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각된 위험 및 리뷰 진단성이 배달앱 수용에 미치는 영향

        노민정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0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stimulate or suppress the use of food delivery applications. As potential antecedent factors,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review diagnosticity, descriptive norms, and multidimensional risk perception. Based on this, users’ data were collected from major metropolitan cities where the food delivery application business is most active.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ed that users’ approach to food delivery apps becomes more favorable when the review diagnosticity and descriptive norms were improved and when the perceived multidimensional risk expected to be associated with app use is mitigated. Additionally, we found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se attitudes on the actual intention to accept delivery applications became weaker at higher levels of perceived risk. These empirical results ma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strategic and systematic guidelines for promoting the expansion of the recently emerging O2O service platform across diverse sectors. Name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has raised awareness regarding the strategic considerations that such new O2O service providers should take into account for their market positions, in addition to discovering factors that could aid the prompt expansion of the applications’ user base. 본 연구는 배달앱의 수용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요인의 탐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가능한 선행 요인으로 리뷰의 진단성 및 기술적 규범, 위험의 다차원적 지각 정도를 살펴보고 있는 본 연구는 실제 배달앱 비즈니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주요 광역도시 거주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시행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의 결과는 배달앱에 게재되어 있는 리뷰의 진단성 및 기술적 규범의 수준에 대한 인식이 향상될수록, 그리고 배달앱 사용에 수반되리라 예상되는 다차원적 위험 지각이 완화될수록 보다 우호적인 방향으로 태도가 형성되게 됨을 확인시켜 주었다. 아울러 이러한 태도가 실제 배달앱 수용의 의사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은 지각된 위험의 수준이 악화될수록 보다 완화되게 됨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러한 일련의 실증 결과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부상하고 있는 O2O 서비스 플랫폼의 수용 및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적 · 제도적 지침의 마련에 기여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즉, 최근 부상 중인 여러 신생 O2O 서비스 업체들의 시장 안착에 요구되는 전략적 고려 사항에 대한 인식 환기와 더불어 보다 신속한 사용자 저변의 확대에 이바지할 수 있는 동인들을 발견해 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4)외국과 우리나라의 HACCP 적용 현황

        노민정,No, Min-Jeong 한국식품연구원 2001 食品技術 Vol.14 No.2

        외식, 단체급식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식중독의 발생이 날로 대형화, 다양화되어 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식품에 대한 철저한 위생관리가 요구되고 있다.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생관리 제도로 국제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란 식품원료의 생산단계에서부터 시작하여 제조.가공, 보존, 유통.판매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섭취할 때까지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소에 대해 조사.분석하고, 각 위해요소에 대한 방지 방법을 구축하여 계획적으로 감시.관리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고자 하는 체계적인 관리방법이다. HACCP 계획은 위해요소 분석, 중요관리점 결정, 한계기준 설정, 모니터링 방법 확립, 개선조치 방법 확립, 검증절차 확립, 기록 유지 및 문서화 방법 확립의 과정을 거쳐개발되며, 최종제품을 검사하는 기존의 사후 관리적 방식과는 달리 HACCP는 중요관리점을 확인하고 모니터링 함으로써 최종제품의 위생안전성을 담보하는 예방적 관리방법이다. 1960년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우주비행사들의 우주식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에서 시작된 HACCP는 현재 세계 각국에서 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제도로 평가받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개인의 혁신성이 인공지능 스피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 가계지출 통제력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민정,최민경 한국산업경영학회 2018 경영연구 Vol.33 No.1

        Prior research has shown that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PIIT) raises adoption intention and amplifies the influence of adoption intention with regard to the innovative products of various antecedent variabl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examining the type of mechanisms initiated by personal innovativeness before exhibiting a positive influence on adoption intention. This study accordingly aims to examine which psychological mechanisms are undergone by consumers who show a strong interest in information technology before actual adoption occurs for the product in question. In particular, the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ffecting adoption intention by examining the underlying mechanism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ve product and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risk perceptions. Furthermore,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 different aspects of innovation acceptance for products to be consumed by households by attempting to view such personal innovativene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akers that has just recently entered the market.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self-efficacy helps to alleviate the burden with regard to the time and effort consumed in the process of adoption. Second, the positive influence of such alleviation of time-risk burdens on compatibility with one's individual lifestyle as well as pre-purchase trialability helps to enhance the adoption intention. Third, the positive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adoption intention surrounding A.I. speakers was further amplified with the enhancement of purse string control. 기존의 연구들은 정보기술에 관한 개인의 혁신성향이 혁신제품에 대한 수용의사를 고양시키며, 선행변수의 수용의사에 대한 영향력을 증폭시킨다는 것을 보여준 바 있다. 그러나, 실제로 개인의 혁신성향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수용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살펴본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혁신성향이 높다고 알려진 소비자들이 어떠한 심리 메커니즘을 거쳐 해당 제품에 대한 수용의사를 드높이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기저의 메커니즘을 혁신제품의 특성 및 위험지각의 다차원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으로 어떠한 특성 차원들이 수용의사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제 막 시장도입기에 접어든 인공지능 스피커를 대상으로 개인의 혁신성향을 조망함으로써 가구 단위의 소비 제품일 경우에 혁신 수용이 어떤 다른 양상을 띠게 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총 200명의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혁신성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은 혁신수용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에 대한 부담(시간위험)을 덜어주고 있었다. 둘째, 시간위험의 완화가 구매 전 시용가능성 및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의 적합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수용의사를 증진시키고 있었다. 셋째, 개인의 혁신성향이 인공지능 스피커의 수용의사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은 가계지출에 대한 통제력이 증진될수록 보다 증폭되는 반면, 시용가능성이 수용의사에 미치는 영향력은 오히려 더욱 약화되고 있었다.

      • KCI등재

        고문자 書寫元素의 系統적 발전 방향에 대한 小考

        노민정 대한중국학회 2022 중국학 Vol.78 No.-

        한어(漢語)를 기록하는 언어부호로서 한자는 점진적으로 발전을 거듭하여 성숙한 문자체계를 갖추었다. 서사(書寫)의 측면에서 한자는 고문자 단계에서 서사원소(書寫元素)의 계통(系統)적인 발전 과정을 거쳐, 예서에서 한자의 기본 ‘필획‘이 완성되었다. 고문자 서사원소의 체계적인 발전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하나는 고문자 서사원소의 본질적인 변화이다. 이는 서사원소가 사물을 묘사하는 선에서 글자를 구성하는 선으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다른 하나는 고문자의 서사원소가 유형화되는 과정이다. 서사원소의 유형화를 통하여 소전에서는 자형에 사용된 모든 ‘선‘이 9가지 기본 대유형으로 귀납되었다. 이러한 고문자 서사원소의 계통적 발전 과정은 한자발전사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이를 통하여 한자는 예변(隸變)의 단계를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주의문제 유아와 일반유아의 실행기능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적응

        노민정,박혜원 인지발달중재학회 201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2 No.2

        실행기능이 일반 유아와 주의문제 유아의 기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유보 육기관에 재학중인 유아 50명과 담당 교사 그리고 통제집단 유아 101명을 대상으로 연구하 였다. 교사가 평정한 PAQ를 사용하여 교육기관 적응을 조사하였고 BRIEF-P를 통해 실행 통제 기능을 측정하였다. 비언어적 지능을 통제한 후, 집단별 유아교육기관 적응도의 각 하 위영역에 실행기능의 각 하위 영역이 미치는 영향력은 분석한 결과, 주의문제 유아들의 경 우 실행기능의 하위영역 중 감정조절과 작업기억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하위영역인 긍정적 정서와 자아상태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반유아들의 경우 실행기능 의 감정조절과 작업기억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하위영역 중 긍정적 정서와 또래 간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說文解字』 구성요소 ‘土’의 구성 의미 분석 연구

        노민정 대한중국학회 2024 중국학 Vol.88 No.-

        본 논문은 한자구형학을 이론적 기초로 하여, 구성요소 ‘土’의 구성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요소 ‘土’의 구성의미 분석을 위해, 『說文解字』에 수록된 소전 자형 중 ‘土’가 결합된 161개의 자형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문헌의 용례를 참고하여 이들 자형의 본의를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해당 자형들을 땅과 땅이름, 토양의 속성, 토지 경작과 치리, 건축물과 건축 관련 활동, 땅과 관련된 대상이나 사물, 땅과 관련된 활동의 여섯 가지 의미 범주로 귀납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요소 ‘土’의 구성의미 분포를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 ‘土’의 기본 구성의미인 ‘땅’을 중심으로 ‘땅에 존재하는 물질’, ‘땅으로부터의 생산물’, ‘땅을 기반으로 한 재창조’라는 세 가지 파생 구성의미로 확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고대 중국인들이 삶의 터전인 땅을 얼마나 중시했으며, 이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이를 통해 고대 중국인의 ‘土’에 대한 인지적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This paper,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hinese character structure studies(漢字構形學), aim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components(構意) of the structural element(構件) ‘土’. For this analysis, 161 Xiaozhuan characters containing the element ‘土’, as recorded in the Shuowen Jiezi(『說文解字), were selected as the study sample. The original meanings of these characters were analyzed by referencing examples from classical texts. During the analysis, the characters were categorized into six semantic groups: land and place names, soil properties, land cultivation and governance, buildings and construction-related activities, objects or things related to the earth, and earth-related activities. Based on this categorization, a detailed analysis of the semantic distribution of ‘土’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re meaning of ‘土’, signifying ‘earth’, extends into three derived meanings: ‘substances existing in the earth’, ‘products derived from the earth’, and ‘recreation based on the earth’. This study sheds light on how the ancient Chinese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earth as the foundation of their lives, and how they understood and utilized it. Furthermore, this paper provides a valuabl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ognitive concepts of ‘土’ held by ancient Chinese people, highlighting its significance in Chinese cultural and intellectua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