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상지질혈증 위험요인이 있는 성인의 영양상담 효과 평가

        남태영(Tae Young Nam),김정희(Jung Hee Kim)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4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9 No.1

        Dyslipidemia is a compon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s. Nutritioncounseling is important to improve dyslipidem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nutrition counseling in adults with risk factors for dyslipidemia diagnosed by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program. The nutrition counseling for adults with risk factors for dyslipidemia was carried out at a public healthcenter in Gyeonggi-do. Thirty four patients out of forty five participants in the program completed the nutritioncounseling program. The nutrition counseling was provided 3 times during a 12-week period. Individualizednutrition counseling to improve dietary habits was conducted after examining participants`` dietary intake throughquestionnaires about dietary habits and whether they practice dietary guidelines. Data about serum lipid profiles,body composition, nutrition knowledge, the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and dietary behavior were collectedbefore and after nutrition counseling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counseling. All data were statisticallyanalyzed by SPSS program (Korea ver.18.0)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evaluated by paired t-test and χ2-test. Body weight, body fat and WH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nutrition counseling. Total-cholesterol, TG, and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ut HDL-cholesterol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Both scoresof nutrition knowledge and the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improved significantly (p < 0.001). This study showsthat nutrition counseling helps to encourage healthy eating practices and to improve serum lipid profiles of adultswith risk factors for dyslipidemia.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nutrition counseling resulted in positive changesto lower the reliance on medications. Therefore, nutrition counseling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initial treatmentof dyslipidemia. (Korean J Community Nutr 19(1) : 27~40, 2014)

      • 전략 통합형 R&D를 위한 과학적 연구방법론에 관한 연구

        길영준,류지선,남태영,이찬희,김효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 연구보고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우리나라는 선진 기술경영 기법을 표면적으로만 받아들여 목표는 거창했지만 연구개발의 프로세스, 연구인력, 연구품질 등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내실화하지 못하여 기술개발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의 효율성이 낮았던 것은 누구나 인정할 것이다. 세계 최초 최고 기술로 승부하고, 세계를 상대로 경쟁해야 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제품개발 스피드를 높여 조금이라도 빨리 시장에 제품을 내놓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체질을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하고 주먹구구식 연구개발에서 탈피하여 고객이 요구하는 연구품질을 맞추어 한다. 최근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본격화되고 있는 6시그마 연구혁신 활동을 국가 차원으로 확산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면 국가과제의 기술 경영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6시그마 연구혁신 활동은 고객의 CTQ(Critical-To-Quality ) 최우선, 프로세스에 입각한 활동, 과학적이고 통계적인 사고방식 등 고객가치 창출을 위해 연구역량을 일류화 하여 세계 No 1, Only 1의 기술, 상품을 개발하려는 활동이다. DFSS(Design For Six Sigma), 기술로드맵, 기술Tree, QFD(품질 기능전개), TRIZ, 실험계획법(DOE), Value Curve 등 다양한 연구방 법론이 민간 기업에서는 활용되고 있으나 국책연구기관은 상대적으로 연구방법론의 활용도가 낮기 때문에 본 프로젝트를 통해 국가연구 개발 사업의 운영 역량을 높이기 위한 민간의 연구과제 선정, 목표설정, 연구품질 등에 대한 확산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 중에서 특히 최근 과기부, 산자부 등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기술로드맵(Technology Roadmap) 활동을 예를 들면 국가 연구개발과제를 과학적으로 선정하기 위한 활동으로서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나, 기술로드맵은 이미 1990년초 미국에서 소개된 3세대 R&D의 대표적 연구방법론으로 우리나라로서는 10년 정도의 격차를 보인다 할 수 있겠 다. 3세대 R&D는 1980년대 정보화 진전, 변화의 가속화에 따라 연구 과제의 성공이 바로 기업발전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자각에서 출발하였다. 그런 연유로 연구개발 부문에 고객만족, 사업전략과의 연계가 강조되기 시작했고 기술로드맵(Roadmap), 기술포트폴리오, 라이프 사이클 같은 키워드가 도입되었다. 최근(1999년) 미국에서는 4세대 R&D 가 소개되고 있어 우리나라 연구기획관리 능력이 선진국과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각고의 노력이 요구된다. 4세대 R&D가 지향하는 바를 한마디의 키워드로 표현한 다면 지배제품(Dominant Design)으로서, 지배제품의 확보를 위해서 기존의 R&D의 개념이 R&BD(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로 전환되어야만 한다. 즉, 단순히 연구개발 활동만을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어떻게 마케팅과 연계시킬 것인가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는 기술Roadmap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체계적으로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삼성종합기술원 지난 3년 동안 다양한 과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해 온 경험과 사례, 노하우를 집대성하여 널리 공유하기 위해 본 프로젝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연구혁신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혁신의 모델, 연구 부 문에 있어 혁신을 이루어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사례에 대한 소개로 이루어져 있다. 기업에서 활발히 진행되어온 연구개발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한 보고서에 의하면 선진기업의 연구소에서 조차도 3,000개의 아이디어 중에 1∼2개 정도의 성공밖에는 이룰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런 이유로 본 연구는 연구 활동에 있어서의 근원적인 문제점이 되어온 왜 많은 기업에서 연구 성과가 기업의 이윤에 기여하는 확률을 높이려고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해 보았다. 제1장에서는 연구개발의 패러다임 변화를 언급하였다. 지금은 4세대 R&D시대이다. 연구소의 일하는 방식이 4세대 R&D로 전환 되어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이를 위해서 2.5세대 수준에 불과한 우리나라의 연구개발은 근본부터 혁신을 이루어야 하며 국가 차원에서 연구개발의 혁신이 필요하다. 연구소 역할은 기존의 연구개발에서 더 나아가 기술혁신을 통한 고객가치 혁신(R&BD)으로까지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3세대 R&D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CTO(Chief Technology Officer)에서, 마케팅과 연계하면서 새로운 사업 분야로의 진출을 위한 역량을 높이고 가치 혁신을 창출하고 선도하는 CInO(Chief Innovation Officer)로의 변신이 불가피하다. 조직 구조 또한 변화가 필요하다. 새로운 지배제품(Dominant Design)을 창출·개발하는 Innovation Lab과 이를 시장에 응용시키는 Application Lab을 둘 필요가 있다. 민간기업에서는 연구개발을 추진해오고 있는지, 어떤 문제에 봉착하고 있는지, 또한 우리나라 R&D의 현 주소는 어떠한지를 확인하고, 그에 비해 선진기업들은 어떠한 연구개발 활동을 통하여 우위를 점하려 하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또한 반만년의 역사 속에서 우리나라의 연구개발에 대한 노력의 결과는 어떠하였는지, 그 성과는 무엇이었는지를 재조명해 봄으로써 우리의 우수한 과학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보다 과학적인 연구개발 방법을 수용하기에 충분 한 우리의 역량을 재조명해 보았다. 그러면 바람직한 연구혁신의 모델은 무엇일까? 수많은 사회 환경의 변화를 거치면서 연구개발에 있어서 국가와 기업의 대응도 상당한 움직임이 있었다. 산업 발달 초기 새로운 아이디어가 구현 될 때까지 연구자가 모든 것을 맡아서 진행하던 방임형으로 시작한 에디슨 시대의 연구는 전사적으로 연구개발을 관리하는 조직성을 보이다가 이제는 기업의 생존과 연구개발의 당위성을 부여하기 위해 고객의 요구와 함께 하는 R&BD(R&D with Biz.)형 연구 전략으로까지 진화해왔다. 오늘날에는 불량률 제로 달성을 통한 기업의 생산 효율성을 제고해오던 6시그마의 철학이 접목된 연구개발에까지 발전하게 되었고, 기업 활동의 성과를 현장에서의 효율성 향상에 앞서 연구개발 단계의 수준에서 향상시킴으로써 엄청난 혁신적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많은 연구 보고서를 통하여 증명되었다. 처음부터 올바른 것을 올바르게 라는 주장과 함께, 이러한 이유로 많은 선진 기업에서는 6시그마를 근간으로 하는 연구개발이나 혹은 나름대로의 연구개발 방법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과제의 주제인 전략 통합형 R&D를 위한 과학적 연구 방법론의 모델로서 삼성종합기술원이 추진하고 있는 6시그마 연구혁신의 기본 모델 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6가지 대표적 방법론에 대해서 상술하고 있다. 기술 로드맵은 장기적인 측면에서 중장기 전략과 목표를 공유하는 핵심적 연구 방법이다. 이를 통해 도출되는 과제의 계획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기술 Tree를 소개했다. 최근 국가 차원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기술로드맵을 보완하기 위한 차원에서 기술 Tree에 대해서는 부록에서 좀더 자세하게 상술하였다. 또한 실험계획법(DOE), 품질기 능전개(QFD), 창조적 문제 해결 기법(TRIZ)에 대해서 개념과 사례를 소개하였다. 삼성종합기술원은 수년간 6시그마 활동을 통하여 연구개발의 효율성의 극대화를 추구해왔으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독특한 전략통합형 R&D를 위한 과학적 연구 방법론 을 체계화하였다. 연구혁신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막대한 성과는 사내에서 진행해온 여러 과정을 통하여 증명된 바 있고, 이를 보다 체계화하고 활용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6가지 연구 방법론으로 구체화하였으며 이들 간의 상관관계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혁신시스템 혁신의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언하고자 있다. 기술 개발은 국가 발전의 성장 동력이다. 마이클 포터 교수가 지적한 것처럼 1990년대에 우리나라는 그 때까지의 투자주 도형(Investment Driven)에서 혁신주도형(Innovation Driven)으로 전환되었어야 했다. IMF 위기의 근본 원인도 어쩌면 제때에 연구 혁신을

      • KCI등재

        In Vitro/in Vivo Relationship of Gabapentin from a Sustained- Release Tablet Formulation: A Pharmacokinetic Study in The Beagle Dog

        이윤석,박천웅,남태영,오택운,전지웅,한상범,박은석,박세옥,이태원,이동수 대한약학회 2008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31 No.7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 vitro/in vivo relationship of the drug release behavior of a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of gabapentin. The immediate-release formulation was used as the reference formulation. The dissolution test was employed using pH 1.2, 4.0, or 6.8 buffer solution, or water, to determine the in vitro release behaviors of gabapentin tablets. Gabapentin was released completely within 1 h from the immediate-release tablet and released for 12 h from the sustained-release tablet. A single dose (600 mg) of each formulation was orally administered to four beagle dogs under fasted conditions, and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calculated. Although the sustained-release tablet did not disintegrate and had slow drug release characteristics, it showed similar pharmacokinetic parameters to the immediate-release tablet, which rapidly disintegrated and showed fast drug release. Thus, the in vivo release of gabapentin did not correlate with in vitro release of drug.

      • 산업단지 방류수를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기 위한 공정 비교 연구

        김광덕,김홍태,이태룡,강현성,남태영,서승우,정경호,조영탁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산업단지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자체 처리 후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하거나 산업폐수처리장을 통해 처리 후 방류된다. 산업단지 내 공급되는 공업용수는 인근 정수장에서 1차 처리 된 용수를 공급받고 있으며 세정용, 냉각용, 온ㆍ습도 조절용수 등으로 이용될 정도의 수질을 나타낸다. 제품생산용이나 공정용수의 경우 수질기준이 공업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처리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현재 공업용수의 공급 수질기준에 맞추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다양한 처리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방류수를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기 위하여 방류수 수질을 현재 공급되고 있는 공업용수의 수질기준과 비교 분석하고 재이용 방안으로 멤브레인공정과 이온교환공정을 적용하여 처리 수질 및 효율을 비교하였다. 먼저 pH, 총 증발잔류물, 총 경도, 철, 망간, 알칼리도, 염소이온, 탁도의 항목에 대한 산업단지 방류수 수질을 분석한 결과 pH, 철, 망간, 탁도의 경우 공업용수 공급기준과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총 증발잔류물, 총 경도, 알칼리도, 염소이온의 경우 높은 농도로 분석되어 처리되어야 할 항목으로 나타났으므로 실험실 규모의 반응조를 설치하여 위 항목에 대한 멤브레인공정과 이온교환공정 실험을 진행하였다. 멤브레인 실험 결과 UF막 실험에서는 전반적으로 제거효율이 낮게 나타나 단독공정으로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었고 NF막 실험에서는 총 경도, 총 증발잔류물, 알칼리도, 염소이온 항목에서 모두 좋은 제거 효율을 보였으나 염소이온의 경우 37.9mg/l로 다소 높게 유출되었다. 이온교환수지 실험 결과 양이온교환수지의 경우 총 증발잔류물 556mg/l, 염소이온 238.1mg/l, pH 2.9로 나타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음이온교환 수지의 경우 염소이온은 8.0mg/l로 처리가 잘 된 반면 pH 12.2, 알칼리도 598mg/l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증발 잔류물과 총 경도제거에도 좋은 효율을 보이지 못하였다. 두 이온교환수지를 2단으로 구성하여 순차적으로 접촉시켜본 결과 모든 항목에 걸쳐 만족스럽게 나타났으며 특히 두 공정 모두 문제가 되었던 pH의 변화도 기준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

      • 산업단지 방류수를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기 위한 공정 비교 연구

        김광덕,김홍태,이태룡,강현성,남태영,서승우,정경호,조영탁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1

        산업단지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자체 처리 후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하거나 산업폐수처리장을 통해 처리 후 방류된다. 산업단지 내 공급되는 공업용수는 인근 정수장에서 1차 처리 된 용수를 공급받고 있으며 세정용, 냉각용, 온・습도 조절용수 등으로 이용될 정도의 수질을 나타낸다. 제품생산용이나 공정용수의 경우 수질기준이 공업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처리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현재 공업용수의 공급 수질기준에 맞추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다양한 처리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방류수를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기 위하여 방류수 수질을 현재 공급되고 있는 공업용수의 수질기준과 비교 분석하고 재이용 방안으로 멤브레인공정과 이온교환공정을 적용하여 처리 수질 및 효율을 비교하였다. 먼저 pH, 총 증발잔류물, 총 경도, 철, 망간, 알칼리도, 염소이온, 탁도의 항목에 대한 산업단지 방류수 수질을 분석한 결과 pH, 철, 망간, 탁도의 경우 공업용수 공급기준과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총 증발잔류물, 총 경도, 알칼리도, 염소이온의 경우 높은 농도로 분석되어 처리되어야 할 항목으로 나타났으므로 실험실 규모의 반응조를 설치하여 위 항목에 대한 멤브레인공정과 이온교환공정 실험을 진행하였다. 멤브레인 실험 결과 UF막 실험에서는 전반적으로 제거효율이 낮게 나타나 단독공정으로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었고 NF막 실험에서는 총 경도, 총 증발잔류물, 알칼리도, 염소이온 항목에서 모두 좋은 제거 효율을 보였으나 염소이온의 경우 37.9mg/l로 다소 높게 유출되었다. 이온교환수지 실험 결과 양이온교환수지의 경우 총 증발잔류물 556mg/l, 염소이온 238.1mg/l, pH 2.9로 나타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음이온교환수지의 경우 염소이온은 8.0mg/l로 처리가 잘 된 반면 pH 12.2, 알칼리도 598mg/l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증발 잔류물과 총 경도제거에도 좋은 효율을 보이지 못하였다. 두 이온교환수지를 2단으로 구성하여 순차적으로 접촉시켜본 결과 모든 항목에 걸쳐 만족스럽게 나타났으며 특히 두 공정 모두 문제가 되었던 pH의 변화도 기준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