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애착, 자아정체성 처리 유형 및 관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지운,이보미,최진영,신나나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adolescents’ parental attachment on depression and the related indirect effects through identity processing style and commitment. A total of 294 2nd and 3rd graders of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attachment to mothers ha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In contrast, paternal attachmen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Second, adolescents’ attachment to both fathers and mothers indirectly influenced depression through their effects on information-oriented processing style and commitment. In addition, the effect of adolescents’ maternal attachment on depression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diffuse/avoidance-oriented processing style and commitment.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during adolescence,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may play distinct roles on identity and depression through different path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정체성 처리 유형과 관여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2, 3학년에 재학 중인 294명이며, 자기보고식의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지만, 아버지에 대한 애착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아버지에 대한 애착과 어머니에 대한 애착 모두 자아정체성 처리 유형 중 정보지향과 자아정체성 관여를 통해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어머니에 대한 애착은 혼미-회피지향과 자아정체성 관여를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기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자아정체성과 우울에 각기 다른 경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우수등재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이 지각하는 일상적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낙관적 사고의 중재효과

        노지운(Jee Un Noh),신나나(Nana Shin) 한국아동학회 2014 아동학회지 Vol.35 No.3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optimistic thinking, and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optimistic thin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hassles and subjective well-being. A total of 474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children`s daily hassl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optimistic thinking and subjective well-being. As children perceived higher levels of daily hassles, they showed lower levels of optimistic thinking and subjective well-being. Children`s optimistic think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Second, children`s optimistic thinking moderated the relations between daily hassles and subjective well-being. Specifically, for children with higher levels of optimistic thinking, their subjective well-being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daily hassles related to parents and teachers. However, for children with lower levels of optimistic thinking,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daily hassle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ptimistic thinking could be an important means by which we could improve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especially when they experience higher levels of daily hassles.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행복감 간의 관계: 사회적 관계(부모, 교사, 또래)의 매개효과

        노지운(Noh Jee Un),최진영(Choi Ji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행복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 교사, 또래와의 관계를 포함한 사회적 관계의 매개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방 정환재단 및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에서 주최하는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자료 중에서 2018년도에 조사된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1163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 하였다. 둘째,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사회적 관계를 통해 행복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이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고 과의존 문제가 생기게 되면 아동의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스마트폰 과다사용으로 인하여 아동이 지닌 사회적 관계에 어려움을 겪어, 결과적으로 행복감이 낮아지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아동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athway betwee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xcessive smart phone use, social relationship(parent, teacher, peer) and happines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Children-Youth Happiness Index were used. Participants were 1163 children in 4th~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surveyed in 2018.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excessive smart phone use on the happiness was significant. Second, All the social relationship indirectly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cessive smart phone use and happiness. That is, if children use smart phone excessively, it has a direct negative effect on the children s happiness. And also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caused difficulties in the social relationship, which led to less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overuse of smartphone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negatively affects children.

      • KCI우수등재

        부부갈등이 아동의 실행기능, 정서조절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수면의 매개적 역할

        노지운(Jeeun, Noh),신나나(Nana Shin) 한국아동학회 2020 아동학회지 Vol.41 No.6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sleep. Methods: A total of 467 elementary students from first to third grade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aternal report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marital conflic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 Second, marital conflict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development through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through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sleep problems. However, the indirect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s development through sleep problem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Our study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 children’s sleep problems and development.

      • KCI등재

        부모와의 대화와 중학생의 학습동기 간의 관계에서 진로교육 활동참여 및 진로개발역량의 매개적 역할

        노지운(Noh Jeeun),이보미(Lee Bo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와의 대화가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진로교육 활동참여 및 진로개발역량을 통해 학습동기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3학년 8,917명이며,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과 Mplu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 대화는 학습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와의 대화는 진로교육 활동참여와 진로개발역량을 통해 학습동기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와의 대화는 청소년의 학습동기를 촉진하는 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부모와 대화를 많이 나눌수록 학교 내에서 청소년의 진로교육 활동참여가 증가하면서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졌고 이어 높은 수준의 학습동기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부모와의 대화와 진로교육 활동체험 및 진로개발역량 모두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direct effect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adolescents and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through career education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8,917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from ‘survey on the status of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provid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Mplus 7.0 program,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versation with parents had the direct effect on the learning motivation. Second, conversation with parents had the indirect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through career education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other words, conversation with parents promotes adolescents motivation for learning. Also, the more conversation with parents, the more the adolescent’ participated in career educations in schools, resulting in highe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it led to higher level of motivation for learning.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conversation with parents, career education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re all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adolescents learning motivation.

      • 가정 내 혼란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수면문제 및 실행기능의 매개적 역할

        이보미,노지운,신나나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유아는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사회적 행동을 학습하고 발달시켜 나아간다. 다양한 환경적 요인 중 가정환경은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기초가 되는 가장 중요한 환경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가정 내 물리적 환경의 한 요소인 가정 내 혼란(household chaos)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 내에서 구성원이 경험하는 정서적 안정감이 인지, 정서, 행동 조절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한 정서적 안정성 이론(Cummings & Davies, 2011)에 근거하여, 가정 내 혼란이 유아의 수면문제와 실행기능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의 대상은 만 3~5세 유아와 이들의 어머니 420명으로, 어머니가 모든 문항에 응답하였다. 가정 내 혼란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Matheny, Wachs, Ludwig과 Phillips(1995)가 개발한 가정 내 혼란 척도(CHAOS: Confusion, Hubbub, and Order Scale)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수면문제는 Owens 등(2000)이 개발한 아동의 수면습관질문지(The Children’s Sleep Habits Questionnaire [CSHQ])를 이경숙과 박진아(2016)가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판 아동 수면습관질문지(K-CSHQ)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실행기능은 Gioia, Isquith, Guy와 Kensworth(2000)가 개발한 행동 평정 척도-유아용(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 [BRIEF-P])을, 사회적 행동은 Crick, Casas와 Mosher(1997)가 제작한 유아기 사회적 행동 척도(Preschool Social Behavior Scale [PSB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첫째, 가정 내 혼란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가정 내 혼란이 유아의 수면문제를 통해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가정 내 혼란이 유아의 실행기능을 통해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는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정 내 혼란이 유아의 수면문제와 실행기능을 통해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여, 가정 내 혼란의 정도가 높을수록 유아가 수면문제를 더 보이고 실행기능에서의 결함을 더 나타내 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덜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가정 내 혼란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수면문제와 실행기능의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특히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환경적 요인인 가정 내 혼란과 개인적 특성인 수면문제와 실행기능이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이 시기 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환경적 요소와 개인적 요소를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가정 내 혼란이 유아의 공격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수면문제와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이보미,노지운,신나나 대한가정학회 202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61 No.1

        Household chaos, represented by high levels of disorganization and instability in the home, has been linked with suboptimal outcomes for preschool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s that sleep problems and executive function play in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chaos and preschoolers’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The sample for the study consisted of 420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The mothers provided reports on the level of chaos in the home and their preschoolers’ sleep problems, executive function, and social behavior, including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hen preschoolers’ sleep problems and executive function were included in the model as mediato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ousehold chaos did not have 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Such effects were instead serially mediated by preschoolers’ sleep problems and executive function, respectively. The higher the degree of household chaos, the more preschoolers displayed sleep problems and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 resulting in more aggression and less prosocial behavior.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reducing household chaos in order to reduce preschoolers’ aggression and promote prosocial behavior. They also underscore the need to identify additional variables that mediate the impact of household chaos on preschoolers’ social outcomes.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적 역할

        이보미,노지운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5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and peer attachmen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 total of 381 students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answered questionnaires on the research variabl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whereas peer attachment did not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Second, parents and peer attachment had in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s means the more stable attachment the adolescents formed with their parents and peers,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ading to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an essential mechanism tha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peer attachment of the adolescent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부모 및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고등학교 1, 2학년 381명이며, 질문지에 고등학생들이 직접 응답하였다.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한 반면,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모 및 또래애착은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 및 또래와 안정적인 애착이 형성되었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이 높았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긍정심리자본이 부모 및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기제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양육행동 및 유아의 수면문제 간의 관계

        박보경,이선희,노지운 한국보육지원학회 2018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4 No.1

        Objective:Thisstudyexaminedtherelationshipsamongmothers'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leep problems. Methods: Three hundred mothers of preschooler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three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Firs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sleep problems. Seco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warmth and reasoning, whil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trusiveness, coercion, and neglect. Third, mothers' warmth and reasoning were negatively linked to preschoolers' sleep problems, but mothers' coercion was positively linked to preschoolers' sleep problems. Lastly, mothers' warmth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reschoolers' sleep problem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had an influence on preschoolers' sleep problem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context for preschoolers' healthy sleeping hab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