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의 학대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

        노영천,김홍석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대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242명을 대상으로 학대경험, 공격성, 초기 부적응도식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대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초기 부적응도식이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대경험과 초기 부적응도식, 그리고 공격성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학대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초기 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학대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초기 부적응도식에 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ag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2 students who were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Busa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abuse experience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were positively related to aggression. Second, early maladaptive schema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aggression. The findings imply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 should be a variable to consider, especially in designing a program whose main purpose is to reduce aggression.

      • KCI등재

        초등자녀의 어머니를 위한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의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

        노영천,유순화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를 위한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의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B시의 Y초등학교 학생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하는 안내문을 배부한 후, 참가신청서를 제출한 어머니 2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대기자 집단) 12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자녀들은 어머니가 속한 실험, 통제집단에 각각 배치되었다. 그러나 자녀들은 실험집단에 배치되었더라도 특별한 처치를 하지 않으며, 자료처리에서만 그들 어머니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어머니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낙관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실험집단 어머니의 자녀들 또한 통제집단 어머니의 자녀들에 비해 낙관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 양육자인 어머니를 위한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의 실시와 보급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on optimism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 Y elementary school in B city. 12 mothers each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volunteer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12 children each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to which their regular mothers belonged. However, no special action was taken e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as they belonged to the groups of their mothers just for the sake of data handl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made a significant progress in optimism. the children whose moth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made a significant progress in optimism, too.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offer and spread the optimism program for mothers who can have great influenc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s a whole man.

      • KCI등재

        초등학생의 낙관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노영천,김홍석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ag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4 students(male 205, female 239) who were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Busa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optimism, emotional regulation, and aggression scal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a research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alternative structural model. The research model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ptimism have a direct influence on aggression. Second, the emotional regul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aggres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 can be reduced by enhancing their optimism and emotional regulation. Therefore, the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 to decrease the aggression needs to involve the contents about optimism and emotional regulation. A follow-up study needs to verify more variables rather than the mediated effect between optimism and aggress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낙관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444명(남학생 205명, 여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낙관성 척도, 공격성 척도 및 정서조절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이 완전매개모형인 대안모형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낙관성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낙관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낙관성과 정서조절 증진을 통해 공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공격성 감소를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의 중요한 내용적 구성요소에 낙관성과 정서조절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낙관성과 공격성의 관계를 매개하는 보다 다양한 변인들을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인용 낙관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노영천,유순화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 fold. First, the theoretical construct of optimism for Korean adults was explored and a “Korean Optimism Scal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 Second, a “Korean Optimism Scale” was validated.. This study followed the standard procedures of instrument development. First, the construct of “optimism” was examined through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s related to Korean's optimism, existing optimism scales, and the responses of Korean adults to open-ended questions and interviews about optimism. The construct of optimism was divided into two types - ‘Dispositional Optimism(DO)’ and ‘Optimistic Explanatory Style(OES),’ - which led to two subscales. A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639 Korean adults,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sponses of the 622 participants. Second, the fit of factor structure, concurr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Korean Optimism Scale were examined by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 different sample of 1244 Korean adults, revealed that the factor structures of both subscales were appropriate.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O scale consisted of 4 factors with 25 items (4-7 items per factor). The four factors were: 1) Positive Expectation of Life; 2) Positive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Life; 3) Optimistic Disposition About Relationships; and 4) Optimistic Disposition About Achievements. The OES scale consisted of 2 factors with 13 items. The two factors were: 1) Optimistic Explanation About Negative Events; and 2) Optimistic Explanation About Positive Events.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Optimism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used not only to deepen an understanding of optimism in Korean culture but also to provide essential contents of optimism improvement programs for Koreans.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정서에 적합한 구성개념이 반영된 낙관성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인의 낙관성과 기존 낙관성 척도에 대한 선행 연구와 문헌고찰, 개방형 조사 및 개인 면담 결과에 근거하여 낙관성의 잠정적 구성개념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낙관성을 ‘성향적 낙관성(DO)’과 ‘해석양식적 낙관성(OES)’으로 나누어 잠정적으로 개념화하였고, 각각을 별도의 예비척도로 제작하여 전국의 성인 622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1,244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검증하여 한국인용 낙관성척도를 완성하고, 공인타당도 및 구인타당도 검증을 통해 타당화하였다. 최종 완성된 한국인용 성향적 낙관성 척도는 4요인(삶에 대한 긍정적 기대, 삶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대처, 관계에 대한 낙관적 성향, 성취에 대한 낙관적 성향) 2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한국인용 해석양식적 낙관성 척도는 2요인(부정적 사건에 대한 낙관적 해석, 긍정적 사건에 대한 낙관적 해석) 1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인용 낙관성 척도는 한국인들의 낙관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중요한 내용적 구성요소들을 제공할 것이며, 한국문화에 적합한 낙관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부모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노영천,김홍석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1 students who were in the five or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busan. The test tools were Parents attachment, Subjective well-being and Optimism. The collected data were Correlation and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parents attachment, the higher the optimism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the higher the optimism, the higher the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optimis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ttachment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Possible reasons for these result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부모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8개 초등학교 5, 6학년 391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낙관성, 주관적 안녕감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부모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낙관성이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애착과 모애착은 모두 낙관성,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낙관성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낙관성의 부분매개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에 부와 모의 역할이 모두 중요하며, 자녀의 낙관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교사의 낙관성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노영천(Young-Cheon Roh),유순화(Soonhwa Y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교사의 낙관성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21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초등교사들의 낙관성과 자아탄력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전인적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초등교사를 위한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의 실시와 보급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optimism and ego-resilience.<BR>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2 elementary school teachers. Out of them, 21 teachers who made up an experimental group hoped to participate in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and the other 21 teachers who constituted a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the same gender and teaching career as the experimental group teachers in order to make the two groups homogeneous.<B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made a significant progress in optimism and ego-resil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offer and spread the optimism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an have great influenc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whole man.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부모애착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김홍석,노영천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peer relationship i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0 students who were in the five or six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in busan. The test tools were Parents attachment, Peer relationship and Resil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Correlation and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parents attachment, the higher the resilience and the peer relationship.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higher the peer relationship. Second, the 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ttachment and the peer relationship. Third, the mother attachment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 than father attachment by mediation of resilience. Possible reasons for these result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부모애착과 또래관계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 5, 6학년 490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탄력성, 또래관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애착과 모애착은 모두 탄력성, 또래관계와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탄력성과 또래관계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탄력성의 부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애착과 모애착 중에 모애착이 탄력성을 부분매개하여 또래관계에 더 많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초기 청소년시기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에게 부와 모의 역할이 모두 중요하지만 모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변임임을 나타낸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가족기능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및 방관행동의 관계에서 배려성의 매개효과

        안태용,노영천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defending or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0 students who were in the five or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pusa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evaluation scale(FACESⅢ), car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PRQ). We applied the procedures in Preacher and Hayes(2008) on testing multiple medication models to conduct the main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family functioning and the care, the higher the defending behavior. the higher the family functioning and the care, the lower the bystanding behavior. Second, the care perfec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functioning and the defending or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Possible reasons for these result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가족기능과 방어행동 및 방관행동의 관계에서 배려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부산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5, 6학년) 460명을 대상으로 가족기능척도, 배려성척도,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및 방관행동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가족기능과 배려성이 또래괴롭힘 방어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또래괴롭힘 방관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배려성이 가족기능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및 방관행동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의 증진 및 방관행동의 감소에 가족기능의 역할이 중요하며, 아동의 배려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친구 및 교사 지지와 낙관성의 매개효과

        김홍석,노영천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This study examined peer and teacher support and optimism as a mediator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career aspiration. 391 primary school students in Busan city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parents attachment, career aspiration, peer and teacher support and optimism, and. their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rst result shows that parents attachment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aspiration. Second, optimism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aspiration. Third, peer and teacher support and optimis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career aspiration. Fourth, optimism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career aspiration. These findings suggests not only that parents plays an important role to enhance the career aspiration of primary school students in upper grades but also that enhancing the peer and teacher support and optimism is required.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친구 및 교사 지지와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시 초등학생 391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진로포부, 친구 및 교사 지지, 낙관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애착이 진로포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낙관성이 진로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애착은 친구 및 교사 지지와 낙관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모애착은 낙관성을 매개하여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포부 증진에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며, 친구 및 교사 지지와 낙관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