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앙발달과 애착 관계 – 파울러의 신앙발달 이론과 회피성 애착 사례를 중심으로

        노바울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본 연구의 목적은 신앙발달 과정에 있어서 애착 경험, 특히 회피성 애착 경험과 회 피성 성격이 신앙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연관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신앙은 초 월자인 신과의 신뢰와 충성스러운 관계를 의미한다. 개혁신학은 신앙발달과 과정은 하나님의 부르심으로부터 시작되며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와 주권으로 이루어지는 영 적이고 신비로운 영역으로 다루고 있다. 그에 반하여 현대 심리학은 신앙의 형성과 발달에 대해서 정신분석적으로, 인지 발달론적으로, 대상 관계론적으로 설명하고자 한 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은 신앙형성과 발달에 대한 신학적 측면 외에 인지발달과 도덕성 발달이론에 기초를 두고 경험적 자료를 수집하여 추상적이었던 신앙발달에 대 한 개념을 체계화 및 구조화하는데 기여를 하였다. 파울러의 신앙발달 단계와 발달과 정은 심리학적으로 유아기와 청년기의 신앙형성과 발달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본 연 구는 유아기의 타인과 신에 대한 긍정적인 표상 형성과 청소년기에서 성인으로 성장 과정중에 자율성과 신앙적 정체성을 확립은 안정애착 경험이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들 을 논의하였다. 부모와의 안정 애착은 하나님과의 애착 관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이며 신앙적 회심을 경험하는 요소 중에 불안정 애착이 있다는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불안정 애착 상태에서 하나님을 만나고 신앙생활을 할 때 여전히 불안정한 애착유형 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을 수 있기에 불안정 애착의 신자들은 영적 정체성과 하나님과 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 애착 경험이 있는 한 개인의 사례를 통하여 회피 애착 경험과 신앙적 문제와의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회피성 애착과 회피성 성격형성의 연관성을 보게 되었으며 회피성 애착으로 인한 신 앙 정체성 혼란과 진로에 대한 영적인 인식과 결정에서도 회피적인 문제 대응 방식을 취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에 건강한 신앙형성과 신앙발달과정을 돕기 위한 목회적 적용을 제시하며 신앙형성의 출발점이자 신앙교육의 첫 장소인 가정에서 부모와의 안정 애착 경험의 중요성과 신앙공동체에서의 안정 애착 경험과 환경 제공의 필요성 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ttachment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faith, especially the effect of avoidance attachment experiences and avoidance personality on faith formation. Faith means trust and loyalty to God, a transcendent. Reformed theology deals with the development and process of faith as a spiritual and mysterious realm that begins with God's call and consists of God's full grace and sovereignty. Modern psychology, by contrast, seeks to expla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faith in psychoanalytic, cognitive and object-relational ways. Fowler's theory of religious development contributed to the systematization and structuring of abstract concepts of religious development by collecting empirical data based on cognitive and moral development theories, in addition to theological aspects of faith formation and development. Fowler's stages of faith development and development help psychologically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faith in infancy and adolescence.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secure attachment experience in forming positive representations of others and God in infancy and establishing autonomy and religious identity during the growth process as adults in adolescence. Not only are secure attachments and insecure attachments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attachment to God, but there are people who experience religious conversion in pursuit of God as an attachment figure. However, they still maintain an insecure attachment type while meeting God in an unstable state of attachment, which also complains of in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of faith.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avoidance attachment and religious issues through a counseling case in terms of an experience of insecure attachment. The case introduced a client with avoidant personality due to avoidance attachment, and showed the difficulty of establishing religious identity and the spiritual attitude of avoiding conflicts and serious agony in spiritual judgment of career path. Pastoral applications were proposed to assist in the formation of healthy faith and development of faith. The first place of religious education was the home, and at the same time,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the experience of secure attachment were important. Therefore, the need to provide the environment of religious communities was presented.

      • KCI등재

        마가렛 말러의 “심리적 탄생”에 대한 목회상담적 함의

        노바울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psychological birth, which is the main idea of Margaret Mahler’s object relations theory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psychological birth from a pastoral counseling perspective. Object relations theory stemmed from psychoanalytic theory; however, there are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purpose and role of the object between the object relations theory and the psychoanalytic theo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ahler’s theory and the psychodynamic theories. Mahler provided specific descriptions and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stages in early childhood. While the psychoanalytic theory argues that psychological development is almost completed in the Oedipus period, Mahl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early object relationship experiences of an infant. Mahler observed that Infants go through the normal autistic phase, symbiotic phase, practicing phase, rapproachement phase, and object constancy phase in term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considered the separation-individuation process psychological birth. As moth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sychological birth, Mahler notes that the optimal mother can promote the psychological birth of the human infant most. The optimal mother meets desires of the infant and plays a role in developing independence and individuation of the infant as well. This study evaluated the optimal mother’s role according to Mahler’s theory, comparing with the psychoanalytic theory and other object relations theories. Also, it investigated the formation process of self-awakening and images and representations of God related to object relationships. Also,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the positive object constancy and the representation of God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and roles for pastoral counselors and provided the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in relation to Mahler’s theory. 본 연구의 목적은 마가렛 말러의 대상관계 이론의 핵심인 심리적 탄생에 대한 그 의미를 탐색하며 목회상담적 의미와 적용을 논의하는 것이다. 대상관계 이론은 정신분석이론에서 출발하였지만 정신분석이론에서의 대상의 목적과 역할이 다르기에 그 차이점을 살펴보며 말러의 대상관계 이론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탐색하였다. 말러는 유아기 시기의 심리적 발달 단계에 대한 장기 관찰연구를 통하여 그 단계들에 대한 사실적 묘사와 의미를 제시하였다.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심리적 발달이 오디푸스 시기에 거의 이루어진다고 보았지만 말러는 그 이전의 유아의 초기 대상관계 경험을 통해서 완성되어진다고 보았다. 정상적 자폐 단계, 공생 단계, 연습기, 재접근기, 대상항상성 단계를 거치면서 유아는 심리적 발달을 경험하는데 그 심리적 분리-개별화 과정이 심리적 탄생이라고 묘사 하였다. 심리적 탄생은 유아에게 가장 중요한 대상과의 관계를 통하여 일어난다. 유아의 심리적 탄생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 인물은 어머니인데 말러는 유아의 심리적 탄생을 가장 촉진하는 어머니로서 최적의 어머니(optimal mother)를 강조한다. 최적의 어머니는 단순히 유아의 욕구만을 충족시켜주는 대상이 아니라 유아가 대상과의 융합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존재로 성장하도록 역할을 감당한다. 본 연구는 말러가 강조한 최적의 어머니의 역할에 대해 정신분석이론 및 이전의 대상관계 이론들과 비교 및 평가를 하였다. 또한 대상관계를 통한 자기 인식과 영적 대상인 하나님에 대한 이미지와 표상 형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으며 신학적 관점으로도 긍정적인 대상항상성 및 하나님 표상과의 연결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말러의 대상관계 이론에 근거한 목회 상담적 치료적 방안과 목회상담가의 역할을 논의 하였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애착 관점에서의 조현병 이해와 목회상담적 함의

        노바울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조현병은 유전적 요인과 신체적 요인에 대해서는 약물치료를 중심으로 발전되어져 왔으며 심리치료에서는 인지 행동적인 치료연구가 있어왔다. 본 연구는 조현병의 심 리 정서적 요인의 하나인 애착의 관점에서 조현병의 발병요인들과 치료 방법들을 논 의하고 목회상담적 적용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애착 관련 임상적 연구들의 결과들과 청년 조현병 내담자의 사례들은 불안정 애착과 조현병과의 연관성의 증거들을 보여주 고 있다. 안정애착의 긍정적 대응전략을 가진 내담자들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신뢰가 있기에 위기상황에서도 높은 심리적 안정감과 적응력이 있다. 하지만 불안정애착 유 형은 낮은 자존감과 타인에 대한 낮은 신뢰로서 정신질환 발병율이 높게 나타난다. 조현병 환자의 삼분의 이 이상이 불안정 애착 유형으로 분류되며 그들의 부정적인 대 응전략들은 낮은 치료 참여도, 치료적 동맹 형성의 어려움, 낮은 회복 가능성에 연관 성이 있다. 조현병 증상으로 말미암아 많은 조현병 환자들은 정상적인 사회생활과 기 능을 할 수 없고 인지적 정서적 기능의 손상이 심해지는 경우도 있지만 안정애착경험 이 있는 조현병 환자들은 적극적인 치료 참여도와 높은 치료적 동맹 긍정적인 대응전 략을 통해서 회복 수준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애착 중심적 치료는 조현병 내담자들에게 치료자와 안정애착 경험을 갖게 하면서 치료적 동맹을 강화시키며 그 치료기법 들은 내담자의 내적작동모델을 탐색하면서 정신화 능력을 강화시키고 인지 행동 기능 과 사회성 기술들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는 애착중심 치료전략들이 조현병 내담자 들과 가족들을 위한 통합적 목회상담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보고 적용점들을 제시하였다. While mental health studies on schizophrenia have developed pharmacotherapy based on bi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psychotherapies have dealt with behavioral and cognitive treatments. This study examined causes and treatment strategies of schizophrenia from an attachment perspective and discussed pastoral applications. Studies of attachment theory show that a child’s secure attachment with parents leads to emotional secu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of the connection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schizophrenia through findings of empirical studies and clinical cases of young adults with schizophrenia. Clients with positive coping strategies tend to have confidence in themselves and others and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coping and adjustment ability in the midst of crisis. However, individuals with insecure attachment styles present low self-esteem and low trust level on others and report a high incidence of mental disorders. Two-thirds of schizophrenia patients are classified as insecurely attached, and their negative coping strategies are strongly related to low commitment to treatment, difficulty in building a therapeutic alliance, and poor treatment outcomes. Many schizophrenia patients lose normal social functioning skills and cognitive and affective functions. However, the patients with secure attachment experiences report a higher recovery level through a strong commitment to treatment and therapeutic alliance. Therapies focused on attachment help clients with schizophrenia to have a secure attachment experience and improve their therapeutic alliance. The treatment interventions based on attachment explore the client’s internal working models and strengthen the mentalization and improve his or her cognitive and behavioral functions and social skills. Finally, this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integrative pastoral applications based on the treatment strategies focused on attachment.

      • KCI등재

        중독 내담자의 동기 변화를 위한 인지적 동기이론과 목회 상담적 함의

        노바울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9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독 내담자의 동기 변화를 위한 인지적 동기이론의 원리와 요소들을 살펴보고 목회 상담적 평가와 함의를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심리 문제뿐만 아니라 중독문제를 가진 내담자들의 치료와 회복을 위한 첫 번째 과제와 단계는 중독자 자신들이 문제를 수용하고 도움을 구하는 것이다. 내담자 요인은 심리치료 결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내담자 요인 중에 동기 유발과 동기 유지는 중독치료에 있어서 핵심적인 치료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대심리치료에서 인지적 동기이론들은 중독에 대한 원인, 과정, 그리고 임상효과에 있어서 중독자들의 동기 유발과 변화유지에 대한 전략들을 제시하고 있다. 인지적 동기이론의 배경을 살펴보면 쾌락주의 관점에서는 인간의 동기를 본능적인 쾌락 추구와 고통 회피에 대한 반응으로서 나타난 것으로 보았지만 사후 설명적이라는 한계로 인해서 행동주의 동기이론과 인지적 관점의 동기이론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인지적 동기이론의 대표적 이론으로서 자아실현 동기이론인 로저스의 자아 충실 이론과 매슬로우의 욕구 계층이론으로 인간동기를 설명할 수 있다. 인지적 동기이론은 외적 귀인보다는 내적 귀인, 즉 자신의 태도와 의지를 강조하는 치료이론인데 본 연구에서는 중독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임상 프로그램에 적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인지 동기모델인 자기결정이론 모델, 초이론 모델, 그리고 동기 강화 상담모델 중심으로 동기 변화 요인들과 원리들을 살펴보았다. 자기결정이론 모델은 동기 변화의 중요한 요소로서 자기효능감을 강조하며 그에 필요한 능력, 자율성, 그리고 관계성에 주목하였다. 초이론 모델은 중독 회복과정에서 동기 변화와 동기 유지를 어떻게 하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동기 강화 상담모델은 인간 중심적 치료이론을 기초로 내담자의 양가감정으로부터 동기 변화를 일으키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독치료에서 주목받고 있는 세 가지 인지주의적 동기 상담모델의 주요 요소들을 살펴봄과 동시에 목회 상담적 관점에서 성경적 인간의 마음 구조와 기능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성경적 관점에서 인간의 동기 유발과 동기 유지의 기초는 인간의 죄 인식과 회개, 그리고 성령의 능력과 은혜임을 고찰하였다. 중독치료와 회복과정은 단회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회적이다. 그렇기에 재발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어야 하므로 인간의 마음과 변화의 핵심 요인으로서 성령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중독자 치료를 위한 성경적 관점에서 인간의 동기 변화를 다루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중독치료를 위한 목회 상담의 역할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inciples and elements of cognitive motivation theory for motivational change in addicted clients and discuss pastoral counseling evaluation and implications. The first task and step in the treatment and recovery of clients with addiction problems as well as psychological problems is to make a client accept the addicts’ own problems and seek help. Client factors can be sai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sychotherapy outcome. Among client factors, occurance and maintenance of motivation are receiving attention as key treatment factors in addiction treatment. In modern psychotherapy, cognitive motivation theories suggest strategies for motivating addicts and maintaining change in the causes, processes, and clinical effects of addiction. Looking at the background of cognitive motivation theory, from a hedonistic perspective, human motivation was seen as a response to the instinctive pursuit of pleasure and avoidance of pain,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ex post explanation, behavioral motivation theory and motivation theories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emerged. Human motivation can be explained with Rogers’ self-fulfillment theory as a self-actualization motivation theory and Maslow’s hierarchy of needs theory, which are representative cognitive theories. Among cognitive motivation theories that emphasize internal attributions rather than external attributions, that is, one’s attitude and will,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model, transtheoretical model, and motivation interviewing counseling model which are effectively applied to clinical programs for addiction treatment in order to examine motivation change factors and principles.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model emphasizes self-efficacy as an important element of motivation change and focuses on the abilities, autonomy, and relatedness required for it. The transtheoretical model focuses on how to change and maintain motivation during the addiction recovery process.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model seeks to bring about motivational change from the client's ambivalence based on person-centered therapy theory. This study examined the main elements of the three cognitive motivational counseling model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and at the same time noticed the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iblical human mind from a pastoral counseling perspective. From a biblical perspective, it was examined that the basis of human motivation and maintenance of motivation is human awareness of sin and repentance, and the power and grace of the Holy Spirit. Addiction treatment and recovery process is not a one-time process, but is multi-faceted.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deal with the problem of recurrence,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role of the Holy Spirit as a key factor in the human mind and change. Changes in human motivation were addressed from a biblical perspective for the treatment of addicts, and based on this, the role and methods of pastoral counseling for the treatment of addic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성적학대 희생자들의 트라우마와 영성

        노바울,여한구 한국목회상담학회 2017 목회와 상담 Vol.29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uma and spirituality of victims of sexual abuse in terms of pastoral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storal counseling approach to the victims of sexual abuse that focuses on spiritual healing and recovery from sexual trauma. Many victims of sexual abuse report symptoms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suffer from psychological and physical problems after their traumatic incidents. Sexual trauma may affect a person’s spirituality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Individuals with sexual trauma struggle to overcom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ir coping resources. Among these resources, spirituality of victims is associated with their coping mechanisms and recovery. Clients with sexual trauma struggle with spiritual questions and issues regarding their sexual abuse and the causes of sexual abuse. They may interpret their situation and pai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spiritual beliefs and cognitions, and may have negative feelings, such as anger and distrust toward God.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can benefit from spiritual support or a spiritual approach for growth and healing. Pastoral counselors should be prepared to help clients with sexual trauma cope well with their psychological problems and spiritual struggle. In this regard, this study discusses spiritual issues and spiritual interventions during treatment. Pastoral counselors should have knowledge of a spiritual approach and specific interventions for the victims of sexual abuse at a deeper level and be aware of the strengths and the limitations of the treatments. Although this study provides limited theoretical principles, it is noteworthy that it expands understanding of sexual trauma victims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pastoral counseling approach. 본 연구는 성적학대 희생자들의 상처(trauma)와 영성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로 성적학대로 고통을 겪는 피해자들의 상처를 보듬고 심리적, 영적 회복과 치유에 대한 목회상담적 접근에 대한 것이다. 성적학대 희생자들은 대부분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증상을 겪게 되며, 트라우마적 사건으로 인해 지속적인 심리적, 육체적 고통을 받는다. 성적 트라우마는 피해자는 물론이고 그 가족과 주변인들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성적 트라우마를 가진 내담자들은 성적학대와 그 원인들에 관한 영적 문제들과 연관된 이슈들로 인해 고통을 받는다. 영적 믿음과 인식들에 따라 그 상황과 고통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으며, 분노와 하나님에 대한 불신과 같은 부정적 감정들을 갖기도 한다. 성적 트라우마 희생자들은 자신의 대응자원에 따라 문제 극복을 위해 노력하게 되는데, 대응자원 가운데 영성은 중요한 대응체계와 회복에 중요하다. 성장과 치유를 위해 영적 지지와 접근을 통해 유익을 얻을 수 있는데, 목회상담사는 성적 트라우마가 있는 내담자들의 심리 문제와 영적 고민에 실제적 대처를 하도록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치료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영적 주제들과 치료방법을 정리하였다. 목회상담사는 성적학대 희생자들에게 대한 고통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영적 접근 방법들의 장점과 한계를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목회상담사는 적극적으로 심리적 문제와 영적혼란에 대처하도록 준비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가 원론적 제시를 한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성적학대 희생자들에 대한 이해와 목회상담적 접근필요성을 제시한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우울증 기독 청소년의 수치심 이해와 목회 상담적 치료방안 : 애착 관계를 중심으로

        노바울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9

        This study started with the consideration and treatment for a Christian adolescent with depression and shame in the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ed pastoral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recovering from shame. Shame is a basic human self-conscious emotion,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self-hatred, and dysfunction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any clients with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report feelings and experiences of shame. Adolescence is a period of experiencing many changes that affect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shame in adolescence was reviewed focusing on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the relationship with God was also discussed in terms of spiritual shame. From infancy, individuals ten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about their values and evaluation from others, and this affects the formation of shame. From the viewpoint of attachment relationships, the experiences of separation and loss during infancy and early childhood can lead to insecure attachment behaviors and negative self-image and interpersonal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thers can be formed. Recent studies related to it show that individuals with insecure attachment experiences display symptoms of shame and anxiety. In relation to this, it was investigated that depression and shame in an adolescent K were related to negativ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s, insecure attachment with caregivers, and loss in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The Christian's recovery from shame is not to avoid feeling of shame, but to meet God and restore spiritual identity. Individuals who recovered from shame no longer remain in a state of shame. They recognize themselves as God's precious children, and they see themselves as loving beings rather than loathing them. To restore from shame completely, a deep encounter with God and a deep realization of one's existence are essential. Approaching God, spiritual refocusing, spiritual awareness, facing shame, and strengthening new identity were dealt with as a necessary process in pastoral care and healing for Christians with shame. 본 연구는 상담 현장에서 만난 한 기독 청소년의 우울증과 수치심의 이해와 치료방안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하였으며 수치심의 심리적 영적 영향, 발달과정, 그리고 수치심 극복 과정을 애착 관계를 중심으로 탐색하고 분석하며 목회 상담적 치료방안을 제시한다. 수치심은 인간의 기본적인 자기 의식적 감정으로서 우울증, 자살사고, 자기혐오, 그리고 역기능적 대인관계에 의미 있는 연관성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우울증과 자살사고가 있는 많은 청소년들이 수치심 및 그와 연관된 부정적 자기감정을 느낀다. 청소년 시기는 심리적 영적 안녕에 영향을 끼치는 많은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로서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수치심 발달에 대한 분석을 애착 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하나님과의 애착 관계 또한 영적 수치심의 관점에서 연관성을 논의하였다. 영유아기부터 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과 애착 관계 경험을 통해서 자기 자신의 가치와 평가에 대하여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고 그것이 수치심 형성에 영향을 끼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애착 관계 관점에서 볼 때 영유아 시절의 분리와 상실 경험으로 인해서 불안정 애착 행동이 나타나며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자아상과 대인 표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와 관련한 최근 연구들은 불안정 애착 경험을 가진 개인들이 수치심과 심리적 문제 증상을 나타내 보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와 관련하여 청년 K의 우울증과 수치심이 부정적인 또래 관계 경험, 보호자와의 불안정 애착 및 이성 관계에서의 상실과 연관성이 있음을 고찰하였다. 기독교인의 수치심으로부터의 회복은 수치심 감정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만나 영적 정체성을 회복하며 더 이상 수치심 상태에 머물러 있지 않고 자신을 하나님의 존귀한 자녀로 인식하며 자신을 혐오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할 존재로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온전한 수치심 극복은 하나님과 깊은 만남과 자신의 존재에 대한 깊은 깨달음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수치심으로부터의 회복을 위한 목회적 돌봄과 목회 상담을 위해 하나님께 나아가기, 영적 재 초점 맞추기, 영적 깨달음, 수치심 마주하기, 새로운 정체성 강화하기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애착이론 관점에서의 아동 성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과 상담

        노바울 ( Roh,Paul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8 목회와 상담 Vol.31 No.-

        본 연구는 아동성폭력 피해자들의 위기 대응기제들을 애착이론관점에서 이해하며 애착중심치료를 기초로 하여 피해자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과 상담적용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아동청소년기 성폭력피해자들은 피해 당시에 직접적인 신체적 정신적 외상뿐만 아니라 차후에 그리고 지속적인 정신적 영적 문제, 또한 영적 애착관계의 문제들로 고통 받을 수 있다. 애착이론의 관점에서 피해자들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 내적표상을 형성하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부정적인 대응전략을 취할 가능성이 높다. 안정애착은 개인의 위기 대응 시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심리적 요소이다. 애착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유아기부터 시작된 주 양육자와의 애착관계를 통하여 형성된 개인의 각각의 애착유형과 위기 상황 시 대응전략들을 비교하며 살펴봄으로 위기상황시 안정애착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동청소년시기의 성폭력 피해 경험은 영적인 부분에 있어서 하나님과의 애착관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성폭력피해자들에게 있어서 애착중심치료의 접근방식은 영적변화에 있어서 중요하기에 연구자는 그 이유와 치료기법들에 대해서 논의하였으며, 그로인한 유익과 긍적적 결과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애착중심치료의 핵심적 요소인 상담자의 역할과 자세를 통하여 성폭력피해자들을 돌보고 상담해야 하는 목회자와 기독 상담가들의 대체애착대상자로서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nderstanding of coping strategies of victims of childhood sexual abuse in terms of attachment theory and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pplication for victims of sexual abuse based on attachment- focused therapy. It is not surprising to see that victims of childhood sexual abuse experience not only instant immedia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aumatic symptoms right after the incident but also struggle with ongoing psychological and spiritual troubles and future attachment relationship issues in the future. Regarding attachment theory, it is most likely that the victims develop a negative mental representation of themselves and others and negative coping strategies. Secure attachment serves a very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 in coping with a crisis or trauma. Based on attachment theory,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ecure attachment by comparing coping strategies of each attachment type that was formed in childhood by the a relationship with a primary care giver in childhood. Childhood sexual abuse experience may cause negative effects on the attachment with God. Since attachment- focused therapy approach is considered an important approach for spiritual transformation,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reasons and examined interventions of attachmentfocused therapy and the positive outcomes. As the counselor’s roles and attitudes play an important role in attachment- focused therapy, this study considered a pastoral counselor to be a substitute attachment figure who can provide care and promote a 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the victims of childhood sexual abuse.

      • KCI등재

        재미한인청소년의 부모애착, 종교적 문제대응방식, 그리고 자존감과의 관계

        노바울(Paul Roh)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4

        본 연구는 재미청소년의 부모애착, 종교적 대응방식, 그리고 자존감과의 관계를 관찰하며, 불안정 애착과 부정적인 종교적 대응방식의 관계에 있어서 자존감 매개변수 효과를 조사하였다. 12세부터 18세까지의 261명의 재미청소년들이 7개주의 15개 이민교회를 통하여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부모와의 애착관계, 종교적 대응방식태도들, 그리고 자존감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부모애착, 종교적 대응방식, 그리고 자존감 각각의 변인들간의 의미 있는 연관성을 밝혀 주었다. 또한 위계적 회기분석을 이용하여 부정적 종교적 대응방식에 대한 아버지애착이 특별한 변수인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불안정 어머니애착과 자존감을 통계적으로 통제한 후에, 불안정 아버지애착은 부정적인 종교적 문제대응방식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인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수집된 정보를 다중회기분석을 통하여 불안정 애착과 부정적인 종교적 대응방식과의 관계에 있어서 자존감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재미 한인 청소년들의 부모애착과 부정적 종교적 대응방식에 있어서 청소년 성별의 조절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종교적 대응방식에 있어서 어머니, 아버지 애착과 청소년 성별간의 특별한 관계성은 없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parental attachment, religious coping, and self-esteem with Korean-American adolescents, investigating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negative religious coping. Two hundred sixty-one Korean-American adolescents aged 12 to 18 from Korean immigrant churches in seven states completed the survey questionnaire to assess their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and father, religiou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detect the unique variance of father attachment in negative religious coping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parental attachment and negative religious cop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nsecure father attachment did not account for a unique variance in negative religious coping after controlling for insecure mother attachment and self-esteem.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tecte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but found no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negative religious cop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