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조절능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노진형(Noh, Jin Hy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조절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및 경남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유아 301명이다. 연구결과 유아의 자기효능감은 또래유능성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자기 효능감의 하위 변인인 사회정서적 효능감이 또래유능성과 가장 높은 상관이 있었다. 또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 유능성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조절이 높을수록 또래유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조절 역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보고되었는데 유아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적응적 정서조절 행동이 높았으며, 분노유발 및 공격적 상황에서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적 절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은 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인 사회정서적 변인으로 설명력이 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eschooler’ self-efficacy and emotion regulation on their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1 young children aged 3 to 5 and their 23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self-efficacy and emotion regul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Second,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accounted for 60% of total scores on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Finally, the implication for child guidance and research limitation were discussed.

      • 하수처리장 호기성 MBR 운전 조건에 따른 Bioaerosol 발생에 관한 연구

        노진형 ( Jin Hyung Noh ),박지원 ( Ji Won Park ),박세희 ( Se Hee Park ),유송희 ( Song Hee You ),맹승 ( Sung Kyu Mae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최근 도시 인구의 증가에 따라 하수 및 분뇨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에는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수처리를 위한 다양한 공정에서는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는 bioaerosol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하수 및 분뇨에 포함된 병원성 박테리라 등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호흡을 통해 하수처리장의 근무자 및 주변 주민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으므로, bioaerosol의 발생 특성 및 감소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현실이다. 하수처리공정 중 bioaerosol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환경으로는 활성 슬러지 공정이 있으며, 폭기조에서의 대량 폭기로 인한 높은 농도의 bioaerosol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재래식 활성슬러지 공정(CAS,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보다 소요 면적이 적고, 고농도의 미생물 농도를 유지하고 있어 수질 처리 효율이 좋은 호기성 MBR(Membrane bioreactor)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호기성 MBR은 고농도의 미생물 농도 유지 및 멤브레인의 파울링 감소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공기 폭기를 유지해야하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bioaerosol의 발생이 한정된 공간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호기성 MBR의 특성상 운전 조건에 따라서 반응기 내 미생물의 농도 및 특성이 달라질 것이며, 이에 따라 bioaerosol의 발생량 및 특성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하수처리 과정 중 호기성 MBR 공정에서의 bioaerosol 발생에 관한 연구가 전무하며, 이에 대한 기초 연구 및 발생량 감소를 위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 MBR 공정에서 운전 조건에 따른 반응기 내 미생물 농도 및 특성을 확인하고, bioaerosol 발생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bioaerosol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IPA 기법을 통한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노진형(Noh, Jin-Hyeong),손환희(Son, Hwa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의 민주시민교육에 대해 유아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내용과 실행되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지를 IPA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방법 먼저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교사용 설문지를 작성하여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75명 대상으로 2020년 11월 1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대응표본 t-검증과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민주시민교육 인식은 전체적으로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낮았으며, 하위요소별로는 자타 문화 이해, 인간의 존엄성, 합리적 의사결정, 공익과 공공선, 합의 도출 과정 순으로 중요도-실행도에 대한 인식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IPA 매트릭스를 통한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아 지속유지 영역에 분류된 요소는 인간의 존엄성, 공익과 공공선, 합의 도출 과정으로 나타났으며, 자타 문화 이해와 합리적 의사결정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우선순위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민주시민교육에 대해 유아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요인과 실재 수행하는 정도 간의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하는 교육적 여건 조성과 유아교사의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as important and what is being implemented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rough IPA analysis Methods After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made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from 13 November to 30 November 2020, and the response data of 275 people were analyzed. Results First, Percep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as generally lower in performance than in importance. By sub-factors,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found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on culture, human dignity, rational decision-making, public interest and public good, and consensus-building proces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the IPA matrix, the elements classified in the sustainable maintenance area (with high level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human dignity, public interest and public good, and consensus-building process. An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understanding on culture and rational decision-making were classified as low priority area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sures to reconsider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기 경험과 의미

        노진형 ( Noh Jin Hyeong ),박순선 ( Park Soon 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기 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4명의 어머니가 참여하였다. 2015년 12월 1일부터 2016년 3월 31일까지 주 1회 총 17회 실시되었으며. 한 회당 2시간 30분 정도 시간이 소요되었다. 어머니들이 의논하여 총 4권의 책을 선정하였고, 이를 연구 참여자의 집을 번갈아가며 모여서 책을 읽고 면담을 실시하여 녹음하였으며, 녹음된 자료는 연구자가 당일 전사하였다. 전사된 자료는 차회기에 연구 참여자들에게 나누어주고 확인하게 하였으며, 면담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개인당 1-2회추가 면담을 실시하였고, 매회기별 그리고 수시로 저널을 작성하였다. 자료의 분석과 해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해석된 내용을 어머니들에게 다시 보여주는 연구 참여자 검증과정 (member check)과 자료의 다각화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 읽기는 어머니들이 자신의 부모에 대한 분노와 공감을 통해 부모를 이해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자녀가 원하는 엄마의 모습으로 기다려주고, 들어주고, 웃어주는 엄마의 모습도 보였다. 이러한 그림책 읽기 경험은 소통과 치유의 매개자로서 그림책을 재발견하고 자신을 반성하게 하여, 어머니로서 성장하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mothers’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reading picture books among mothers with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4 mothers and meet once in a every week for 17 week. It takes 2hours and 20 minutes for each meetings. The dialogues between mothers and the researcher in the process of the reading were analyzed. First, The experiences of reading books together were indicated to be the understanding of family-of-origin and family-of-origin parenting attitude and the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s behavior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marital quarrels. Second, reading picture books allowed that mothers realize the parenting role needed by their child and tried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icture books had a meaning as a agent of healing and communication and friendly conversation with reading picture books provided opportunities of feeling of growth through self reflection.

      • KCI우수등재

        유아의 창의적 성향 및 자기조절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노진형(Jin Hyeong Noh),고희선(Hee Seon Koh) 한국아동학회 2019 아동학회지 Vol.40 No.4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reative disposition and self-regulation on childrens playfulnes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85 children (aged 3-5) attending kindergartens in C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Results: First, a significantly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reative disposition, selfregulation, and playfulness. Second, children’s playfulness was mostly affected by specialty, a sub-factor of creative disposition; by self-evaluation, a sub-factor of self-regulation; and by independence-patience, another sub-factor of creative disposition. Conclusion: The findings demonstrate how creative disposition and self-regula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playful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