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roup Mnet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관련 변수 탐색

        노민정,유진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mportant predictors to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and accordingly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 particular, group Mnet(a penalized regression method) was employed to consider 412 predictors of 9,546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8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in one statistical model. Specifically, this study repeated 100 times of modeling with random data splitting, and obtained selection counts of each variable in the 100 repetitions. As a result, 28 variables were selected 100% of the time, comprising 24 student variables and 4 school variables. The 24 student variables selected included degrees of satisfaction towards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learning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levels of recognition on career/occupation information, children-parent conversation frequencies, and career planning after graduation. The 4 school variables related to community-level support, textbook usage of the subject of “Career and Jobs”, and its semester offered, and school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educational intervention strategies as well as future research topics were proposed and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개발역량과 관련된 변수를 탐색하여 학교진로교육의 활성화 및 효율성 증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계학습 기법 중 벌점회귀모형으로 분류되는 group Mnet을 이용하여 ‘진로교육 현황조사(2018)’에 답한 고등학교 2학년 9,546명의 학생 변수와 해당 학생이 소속된 학교의 학교관리자, 담임 및 진로전담교사 변수 412개를 하나의 통계 모형에서 탐색하였다. 무선분할과 모형화를 100번 반복한 후, 총 28개의 설명변수가 100번의 반복에서 모두 선택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학생 변수는 24개로, 학교생활 및 학교진로교육 활동에 대한 만족도, 도전정신, 학습태도, 학습동기, 직업 및 진로 관련 정보에 대한 인지 정도, 학부모와의 진로 관련 대화 빈도, 고등학교 졸업후 진로 계획 등이었다. 학교 관리자 및 교사 변수는 4개로, 진로교육 관련 민간 기업 및 체험처의 지원 정도, 진로와 직업 수업 교과서 활용 여부, 진로와 직업 수업 운영 시기, 학교 유형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진로교육 개선에 필요한 교육적 개입 방향 및 후속 연구 주제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고문자 書寫元素의 系統적 발전 방향에 대한 小考

        노민정 대한중국학회 2022 중국학 Vol.78 No.-

        한어(漢語)를 기록하는 언어부호로서 한자는 점진적으로 발전을 거듭하여 성숙한 문자체계를 갖추었다. 서사(書寫)의 측면에서 한자는 고문자 단계에서 서사원소(書寫元素)의 계통(系統)적인 발전 과정을 거쳐, 예서에서 한자의 기본 ‘필획‘이 완성되었다. 고문자 서사원소의 체계적인 발전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하나는 고문자 서사원소의 본질적인 변화이다. 이는 서사원소가 사물을 묘사하는 선에서 글자를 구성하는 선으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다른 하나는 고문자의 서사원소가 유형화되는 과정이다. 서사원소의 유형화를 통하여 소전에서는 자형에 사용된 모든 ‘선‘이 9가지 기본 대유형으로 귀납되었다. 이러한 고문자 서사원소의 계통적 발전 과정은 한자발전사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이를 통하여 한자는 예변(隸變)의 단계를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찰나刹那의 상속相續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 《구사론》20권 〈분별수면품分別隨眠品〉에 등장하는 설일체유부와 경량부의 논의를 중심으로

        노민정 서울大學校 종교학연구회 2012 宗敎學硏究 Vol.30 No.-

        Every moment is fleeting and illusive, just like a shadow instantly fades away, it has no real entity. At the same time, this simulacrum, the world of desire, attachment, and pain ceaselessly continues or passes over -Prattyasamutpda緣起-until you get to the final emancipation, the Nirvana涅槃. When Buddha first revealed a concept of the worldly time, he evinced these contradictory arguments. How can a notion of time, which dies out every second, be compatible with ever-circulating Nida? na因緣 and time? For many students of Buddhism, since Buddha entered Nirvana, it took hundreds of years to come to terms with this dilemma. Among them, in about A.D. 4th century, an eminent text, Abhidharma-kosa was written by Vasubandhu世親. In this text, especially in the fifth chapter, 分別隨眠品(How Bad Thoughts Motivate Karma) which describes how we come to create the deeds that create our world, there is an interesting debate over what was Buddha's real intention when he made his remarks on time. This paper is a short commentary on this argument between Sarvstivda說一切有部 and Sautrntika經量部. Sarvstivda claimes that three chronological points, past, present, and future exist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m, this idea of sarvakl三世實有 is directly derived from Buddha's sacred teachings and buttresses Sarvstivda's central doctrine of "all exists" (sarvasti 法體恒有). This is also due to the particular epistemology. That is, in the light of Sarvstivda, there can not be any perception without an object; therefore as long as we can speculate the existence of three time points and karmas imposed upon them, they exist. However, Sautrntika puts it differently. Sautrntika argues that time never remains. If a moment passes, it shall instantly disappear. The karma which is produced at this moment, not being dependant on any time point, becomes a seed and sleeps beneath one's mind. The accumulation of these seeds forms a condition of a being and its fate. Therefore, Sautrntika challenges Sarvstivda's epistemology. We can always recognize or think of things that do not exist in real world, just as we can imagine a horn of a rabbit. In a modern perspective, one can question this unconvincing dispute. Why were they bothering themselves clinging to a mere trifle? Having said that, this paper will not minimize the importance of justifying the coexistence of continuity and rupture in time. Trying to evade a jaundiced modern percepective, this paper will actively re-appreciate their debate and finally, acknowledge their necessity of theoretical discourse.

      • KCI등재

        삶의 질과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부동산 규제 완화 지지에 미치는 영향: 계층상승에 대한 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민정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decline in quality of life on perceived fairness and support for real estate deregulation. The rise of dissatisfaction due to the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life can increase the blame for the unfairness of the external social system, which may boost support for government-led market regulation to correct such unfairness. This impact of perceived fairness on quality of life furthermore could be more pronounced when the prospect of upward social mobility is pessimistic. That is, when people expect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be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who are to be more vulnerable to the fallout from the unfair operation of social system, the possibility of associating the deterioration in quality of life and the decrease in perceived fairness could be more pronounced. To test these predictions, this study used the dataset comprising a total of 6,300 survey responses and substantiated such predictions. Overall, these results not only offer an opportunity to take a more detailed look at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recent rise of the issue of fairness, but also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how individual support for government’s deregulation of real estate varies as a function of perceived fairness and prospect of upward social mobility. 본 연구는 삶의 질 저하가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및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삶의 질 저하로 인한 불만감의 고조는 외부 사회 시스템의 공정성에 대한 귀책을 가중시키고, 이러한 공정성 측면의 평가절하는 그러한 불공정성을 바로 잡기 위한 정부의 인위적 개입, 즉 정부 주도의 시장 규제 강화에 대한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삶의 질 저하로 인한 공정성 차원의 평가절하는 개인의 계층상승에 대한 전망이 비관적일 때 보다 더 증폭될 수 있다. 불공정한 사회 시스템의 운영으로 인한 개인적 타격이 보다 크게 예상될 때, 즉 계층상승에 대한 전망이 비관적일 때 사적 차원의 삶의 질 저하 문제는 공적 차원의 공정성 문제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총 6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활용해 이러한 예측들에 대한 검증을 시도했으며, 분석 결과는 이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성 문제가 최근 쟁점 사안으로 부상하게 된 데 대한 기저 원인을 구체적으로 조망해 볼 기회를 제공하여 주며 나아가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혹은 강화에 대한 지지가 공정성 및 계층상승에 대한 전망에 어떻게 영향받게 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는데 기여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 (4)외국과 우리나라의 HACCP 적용 현황

        노민정,No, Min-Jeong 한국식품연구원 2001 食品技術 Vol.14 No.2

        외식, 단체급식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식중독의 발생이 날로 대형화, 다양화되어 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식품에 대한 철저한 위생관리가 요구되고 있다.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생관리 제도로 국제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란 식품원료의 생산단계에서부터 시작하여 제조.가공, 보존, 유통.판매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섭취할 때까지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소에 대해 조사.분석하고, 각 위해요소에 대한 방지 방법을 구축하여 계획적으로 감시.관리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고자 하는 체계적인 관리방법이다. HACCP 계획은 위해요소 분석, 중요관리점 결정, 한계기준 설정, 모니터링 방법 확립, 개선조치 방법 확립, 검증절차 확립, 기록 유지 및 문서화 방법 확립의 과정을 거쳐개발되며, 최종제품을 검사하는 기존의 사후 관리적 방식과는 달리 HACCP는 중요관리점을 확인하고 모니터링 함으로써 최종제품의 위생안전성을 담보하는 예방적 관리방법이다. 1960년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우주비행사들의 우주식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에서 시작된 HACCP는 현재 세계 각국에서 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제도로 평가받고 있다.

      • KCI등재

        사회과학 대용량 자료 분석을 위한 벌점회귀모형과 결측처리기법의 성능 비교: 몬테카를로 모의실험

        노민정,유진은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Monte-Carlo simulation study was to investigate missing data techniques and penalized regression methods for social science large-scale data. Data of 340 variables and 2,000 observations were generated to emulate a social science panel data, KCYPS(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simulation conditions included missingness mechanisms (MAR, MNAR), missing data techniques (listwise deletion, k-NN, EM), and penalied regression methods (LASSO, adaptive LASSO, and MCP). As a result, the simulation had 18 condition combinations, and each condition had 100 replications. For evaluation criteria, agreement rates were used for the performance of missing data techniques and IC1 and IC2 were used for variable selection. Prediction accuracy, AUC, and Kappa were utilized for model evaluation criteria. With regard to missing data imputation, k-nn outperformed EM. Listwise deletion deteriorated the performance of penalized regression. LASSO and adaptive LASSO tended to outperform MCP in terms of variable selection and prediction. Further research topics were discussed accordingly. 본 몬테카를로 모의실험의 목적은 사회과학 분야의 대용량 자료 분석에 적합한 결측처리기법과 벌점회귀모형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먼저 KCYPS(Korean Chidren and Youth Panel Survey) 자료의 특징을 모방하여 340개 변수와 2,000명 자료를 생성하고 MAR 또는 MNAR 결측 메커니즘으로 결측을 발생시켰다. 다음으로 완전제거법, k-NN 대체법, 또는 EM 알고리즘 대체법으로 결측을 대체하고, 대체된 자료에 LASSO, adaptive LASSO, 또는 MCP 벌점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결측 메커니즘(MAR, MNAR), 결측처리기법(완전제거법, k-NN, EM), 그리고 벌점회귀모형(LASSO, adaptive LASSO, MCP)으로 구성된 총 18개 조건에 대하여 100번 반복한 몬테카를로 모의실험을 실시하여 결측 대체, 변수 선택, 그리고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모형 평가 기준으로 결측 대체에 있어 일치율, 변수 선택의 경우 IC1, IC2, 그리고 예측 성능에 있어 정확도, AUC, Kappa 계수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결측 대체에 있어서는 k-NN이 EM보다 우수하였으며, 완전제거법은 벌점회귀모형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CP와 비교 시 LASSO와 adaptive LASSO의 변수 선택 및 예측 성능이 좋은 편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좀비의 기원과 변형: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종교에서 동시대 대중문화 상징으로

        노민정 종교문화비평학회 2023 종교문화비평 Vol.43 No.43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zombie from French Caribbean during the Atlantic Slave Trade and traces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until twentieth-century global popular culture. Particularly, this article illuminates how the latter twentieth-century zombies effectively imported the idea of infection and apocalypse into the concept. In analyzing the recent variant of the zombie, the article utilizes the contemporary assessment of biopolitics and Achille Mbembe (1957~)’s necropolitics. In the fir st half of the ar ticle, I explor e the etymology and ear ly usage of the word “zombie”. I show that the word originat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through the mixture of Central and West African religious culture as well as European religious beliefs. Since its birth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zombie transformed during the French colony of Saint-Domingue(1659~1804), Post-Revolution Haiti(1804~1914), and the US Occupation of Haiti(1915~1934) period. Specifically, Haitian Vodou religious elements and the zombie became clos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the popular cultural expression and images of Haitian Vodou and the zombie spread through Hollywood films in the US and to the world. Until 1968, the zombie mainly referred to lethargic and soulless bodies that labored under the spell of a bokor (or houngan, Haitian Vodou religious specialists), which reminded people of the history of slave trade and the regional culture of the Caribbean. However, George Romero’s The Night of the Living Dead(1968) introduced infectious zombies that attacked people, causing mass infection and bringing about the end of the world. Such forms of the zombie dominate the narrative of global popular culture on the zombie. In the latter half of this article, the focus is on the post-1968 zombie, especially on the elements of apocalypse and infection. Mbembe’s necropolitics is a concept that again invokes the historical reality of slavery and colonial domination. In addition, necropolitics also refers to the biopolitics of hier ar chy, w hich accompanies a r egime of p ower that selectively chooses whom to live or die. The right to live does not apply to everyone equally; rather, in the management of state and global infectious diseases and the human body, there are hierarchies among the living, deciding who is worth saving or not. The historicity and contemporary idea of the zombie can be seen as a deathly mirror image of the history and legacy of slavery, hierarchy between humans, and discriminatory distribution of the right to live, all of which permeates the contemporary transnational conditions of living. 이 글은 프랑스어권 캐리비안에서 탄생한 좀비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20세기 후반 등장하기 시작한 대중문화 속 좀비가 전염성 및 종말론적 요소들과결합하는 현상을 분석한다. 특히, 이러한 좀비 상징의 변용이 동시대의 생체권력(biopower) 및 네크로폴리틱스(necropolitics)와 관련해 어떤 함의를 가질 수있는지 살펴보았다. 이 글의 전반부에서는 좀비(Zombie)라는 단어의 어원과초기 용례를 살펴본다. 좀비는 대서양 노예무역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중서부 아프리카와 유럽의 종교문화가 결합하여 탄생한 개념이었다. 좀비는 프랑스식민지 생도맹그(Saint-Domingue)와 미군정기 아이티를 거치며 식민지 상황에서 보두(Vodou)와 연관되어 변형, 대중문화 속 재현을 통해 미 대륙 및 전 세계로퍼져 나갔다. 1968년 이전까지만 해도 좀비는 주술사의 지배 아래 있는 무기력한노예들로, 대서양 노예무역의 역사적 배경을 상기시키는 국지적이고 개별적인주술적 개념일 뿐이었다. 그러나 조지 로메로의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1968)》 이후 사람을 공격하여 좀비 바이러스를 대량으로 전염시켜 세계의 종말을 불러오는 좀비가 등장하고, 이후 좀비 내러티브의 주류로 자리잡는다.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이러한 1968년 이후 좀비의 종말론적 요소와 전염성에 주목하여 아쉴 음벰베의 네크로폴리틱스와의 접점을 모색하였다. 음벰베의 네크로폴리틱스는 아이티의 좀비 개념을 논의할 때 등장했었던 노예제와 식민지배의 역사와 직접적으로관련되는 개념이면서, 후기 좀비 상징을 논의할 때에는 전염병을 관리하는 생체권력의 선택적인 적용, 즉 각 개인의 생존의 권리를 차별하는 위계와도 연결되었다. 좀비 개념의 역사성과 변용을 논할 때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노예제, 인간사이의 위계, 그리고 이로 인한 생존권의 차별적인 부여는 대중문화의 흥미로운종교상징을 넘어 동시대 사회에 대한 죽음의 거울상으로도 볼 수 있다.

      • KCI등재

        지각된 위험 및 리뷰 진단성이 배달앱 수용에 미치는 영향

        노민정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0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stimulate or suppress the use of food delivery applications. As potential antecedent factors,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review diagnosticity, descriptive norms, and multidimensional risk perception. Based on this, users’ data were collected from major metropolitan cities where the food delivery application business is most active.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ed that users’ approach to food delivery apps becomes more favorable when the review diagnosticity and descriptive norms were improved and when the perceived multidimensional risk expected to be associated with app use is mitigated. Additionally, we found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se attitudes on the actual intention to accept delivery applications became weaker at higher levels of perceived risk. These empirical results ma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strategic and systematic guidelines for promoting the expansion of the recently emerging O2O service platform across diverse sectors. Name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has raised awareness regarding the strategic considerations that such new O2O service providers should take into account for their market positions, in addition to discovering factors that could aid the prompt expansion of the applications’ user base. 본 연구는 배달앱의 수용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요인의 탐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가능한 선행 요인으로 리뷰의 진단성 및 기술적 규범, 위험의 다차원적 지각 정도를 살펴보고 있는 본 연구는 실제 배달앱 비즈니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주요 광역도시 거주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시행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의 결과는 배달앱에 게재되어 있는 리뷰의 진단성 및 기술적 규범의 수준에 대한 인식이 향상될수록, 그리고 배달앱 사용에 수반되리라 예상되는 다차원적 위험 지각이 완화될수록 보다 우호적인 방향으로 태도가 형성되게 됨을 확인시켜 주었다. 아울러 이러한 태도가 실제 배달앱 수용의 의사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은 지각된 위험의 수준이 악화될수록 보다 완화되게 됨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러한 일련의 실증 결과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부상하고 있는 O2O 서비스 플랫폼의 수용 및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적 · 제도적 지침의 마련에 기여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즉, 최근 부상 중인 여러 신생 O2O 서비스 업체들의 시장 안착에 요구되는 전략적 고려 사항에 대한 인식 환기와 더불어 보다 신속한 사용자 저변의 확대에 이바지할 수 있는 동인들을 발견해 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개인의 혁신성이 인공지능 스피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 가계지출 통제력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민정,최민경 한국산업경영학회 2018 경영연구 Vol.33 No.1

        Prior research has shown that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PIIT) raises adoption intention and amplifies the influence of adoption intention with regard to the innovative products of various antecedent variabl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examining the type of mechanisms initiated by personal innovativeness before exhibiting a positive influence on adoption intention. This study accordingly aims to examine which psychological mechanisms are undergone by consumers who show a strong interest in information technology before actual adoption occurs for the product in question. In particular, the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ffecting adoption intention by examining the underlying mechanism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ve product and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risk perceptions. Furthermore,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 different aspects of innovation acceptance for products to be consumed by households by attempting to view such personal innovativene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akers that has just recently entered the market.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self-efficacy helps to alleviate the burden with regard to the time and effort consumed in the process of adoption. Second, the positive influence of such alleviation of time-risk burdens on compatibility with one's individual lifestyle as well as pre-purchase trialability helps to enhance the adoption intention. Third, the positive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adoption intention surrounding A.I. speakers was further amplified with the enhancement of purse string control. 기존의 연구들은 정보기술에 관한 개인의 혁신성향이 혁신제품에 대한 수용의사를 고양시키며, 선행변수의 수용의사에 대한 영향력을 증폭시킨다는 것을 보여준 바 있다. 그러나, 실제로 개인의 혁신성향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수용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살펴본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혁신성향이 높다고 알려진 소비자들이 어떠한 심리 메커니즘을 거쳐 해당 제품에 대한 수용의사를 드높이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기저의 메커니즘을 혁신제품의 특성 및 위험지각의 다차원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으로 어떠한 특성 차원들이 수용의사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제 막 시장도입기에 접어든 인공지능 스피커를 대상으로 개인의 혁신성향을 조망함으로써 가구 단위의 소비 제품일 경우에 혁신 수용이 어떤 다른 양상을 띠게 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총 200명의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혁신성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은 혁신수용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에 대한 부담(시간위험)을 덜어주고 있었다. 둘째, 시간위험의 완화가 구매 전 시용가능성 및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의 적합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수용의사를 증진시키고 있었다. 셋째, 개인의 혁신성향이 인공지능 스피커의 수용의사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은 가계지출에 대한 통제력이 증진될수록 보다 증폭되는 반면, 시용가능성이 수용의사에 미치는 영향력은 오히려 더욱 약화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