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대 낭만사조 주요미학가치의 형성배경 및 그 발전양상 분석

        노상균 한국중국학회 2003 中國學報 Vol.48 No.-

        上文將明代中後期所흔起的反傳統個性解放思潮的主要美學價値大分爲「眞」「情」「奇」「俗」四個範疇, 幷對各自的歷史文化的形聲背景給發展情況, 予以詳細的考察. 老莊早在先秦時期, 將「眞」看爲毫不存在人爲造作的自然原始狀態, 從此以後, 這一「眞」的價値爲一向重視人爲的理性活動的儒家「着」的價値所湮沒. 而到明代中後期, 宋明理學所强調的「存天理, 去人欲」趨於敎條化絶對化, 由此引起在政治社會文化各個領域裡「滿場是假」的不良現象. 爲了換救這樣的一個「假」現象, 一些有識之士奮起將「眞」擺在最前面, 用以肯定追求利欲的自然本性, 由此흔起個性解放思潮. 「情」一向被儒道兩家??上「人欲的根源」這一??絆, 卽將「性」「理」做爲善的根源, 與此相反, 將「情」做爲惡的源頭. 而到明代中後期, 王陽明將窮極的價値本體由至高無上的「天理」降到人的「心」裡, 王良再度降到「百姓日用之道」. 托這一思想變化之福, 「情」終於擺脫了人欲的根源這一??絆, 進而將「情」原有的存在價値大大向外宣布, 幷與「眞」價値合而爲一, 更廣範引起個性解放的浪漫思潮. 「奇」這一價値, 自從孔子不語怪力亂神之後, 一向被儒家的「正」價値所湮沒, 無人間津, 而到明代中後期, 徐渭, 李??, 湯顯祖等一些浪漫主義作家群反對以「正」爲主的傳統的現實主義價値觀, 大大鼓吹以「奇」爲主的非現實的浪漫主義價値觀, 幷以此做爲理論根據, 將戱曲小說等俗文學的價値與正統詩文學等量齊觀. 「俗」這一觀念亦是中國傳統知識빈子最想擺脫出來的一種否定價値. 他們追求的「雅」乃是由典籍裡온양 出來的一種高尙的品位, 與此相反, 「俗」便是一般百姓在日常生活中的活動及其語言習慣之謂. 而到明代中後期, 李開先, 何良俊, 徐渭等一群作家大爲肯定一般百姓的利欲追求及卑俗的諺語, 幷以此做爲主要審美標準. 對這一「俗」觀念的重視大有助於提高俗文學的價値, 是無庸置疑的.

      • KCI등재

        민족국가 부재 하에 경제발전 모색과 굴절 -한말 계몽운동기 식산흥업론을 중심으로-

        노상균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9

        This paper is a study examining the economic development theory conducted in the absence of a nation-state in the Enlightenment movement Period.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Russo-Japanese War was proposed in a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 tha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iod. With the political and economic support of the Japanese Resident-General(統監府) Japan’s economic penetration was gradually expanding in the commercial and industrial sectors and labor markets. On the other hand, Korean capitalists began to face internal confrontation over the direction and initiative of economic development as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owners, who had been suppressed by the traditional commercial system, became active. Due to the incapacitation of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it wa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subject and method of economic development, and at the same time, it was necessary to respond to Japan’s colonial economic policy. In this situation, there were two different types of economic theories that could be defined as “Liberal economic development theory” and “Nationalist economic development theory” regarding the theory base, subject setting, and method and direction of economic development, reflecting the internal separation of capitalists. The liberal economic development theory was an economic theory that reflected the positions of capitalists in the economic domain where Koreans’ commercial districts remained relatively stable or benefited from transactions with Japan despite the expansion of economic penetration. The nationalist economic development theory was an economic theory representing the position of capitalists belonging to the economic domain facing strong pressure of competition for survival due to Japan’s expansion of economic penetration. However, these two economic theories had a logical problem in achieving the ultimate goal of economic development,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lthough the details were different, both theories defined the essential role of state power for economic development, but the Korean Empire was already neutralized after the Russo-Japanese War. It was also a problem that more and more subordinate capitalists were incorporated as sub-partners of Japanese capitalism and sought profits. Liberal economic developmentists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emphasizing the moral responsibility of capitalists. In addition, some gave up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through the central government and promoted the local autonomy system as an alternative. However, most other liberals failed to solve this problem, supported the laws and systems enacted by colonial powers, and showed subordination to pursuing legitimate economic development. On the one hand, in the case of nationalist economic developmentists, there were some commentators who showed some subordinate attitudes, but most of them were critical of the policy of colonial power. Rather than expecting colonial power, they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seeking new subjects to protect domestic industries on behalf of the nation-state. Although it did not lead to a substantial economic organization, it was meaningful in that it was an attempt to pursue independent development through the gathering of ethnic and social groups, not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compromise and subjugation with colonial power. 이 논문은 민족국가의 부재 속에서 전개된 한말 계몽운동기 식산흥업론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보호국화 이후의 식산흥업론은 이전 시기와는 크게 달라진 환경 속에서 전개된 것이었다. 통감부의 정치적·경제적 지원 속에 일본의 경제 침투는 상공업분야, 임노동시장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었고, 반면에 한국의 자본가들은 그동안 도고상업체제에 억눌려있던 중소상공인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식산흥업의 방향과 주도권을 두고 대립과 분화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대한제국 정부의 무력화 속에 식산흥업운동의 주체와 방법을 새롭게 정비하는 한편 통감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대응도 필요하였다. 이러한 배경과 과제 속에서 진행된 한말 식산흥업론의 내부에는 상공업 자본가들의 재편·분화를 반영하여 이론기반, 주체설정, 경제발전의 방법과 방향 등을 둘러싸고 각각 ‘자유주의 식산흥업론’과 ‘국가주의 식산흥업론’으로 규정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두 가지 흐름의 경제론이 존재하였다. 자유주의 식산흥업론은 일본과의 거래에서 이득을 보거나 경제 침투의 확대 속에서도 한국인의 상권이 비교적 안정되게 유지되고 있던 산업 분야에 속하는 자본가들의 입장을 반영한 경제론이었으며, 국가주의 식산흥업론은 주로 일본의 경제 침투 확대로 인해 강력한 생존경쟁의 압박에 직면한 산업 분야에 속하는 자본가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경제론이었다. 그런데 이들 두 식산흥업론은 식산흥업의 궁극적인 목표인 ‘국권 회복’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논리적인 문제가 존재하였다. 구체적인 내용과 역할 범위는 크게 달랐지만 두 방안 모두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국가권력이 담당해야 하는 필수적인 역할이 규정되어 있는데 러일전쟁 이후 대한제국은 무력화되고 대신 통감부라는 식민권력이 들어온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일본자본주의의 하위 파트너로 편입되어 이득을 추구하는 예속적인 자본가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것도 문제였다. 자유주의 식산흥업론자들은 이 문제를 상공업 자본가들의 도덕적 책임을 강조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 일부에서는 중앙정부를 통한 제도 구축을 포기하고 대안으로 지방자치제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외의 다수 논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통감부가 제정하는 법률과 제도를 지지하며 그 안에서 합법적인 식산흥업을 추구하는 개량주의적인 모습을 보였다. 반면에 국가주의 식산흥업론자들의 경우 일부 개량주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논자들이 있었으나 대부분은 통감부의 정책에 대해서 비판적이었다. 그들은 식민권력에 기대하기보다는 국가를 대신하여 국내산업을 보호할 새로운 주체를 모색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비록 실질적인 단체 조직으로 이어지지는 못하였지만 식민권력과의 타협·예속에 의한 경제발전이 아닌 민족과 사회단체의 결집을 통한 주체적인 발전을 추구한 시도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 KCI등재

        급성뇌졸중 환자의 발생과 예후

        노상균,김지희 한국융합학회 201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3 No.4

        이 연구는 1990년대부터 국내외 전반에 걸쳐 진행된 다양한 규모와 기관에서 진행된 급성 뇌졸중 환자의 연구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의 예후 관련 접근에 대해 올바른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검토는 BNBI PubMed, KMBase, RISS, KoreaMed를 이용하였다. 검색된 논문을 대상으로 발생빈도, 병원 전 뇌졸중 환자의 평가 및 응급처치, 병원 내 전문치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뇌졸중 평가의 중요한 척도로 사용 되고 있는 신시내티 뇌졸중 척도와 로스앤젤레스 뇌졸중 척도를 이용한 평가가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문적인 응급처치가 시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Cause of Surface voids in Concrete Attached to an Aluminum Form, and Measures for Prevention

        노상균,이승훈,한천구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3 No.5

        Traditionally, the material used for the form in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has been wood or steel. But recently,aluminum forms have been widely used in wall structures such as apartment buildings. Aluminum is light, easy to handle, and economically advantageous, but the hydrogen gas created due to its reaction with the alkali component in concrete gives rise to air pockets on the concrete’s surface, and deteriorates the surface’s finishability. In this research,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aluminum material on concrete, the cement paste W/C and its chemical reactivity in alkali and acid solution were analyzed. As a prevention plan, the influence of the number of applications of calcium hydroxide and various surface coating materials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urface voids on the aluminum form are the result of the reaction of hydrogen gas with an alkali such as Ca(OH)2. This can be prevented by the surface treatment of Ca(OH)2, separating material and coating material. However, poor surface form and damages to the form are expected to cause quality degradation because of the aluminum-concrete interaction. Therefore, thorough surface treatment, rather than the type of separating material or coating material,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arget of management.

      • KCI등재

        Surface Finishability of Concrete According to Degree of Damage and the Number of Uses of the Aluminum Form

        노상균,이승훈,한천구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3 No.6

        As concrete forms, panel forms made of plywood used to be widely used, but recently a system form made of aluminum has been broadly adopted because of the advantages it offers in terms of constructability and economy. However, an aluminum form reacts with concrete, which is alkali, and creates hydrogen gas. As a result, air pockets occur on the concrete’s surface, and its finishability deteriorates.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voids and surface roughness and the damage degree and number of uses of the aluminum form.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voids shows that the number of voids of 0.1~1 mm,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occurred because of chemical reaction, was 200~500 on the coating plywood, but was 1 500~2 000 on the aluminum form after 3 uses, and impossible to count after a higher number of uses. Surface roughness was 1.7~3.2 ㎛on the coating plywood form, but was about 2.6 ㎛ after the first use and about 6.8 ㎛ after 10 uses, a 2.6-fold increase. Distribution of voids did not show a particular tendency depending upon the degree of damage to the concrete form, but surface roughness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as the degree of damage grows. Therefore, when using aluminum forms, surface maintenance should be carried out completely, such as prevention of damages to the form surface coating materials and spreading of separating materials on forms.

      • 물의 광분해에 의한 수소 생성

        노상균,박광순 동양대학교 1995 동양대학교 논문집 Vol.1 No.1

        In order to prepare an artificial photolysis system of water which mimics the photosynthetic system.of green plants, an amphiphilic photosensitizer, Ru(bipy)2(lhcbipy)2+, was synthesized.This is a good photosensitizer because it absorbs rather longer wavelengths of light(480nm) than tris-bipyridine Ruthenium complex.We noted the fact that the prepared photosensitizer formed a vesicle by itself without any surfactant.A methyl viologen was reduced by irradiating the vesicle system formed from the amphiphilic photosensitizer, EDTA and methyl viologen.This implied that hydrogen could be produced from the reduced methyl viologen, if an appropriate catalyst existed.Hydrogen was produced from the artificial photolysis system of water using Ru catalyst on the vesicle surface instead of methyl viologen.

      • 성인이 다른 굵은 골재를 혼합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분석

        노상균,김영희,김정빈,한천구,Noh, Sang-Kyun,Kim, Young-Hee,Kim, Jeong-Bin,Han, Cheon-Goo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5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3 No.1

        최근 레미콘 산업에서 골재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과거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던 저품질의 골재를 혼합사용하여 천연골재의 일부로 대체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저품질의 골재는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생산되는 순환골재, 산업활동에 의해 생산되는 부산물 골재 등으로 KS 기준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부족한 골재자원의 유효한 활용을 위해 화강암 부순골재를 기본으로 순환골재, 고로 및 전기로 슬래그 골재를 단독 및 혼합사용하여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슬럼프는 골재를 혼합사용한 경우 단독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유동성이 0~10% 증가하여 단위수량이나 SP제 사용량 저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압축강도는 골재를 혼합사용한 경우 연속입도 분포를 나타내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채워 단독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0~10% 증가하였다. 따라서 성인이 다른 골재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표준입도범위를 만족하게 하여 활용하면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의 증진 효과를 나타내어 혼합골재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attempts of replacing some of natural aggregate with mix of low quality aggregate are carried out for stable supply of aggregate. However, low quality aggregate such as recycled aggregate produced during the disposal process of construction wastes and by-product aggregate produced by industrial activities has problem of failing to comply to KS Standards. Therefore, we have compared fundamental properties of concrete by using granite crushed aggregate, recycled aggregate, blast furnace and electric arc furnace slag aggregate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lacking aggregate resources. As the result, slump in case of mixed use of aggregate was increased 0~10% compared to single use. Therefore, it is judged to be economically advantageous as it can expect effects in unit quantity or reduction of SP agent. Compressive strength in case of mixed use of aggregate was increased 0~10% compared to single use as it filled internal crevice of concrete with continuous particle size distribution. Accordingly, if we utilize by satisfying standard particle scope through mix of aggregate with different cause of formation in proper ratio, it was possible to confirm utility of mixed aggregate with demonstration of effects of increases of fluid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 KCI등재

        도연명(陶淵明)의 시문(詩文)으로 본 정체성(正體性)의 갈등요인 연구

        노상균 한국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文學 Vol.63 No.-

        本論文主要分析陶淵明一生所經受的葛藤及苦惱心理的根源, 以及由此而産生的思想上的演變過程. 由於“性本愛丘山”的本性所使然, 他特別追求自然裏朴素而寧靜的生活, 幷爲不“違己”而決定隱居躬耕之路. 但是因後天的修養和外部環境的影響而支配他的核心思想便是儒家的立功成名之道, 而此兩者之間所存在的隔?便造成他一生曾不間斷的葛藤和矛盾心理. 非但如此, 他在抛棄立功成名之路, 選擇隱居躬耕之路之後, “淹留”田園的時間越久, “白首無成”的慨歎越强, 由此引發“庶以善自名”的立德以成名之念.但是田園這一空間上的限制和饑寒這一現實上的窘境使他只能在孔子所倡導的許多德目中?出一個“固窮節”來, 努力爲?建立理論上的依據, 竝固守這一節義, 以期名垂於後.這一思想上的演變過程如實反映出他一生所經歷的極大的心理矛盾和克服努力, 而這又可謂是爲了尋?出屬於自己的存在主義的存在意義而付出的不懈努力所緻. 由此可見, 陶淵明的詩文所以能對後代人産生巨大的感染力及精神上的寄託, 是因爲他爲建立屬於自己的存在意義而付出的這些苦惱和克服努力深深融入於他的作品裏, 幷創造出不可磨滅的精神價値.

      • KCI등재

        『史記』에 보이는 耆老형상 고찰

        노상균 중국학연구회 2022 중국학연구 Vol.- No.100

        이 논문은 사마천의 『史記』에 나오는 수많은 인물 전기 중에서 오로지 耆老시기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에게 부여된 전형적이고 상징적인 형상을 분석 및 고찰함에 그 목적을 두었는 바, 세밀하고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필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주요 형상을 도출하였다. 첫째는 정치적 상징체 형상이다. 『史記』에서 오로지 기로시기의 사적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姜太公과 百里奚가 이 유형을 대표하며, 이들은 뛰어난 덕망과 학식을 바탕으로 당시 사람들에게 이미 기로의 상징체로 인식되었고 당시의 통치자들은 정치적 목적이나 효용성에 의해 이들을 파격적으로 발탁하였는데, 이들이 정치적 수장이 되어서도 실제로 뛰어난 업적을 수립함으로써 명성과 실제 양면에서 명실공히 그 당시의 정치적 상징체로 塑造되었다. 둘째는 불굴의 의지체 형상인데, 이에 대한 인물로는 孔子와 范蠡가 대표한다. 공자는 기로에 접어든 이후에도 德治라는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온갖 고난과 역경을 감내하며 강렬한 열정과 불굴의 의지를 불태웠으며, 범려 역시 기로의 나이임에도 본인이 세운 공명을 초개처럼 버리고 끊임없는 삶의 열정과 덕행을 통해 실천적이고 창조적인 삶을 보여주었는 바, 이들은 후세에 불굴의 의지를 가진 전형적인 기로형상을 남겨 주었다. 셋째는 문화적 전승자 형상이다. 후세에 널리 알려진 黃石公과 張良의 奇遇가 이를 대표하는데, 이 유형의 기로형상에는 일종의 공통적인 서사구도가 존재한다. 그것은 전승자인 노인이 시험이나 탐색을 통해 계승자인 젊은이에게 문화적으로 소중한 가치를 전승한다는 구도이다. 이로부터, 기로에게 문화적으로 소중한 가치를 후세에 전승해 주는 또 하나의 전형적인 형상이 부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기로형상의 이면에는 기로에 대한 근원적인 존중의식과 기로 자체가 갖는 가치에 대한 실존적 인식이 깊숙이 깔려있는데, 그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면 周初에 정치적 목적으로부터 유래된 “三達尊” 사상의 영향이 가장 근원적인 원인이며, 아울러 오랜 세월을 살아온 기로 자체가 갖는 학문적 권위성, 정서적 친밀감, 신비성을 띤 예지력 등의 이미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온 것이라 간주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