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단속성 안구운동과 낙상 관련 균형능력의 관련성 연구

        노미영(Mi-Young Roh)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단속성 안구운동능력과 균형능력과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65세 이상 정상노인 17명(MoCA 23점 이상)과 경도인지장애 노인 20명(MoCA 22점 이하), 총 37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인 단속성 안구운동 능력은 Dikablis 시선 추적기를 활용하여 단속성 안구운동 과제를 통해 전향성 단속성 안구운동 반응시간(pro-SRT)와 저항성 단속성 안구운동 반응시간(anti-SRT)을 측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인 균형능력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UG)와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ABC)을 측정하였다. 변인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단속성 안구운동 능력과 균형능력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결과, anti-SRT와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 pro-SRT와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지기능 수준에 따라 pro-SRT와 균형능력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규명할 수 없었다. 반면에 anti-SRT와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는 anti-SRT가 활동특이적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이 정상 노인 집단에 비해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에서 더욱 큰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삶의 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단일 요인보다는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는 맞춤형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ccadic eye movement ability and balance ability to prevent fall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7 normal and 20 mild cognitive impaired elderly people. The independent variable, visual function, was measured by pro-saccade reaction time(pro-SRT) and anti-saccade reaction time(anti-SRT) in pro/anti-SRT task using a Dikablis eye tracker, and the dependent variable,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by Timed Up and Go Test(TUG) and activity-specific balance confidence(ABC).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s between anti-SRT and ABC, pro-SRT and ABC.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SRT and ABC, indicating that the effect of anti-SRT on ABC was greater in the mild cognitive impaired elderly compared to the norma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 tailored and integrated approach involving multiple factors rather than a single factor is needed whe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falls that adverse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KCI등재

        안구운동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전전두엽 연결성에 미치는 영향: fNIRS 연구

        노미영 ( Miyoung Roh ),장태석 ( Taiseok Cha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3 체육과학연구 Vol.34 No.2

        [목적] 본 연구는 안구운동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전전두엽 연결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자발적인 연구 참여 의사가 있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10명을 대상으로 4주간 안구운동 프로그램(단속성 안구운동, 추적안구운동, 전정안구운동, 이접안구운동)을 시행하였다. 대상자 중 사후 검사를 받지 못한 2명을 제외한 총 8명의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반응키와 근적외선 분광분석기(fNIRS)를 활용하여 반응시간과 전전두엽의 연결성을 측정하여 안구운동 프로그램의 신경생리학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안구운동 적용 후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 <.05). 둘째, 안구운동 적용 전 반응시간 1.16초에서 안구운동 적용 후 0.91초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안구운동 적용 전보다 적용 후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전전두엽 연결성의 강도(좌측 OFC-우측 FPC, 우측 OFC-우측 FPC)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안구운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이 저하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뇌 기능 개선을 통한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ye movement exercise intervention on cognitive function and prefrontal cortex connectivity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Te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participated in eye movement exercise consisting of saccadic eye movement, pursuit eye movement, vestibular-ocular eye movement, and vergence eye movement for 4 weeks. Cognitive function (MoCA-K), reaction time during stroop task, and prefrontal cortex connectivity were measured using the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metric analyzer (fNIR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First,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eye movement exercise (p < .05). Second, reaction tim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16 to 0.91 ms after eye movement exercise. Third, the strength of prefrontal cortex connectivity (left OFC - right FPC, right OFC - right FPC)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ye movement exercise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through improvement of brain functional connection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KCI등재
      • KCI등재

        팀기반학습이 예비 스포츠지도자의 자기주도학습, 학습태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노미영(Mi-Young Roh),김수연(Soo-Yeo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3

        본 연구는 체육학과 전공 수업에 맞는 팀기반학습을 설계하고 적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학습태도 및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에 소재한 S대학교 체육학과 3학년 재학생 총 5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팀기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기반학습 적용 후 체육학과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수업 전보다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단, 자기주도학습의 하위요소인 학습결과평가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팀기반학습 적용 후 체육학과 학생들의 학습태도는 수업 전보다 수업 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셋째, 팀기반학습 적용 후 체육학과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는 수업 전보다 수업 후에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스포츠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실무중심의 팀기반학습은 예비 스포츠지도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습태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 중심의 팀기반학습은 전통적인 교수자 중심의 교육과는 달리 학생들의 학업능력향상에 유용한 교수학습 전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TBL)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major physical education cours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35 male and 17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physical education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15, 2016. SPSS 18.0 program used for Cronbach’s a,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t the completion of Team-based learning,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 a sub-fa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team-based learning unlike teacher-centered learning may be as a new learning method to improve learning ability and attitude of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스쿼시 포핸드 스트로크의 기술 수준에 따른 우측 상지의 관절간·관절내 협응형태의 정성적 분석

        노미영(Roh, Mi-Young),박승하(Park, Seung-Ha) 한국체육과학회 201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skill-based differences of coordination patterns of right upper limb in the squash forehand stroke. 4 experts and 4 novice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nd performed the forehand stroke in squash, Kinematic data on right shoulder, elbow, and wrist joint were acquired by VICON motion analysis system. The intra-joint and inter-joint coordination pattern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y the angleㅡangle plots and the angle-angular velocity plots,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while novices had a rectangular pattern in the shoulder-elbow joint"s coordination and a horizontal pattern in the elbow-wrist joint"s coordination, experts had a circular coordination pattern between shoulder and elbow, and, elbow and wrist, as well. Novices also could control the shoulder joint smoothly but didn"t control both elbow and wrist joint, in which joints sudden cessation and resumption of movement occurred. In contrast, experts showed the spring-like rotational control pattern and specially successive accelerations and decelerations pattern for distal joints, both elbow and wrist joint, before the impact moment. In conclusion, experts can more utilize the distal joint"s movement efficiently than proximal joint, and the strategies for control the velocity of distal joint"s movement at the impact.

      • KCI등재후보

        일 군병원에 내원한 난청 및 이명 장병의 청력손상에 관한 연구

        노미영 ( Mi Young Roh ),최성우 ( Seong Woo Choi ),이호준 ( Ho Jun Lee ),오송이 ( I Song Oh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15 군진간호연구 Vol.3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earing loss or tinnitus in a Korean military hospital. Methods: The subjects were 123 military officers and enlisted soldiers who had received treatment for hearing loss or tinnitus from May, 2014 to April, 2015. Data were collected using a 12 items questionnaire and pure-tone audiometry measurement. The authors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t-test, and ANOVA. Results: The main cause of hearing loss and tinnitus was shooting drills (56.1%), followed by unknown (23.6%) and noisy work environment (20.3%). 30.9%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used hearing protection equipment, 40.7% received hearing protection education, and 66.7% knew how to correctly use earplugs. Their symptoms included tinnitus (89.4%), difficulty in hearing (70.7%), ear-fullness (61.0%), and dizziness(11.4%). According to the ISO(1964) standards, the degree of hearing loss was 23.7% and 17.7% for left and right ear, respectively. Age, rank, and hearing los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ed hearing threshold. Conclusion: Military health workers need to standardize the preventive measures to effectively protect hearing of military personnel. The standard should include identification of causes of hearing loss, education on hearing protection, such as a correct use of protection devices, assessment of symptoms, and regular hearing check-up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