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전략 교육 프로그램에서 루브릭 제시가 공과대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노원경(Noh Won Kyung),강소연(Kang So Yeon)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생에게 루브릭을 활용한 학습전략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Y대학교 공과대학 58명이 며, 총 9차시의 학습전략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학습전략 점수, 학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학습전략 수준과 학업성취도에도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strategy educational program using rubrics on engineering students study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eatment, 58 engineering undergraduates were used as subjects. Two instruments were employed in the study, learning strategies rubrics and self-reported GPA. Repeated Measure MANOVA, ANC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The summary of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using rubrics is significantly effective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the engineering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 교육실습생의 자아성찰에 관한 연구 -교육실습생의 성찰저널을 중심으로-

        노원경 ( Won Kyung Noh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교육문제연구소) 2007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3 No.1

        본 연구는 교육실습생의 성찰저널을 통해 교육실습생의 인식과 교육실습운영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운영의 내실화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래의 항목에 대해 그 사례를 찾아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실습의 교과지도, 학생지도, 학급경영 영역에서 교육실습생의 자아성찰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실습의 실제적 목적에 비추어 교육실습생이 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운 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서울 소재 K대학교의 ``예비교사를 위한 프로그램``에 참가한 48명이었다. 이 중에서 내용 분석의 대상이 된 것은 26명의 성찰저널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습생의 자아성찰 중 교과지도 영역에서는 사전 수업 계획 및 준비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는 교육실습생이 있었고, 수업 내용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지 못한 채 수업에 임하여 고민한 교육실습생도 있었다. 교육실습생이 수업 시간에 경험하는 문제 상황은 현 교원양성과정에서 수업 시간 중 실질적인 교수방법에 대해 적절히 준비해 주고 있지 못함을 나타낸다. 학생지도 및 학급경영에서는 현재 교직과정에서 이론 수준에서만 학습이 이루어질 뿐 이론의 구체적인 활용 및 응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따라서 예교사 교육에서는 이론 학습이 이루어진 후 현장중심의 문제해결 교육도 중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실습과정을 통해 교육실습생들은 현실적인 교육철학의 형성과 함께 교사에 대한 인식도 막연한 동경이나 단순한 직업으로서 관념에서 현실적으로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는 일로 바뀌었다. 교직의 좋은 점과 어려움을 함께 정리하면서 교직 선택에 대해 종합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자아성찰과정을 통해 교직과정을 선택한 후 4주간의 교육실습기간은 학생의 관점이 아닌 교사의 관점에 서서 교육을 봄으로써 딜레마를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교직에 대한 현실적인 판단을 하게 되었고 교직을 넓은 관점에서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실습기간 동안 의미있는 교육경험을 쌓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생들에게 자아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teaching practice by making a diagnosis of the problems and analyzing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tudents who write self-reflection journal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self-reflection journals for the below-mentioned questions. First, the analyses of the self-reflection journal on teaching practice, especially teaching contents, instruction for students and classroom management. Second, the analyses of he self-reflection journal on teaching practice compared to teaching practice`s practical goal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48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that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for preserivce teachers. The self-reflection journals written by 26 participant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As to preservice teachers` self-reflection about teaching contents, it is necessary to acquire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o use the teaching materials, and to learn the method of writing a teaching plan. 3. As to preservice teachers` self-reflection about instruction for students and classroom management, it is considered that a method of advising the students and knowledge of classroom management through teaching practice was acquired. 4. Compared to teaching practices` practical goals, preservice teachers in the early stage of teaching practice recorded just expectation of teaching and being a preservice teacher but later, recorded more on the general teaching performed by themselves. It can be said that the classroom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requires profound self-reflection on the truth of teaching.

      • KCI등재

        학습부진 원인 진단도구 개발 및 활용

        노원경(Won-kyung Noh),이혜원(Hye-Won Lee),오상철(Sang-chul Oh),김호영(Ho-young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학습부진 원인 진단도구가 인지활동이나 학습동기 부분을 강조한 반면, 학습부진의 정서적·행동적 요인을 다루지 못한 부분에 주목하여 초·중학교 학생들의 정서‧행동‧환경적 영역과 관련된 학습부진 원인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학습부진 원인 진단도구 개발을 위하여 기존 도구의 문항을 검토하여 문항 명세화표를 제작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예비조사 문항으로 196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196개 문항은 내용타당도의 검증을 위해 1, 2차에 걸친 전문가 집단의 검토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예비조사를 위한 130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예비조사 분석 결과 정서적 영역 3요인, 행동적 영역 2요인, 환경적 영역 3요인으로 각 하위요인이 결정되었고, 신뢰도를 저해하는 문항을 삭제하여 78개 문항이 본조사 문항에 포함되었다. 전국에 있는 108개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생 3,19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조사 결과 학습의지, 분노, 불안의 정서적 영역 27문항, 학습관리, 행동조절의 행동적 영역 28문항, 가정환경, 교우관계, 교사지지의 환경적 영역 13문항의 총 68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초·중학교 학생들의 영역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초등학생에 비해 중학생들이 분노, 불안의 부정정서 영역의 점수는 높은 반면, 다른 영역의 점수는 낮게 나타났다. 학습부진 원인의 진단 결과는 한 개인이 집단 내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T점수와 백분위 점수에 기초하여 프로파일 형태로 제시하였다. 또한 학생 개인별 학습부진 원인의 진단 결과에 대해 교사용과 학생용으로 구분하여 교수학습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ool to diagnose the cause of underachievemen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ways to utilize it to search for more practical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ment. In order to develop the diagnostic tool, we developed an item specification table by examining the items of the existing tools. Based on this, 196 items were developed as preliminary survey items. For the validity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196 items were reviewed by the first and second expert groups. Finally, 130 items were selected for the preliminary survey.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survey, 78 items were included in this item by deleting the items that affect the reliability, and 3 factors of emotional domain, 2 factors of behavioral domain, and 3 factors of environmental domain were deter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68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items of emotional domain of learning will, anger and anxiety, 28 items of behavioral domain of learning management and behavior control, and 13 items of environmental domain of family environment,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 support. Comparing scor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in the anger and anxiety anger area tha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iagnostic results were presented in the form of a profile based on the T score and the percentile score so that an individual can know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dividual in the group. It also offers several guidance plans for teachers on how to teach their underachieving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