이와 같은 효과는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제품(안경 테)에서 유의하였고, 그렇지 않은 제품(안경 렌즈)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Humans as social animal live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but experience social exclusion, a disconnection of social relationships in many areas of life. According to prior studies dealing with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on consumer behavior, people who have experienced exclusion tend to pursue uniqueness to reveal their valu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prefer hand-made products with higher uniqueness to machine-made products in order to express their social value.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on consumers' pursuit of uniqueness and preference for hand-made products.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in the social exclusion condition tended to seek product uniqueness compared to those in the social inclusion condition, which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reference for handmade products. This effect was significant in purchasing a glass frame with which people can express themselves but not in purchasing a glass lens with which they cannot express themselves. Discussions were made 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사회적 배제 경험이 이용 동기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기증진과 상호작용 동기를 중심으로

        노환호(Hwan-Ho Noh),임혜빈(Hye Bin Rim),이병관(Byung-Kwan Lee) 한국광고PR실학회 2021 광고PR실학연구 Vol.14 No.4

        사회적 배제란 사회적 관계의 단절로 인해 사람들이 겪는 위협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일상의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거절과 무시와 같은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다. 사회적 배제에 따른 사회적 욕구의 결핍은 많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사람들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면서 인스타그램이 상호작용과 자기표현에 적합한 플랫폼으로 높이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사람들이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어떤 동기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의 두 가지 유형인 무시와 거절을 경험한 사람들의 인스타그램 이용 몰입에 미치는 자기증진과 상호작용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배제 중 무시는 자기증진 동기를, 거절은 상호작용 동기를 유발하였으며, 해당 동기의 매개를 거쳐 인스타그램 이용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하였다. Social exclusion refers to the threat that people face due to a break in social relationships. People experience social exclusion, such as ignorance and rejection, from various social interactions in their daily lives. The lack of social needs resulting from social exclusion has many negative consequences. Meanwhile, as people s interaction with social media increases, Instagram is recognized as a platform suitable for interaction and self-expres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what motivations affect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in using Instagram. Specifically,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promotion and interaction motivation on Instagram use engagement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wo types of social exclusion: ignorance and rejection. Results show that ignorance induced motivation for self-promotion whereas rejection induced motivation for interaction, and each of which significantly affected engagement into Instagram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motivation (self-promotion & interac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목표 추구 상황에서 실행의도의 개수효과(set-size effect)가 소비자의 목표 추구 행동에 미치는 효과 연구: 소비자 조절초점의 조절적 역할

        이병관,노환호 한국광고학회 2018 광고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목표 추구 상황에서 실행의도의 개수가 목표 관련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두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실행의도의 개수가 목표중요성 인식을 거쳐 실행 실패에 대한 예상된 후회감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연구 2에서는 목표 추구 행동에미치는 실행의도의 개수 효과가 조절초점에 의해 조절됨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의 분석결과, 실행의도가 1개인 조건보다 3개인 조건에서 목표중요성 지각이 높았으며, 목표중요성 인식이 높을수록 실행 실패에 대한 예상된 후회감이 증가하였다. 즉, 실행의도의 개수가 목표중요성 지각의 매개를 통해 실행 실패에 대한 예상된 후회감을 증진시키는 실행의도의 개수 효과가발견되었다. 한편, 연구 2에서는 실행의도의 개수가 목표중요성 지각과 실행 실패에 대한 예상된후회감에 미치는 개수 효과가 촉진초점 조건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예방초점 조건에서만 나타나는 조절초점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실행의도의 개수 효과를 근거로 목표 추구 행동과 관련한 추후 연구 방향과 본 연구의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