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남진연 ( Jin Yeon Nam ),김춘경 ( Choon Kyung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일상적 스트레스 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내재적 욕구 만족 변인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를 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 소재 초등학교 4, 5, 6 학년 499명이며, 연구방법은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내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애착변인들과 내재 적 욕구 만족은 정적 상관, 애착변인들과 내재적 욕구 만족은 일상적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애착, 모애착과 일상적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내재적 욕구 만족은 일상적 스트레스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또래애착과 일상적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내재적 욕구 만족은 가 족관련, 대인관계, 개인문제 스트레스에서 부분 매개를, 학업관련 스트레스에서 완 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들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insic Needs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daily stress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4th grade to 6th gra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elected 499 students staying in Dae-gu and Kyung buk using questionnaire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 attachment, the mot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intrinsic needs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s. And the father attachment, the mot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intrinsic needs satisfaction and daily str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 Second, intrinsic needs satisfaction of children mediated partly the effect that the father attachment, the mother attachment affects on their all sub-factors of daily stress. Third, intrinsic needs satisfaction of children mediated partly the effect that the peer attachment affect on their interpersonal stress, family stress and personal problems stress of daily stress. And intrinsic needs satisfaction of children mediated completely the effect that the peer attachment affect on their academic stress of daily stress. Through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for decrease of children’s daily stress. And also intrinsic needs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critical factor to decrease children’s stress.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 그릿,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

        남진연(Nam JinYeon),김춘경(Kim Choo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성인애착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그릿, 성장마인드셋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및 대구·경북에 소재한 대학 재학생으로 2019년 6월부터 9월까지 8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과 그릿과 성장마인드셋 매개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성인애착은 그릿, 성장마인드셋과 부적 상관, 취업불안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그릿과 성장마인드셋은 취업불안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성인애착과 취업불안 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모든 하위요인은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마인드셋 또한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growth mindse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job-seeking anxiety from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elected 834 students staying in Seoul, Gyeonggi, Daegu and Kyung buk using questionnaire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dult attachment, grit and growth mindse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 and the adult attachment and job-seeking anxie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s. And grit, growth mindset and job-seeking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 Second, grit mediated partly the effect that the adult attachment affect on their job-seeking anxiety. Third, grwoth mindset mediated partly the effect that the adult attachment affect on their job-seeking anxiety. Through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decrease the adult attachment for decrease of college student job-seeking anxiety. That is secure adult attachment is factor of decrease of college student job-seeking anxiety And also grit and growh mindset should be considered as a critical factor to decrease college student job-seeking anxiety.

      • KCI등재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상훈,진연,주유미,강수라,배수영,유제광,홍익표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2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CIST).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321 people who responded to the CIST for older adults living in Seoul City. Analysis of this study First, the unidimensionality assumption and local independence were investiga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econd, the partial credit model (PCM) among the Rash model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item fit and item difficulty. Thirdly, the differential items function was investigated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items due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Finally,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using the CIST and depression screening tool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 was 8048 (SD = 6.59) years, and there were 45 (14.02) males and 276 (85.98) females. Results of CIST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CIST's factor analysis, unidimensionality and local independence were assumed. Second, item fit through Rasch analysis was found to be fit for all six domains (0.6<MnSq<1.4, -2.0<ZSTD<2.0). In addition, the easiest item was orientation, and the most difficult item was executive function. Thirdly, in the differential item fun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tial item function only in the orientation item in sex. Finally, due to the discriminant validity investig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s low as -.11, showing good discriminant validity. Conclusion: We repor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of CIST. Si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IST have not been reported until now after the development of CI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ought to help researchers who want to use CIST. 목적:본 연구는 인지선별검사(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조사고하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일반인 대상으로 CIST에 응답한 32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총 321명이 응답 완료한 CIST 자료를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위한 첫 번째 단계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일차원성 및 지역 독립성(local independence)의 가정을 조사하였다. 두 번째로, 일차원성 및 지역 독립성의 가정을 완료한 항목을 통해 라쉬 모형 중 부분점수모형(Partial Credit Model; PCM)을 적용하여 항목 적합도, 항목 난이도 계층적 구조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항목 간에 개인 특성으로 인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차등항목기능을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80.48세(SD = 6.59)였으며, 남성이 45명(14.02%), 여성이 276명(85.98%)이었다. 본 연구의 신뢰도 분석 첫 번째 단계로 진행한 CIST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일차원성과 지역 독립성 가정을 모두 충족 하였다. 두 번째로 진행한 라쉬 분석을 통해 분석된 항목 적합도는 6개 영역 모두 적합(0.6 < MnSq < 1.4, -2.0 < ZSTD < 2.0)하였으며, 가장 쉬운 항목은 지남력, 가장 어려운 항목은 집행기능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성별에서 차등항목기능이 주의집중력 항목에서만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본 연구에서는 신뢰도를 분석하여 CIST가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인지선별검사도구로 적절한 평가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IST를 사용하는 연구자 및 임상가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이중과제 훈련의 인지기능 효과 : 체계적 고찰

        진연주(Jin, Yeonju),주유미(Ju, Yumi),상훈(Nam, Sanghun),배수영(Bae, Suyeong),홍익표(Hong, Ickpyo)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3 No.2

        목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이중과제 훈련의 인지기능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 검색으로 PubMed, Embas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1년 1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로는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ual-task” OR “combined cognitive and physical training”을 사용하였다. 문헌 선정의 절차를 통해 3,060개의 임상 실험연구 중에서 5개의 연구가 선택되었다. 선정된 연구들은 대상 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 비뚤림 위험 평가, 이중과제 유형 및 중재 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총 5개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방법론적 질 평가의 총점 평균은 6.2점으로 ‘양호’로 나타났다. 비뚤림위험 평가 결과 선정된 연구 중 3편에서 배정순서 은폐, 참여자 및 연구자의 눈가림, 불완전한 결과처리 영역에서 위험도 높음으로 평가되었다. 이중과제 훈련 유형으로는 모두 동시적 이중과제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주의 집중력, 실행기능의 인지기능과 인지 선별 검사에서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이중과제 훈련은 치매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환경에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이중과제 훈련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Objective : The study aims to review the dual-task training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 From January 2011 to September 2021, we searched the peer-reviewed manuscript related to dual-task training for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using the PubMed, Embase databases. The five studies were selected from the 3,060 clinical trial studies related to dual-task training. Selective studies were analyzed for the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PEDro) scale, risk of bias, dual-task training type, intervention effect. Results : The selected five studies was average total score of the PEDro scale was 6.2, ‘good’. Three studies showed a high risk of bias. The dual task training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cognitive function of attention, executive function, and cognitive screening evaluation. Conclusion :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ference for applying the dual task training to the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in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후기청소년 라이프코칭 집단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정지희,남진연,김세진,김윤희,차주환,방소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intervention program to provide post-adolescents wit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six program areas were derived by extracting component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and extensive reviews of previous studies as follows: career, time, interpersonal relations, economy, employment, and leisure. Then, a total of six sessions were designed on these program areas, and each session was 60-minute long.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post-adolescents’ competence and happiness, 13 participants were recruited. Pre and post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any changes in participants’ competence and happiness promotion activities. Resul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both competence and happiness.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support service that could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post-adolescents in building competence and happiness. We expect that variou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grams for late adolescents would be developed 본 연구는 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서⋅심리 지원을 포함한 집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후기청소년 심층인터뷰와 후기청소년 대상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총 6가지 영역이 도출되었다. 진로, 시간, 대인관계, 경제, 취업, 여가의 각 영역이 60분씩 진행되는 6회기 집단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이 후기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자를 모집하여 유능감과 행복증진활동에 대한 사전⋅사후 변화 차이를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참여자는 유능감과 행복증진활동 모두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어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후기청소년이 경험하는 문제에 따라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원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후기청소년을 위한 보다 다양한 정서⋅심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비대면 인지-운동 이중과제 프로그램개발: 델파이 연구

        배수영,주유미,진연,강수라,상훈,홍익표 대한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0 No.2

        Objective: This study applied the Delphi method to develop a non-face-to-face cognitive-motor intervention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dementia in healthy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1. First,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1, a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three researchers on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developments andDelphi surveys, after which the primary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first Delphi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21 to November 2021. The expert Delphi survey panel was divided intotwo groups: a professor group comprising occupational therapy professors from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and a researcher group comprising those who had more than 5 years of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experienceand students from the occupational therapy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developed and then revi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Delphi survey. Twelve non-face-to-face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sessions were finally developed.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on the modified intervention program to collect further opinions. Results: From the results of the first Delphi survey,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values for all 61 items wereabove the standard value of .5, so no items were deleted. However, the second Delphi survey, which collected adviceand opinions from the expert panel, modified the cognitive domain to match the task difficulty. The second Delphisurvey results had CVR values for all 65 items of .7–1.0 and stability of .5 or less, which indicated that the expertpanel's responses were stable. The degree of convergence was .125–.5, and the degree of agreement was .67–1.0. Conclusion: In this study, 12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 sessions were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review and Delphi surveys to provid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The cognitive-motor intervention programderived from this study could provid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based on task suitability, appropriatedifficulty, valid matching, and appropriate cognitive paradigms and domains. 목적 :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상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비대면 인지-운동이중과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는 문헌 고찰,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 개발,델파이 설문조사 과정을 거쳤다. 문헌 고찰은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세 명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어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검토하였으며 이후 1차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차 델파이설문조사는 2021년 10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진행되었다. 델파이 설문조사의 전문가 패널은 총 20명으로두 그룹으로 나누어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1그룹은 국내외 대학교 작업치료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노인연구를 1회 이상 수행하였거나 노인 기관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자이며, 2그룹은 노인 작업치료 임상 경력이5년 이상이거나 작업치료학 석사 및 박사과정 재학생인 자이다. 1차 델파이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결과를 바탕으로개발된 중재 프로그램의 수정과정이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12회기의 비대면 인지-운동 중재프로그램이개발되었다. 수정된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2차 델파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과 : 1차 델파이 설문조사의 결과에서는 61개 모든 항목의 content validity ratio (CVR)값은 기준값인 .5이상이었으므로 삭제해야 할 문항은 없었다. 그러나 전문가 패널의 조언 및 의견을 수렴하여 과제의 난이도와연결된 인지 영역을 수정했다. 2차 델파이 설문조사 결과 65개 모든 항목의 CVR값은 .7~1.0이었으며 안정도는.5 이하로 전문가 패널의 응답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수렴도는 .125~.5였으며 합의도는 .67~1.0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근거 기반의 중재를 제공하고자 문헌 고찰과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해 12회기의 인지-운동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인지-운동 중재 프로그램은 과제의 적합도, 난이도의 적절성,인지 패러다임과 인지 영역에 대한 매칭의 타당도가 적합하였으므로 근거 중심의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형성 모델(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과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략

        박지혁,박혜연,홍익표,한대성,임영명,김아람,상훈,박강현,임승주,배수영,진연,박지혁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4

        라이프스타일-형성 모델(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은 라이프스타일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해 준다. 라이프스타일은 결정, 실행, 습관화 단계를 거쳐 형성된다. 결정 단계는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이고, 실행 단계는 실제로 활동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두 단계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습관화라고 한다. 라이프스타일 형성 단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환경, 자원, 개인적 요소로 구분된다. 환경은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사회적 환경, 물리적 환경, 문화적 환경, 가상적 환경이 포함된다. 자원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건강적 자원, 시간적 자원, 경제적 자원, 사회적 자원 등으로 분류된다. 개인적 요소는 역량, 욕구, 가치가 포함된다. 역량은 할 수 있는 능력, 욕구는 현재 상태와 원하는 상태의 차이, 가치는 개인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뜻한다. 라이프스타일의 형성 단계에서 환경, 자원, 개인적 요소는 각 단계별로 서로간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전반적 과정을 흔드는 것을 사건이라고 하며, 개인적 사회적 사건을 모두 포함한다. 건강과 관련된 라이프스타일 요소는 신체활동, 식습관, 사회관계, 활동 참여이며, 이것들이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목표이다. Lifestyle-DEPER 모델을 기반으로 한 중재 전략 KEEP (지식, 경험, 평가, 계획[Knowledge, Evaluation, Experience, Plan])은 라이프스타일 형성 단계와 영향 요소들을 다면적으로 고려한 건강을 위한 중재 전략이다. 본 문헌을 통해 Lifestyle-DEPER 모델을 소개하고,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략(KEEP)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를 통해 Lifestyle-DEPER 모델과 KEEP 전략은 타당성과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s, Environment, Resources) model explains lifestyle formation. Lifestyles are shaped through the decision, execution, and habituation stages. Factors influencing the establishment of a lifestyle are categorized as environmental, resource, and personal. The environment encompasses our surroundings and social, physical, cultural, and virtual environments. Resources refer to what individuals possess, such as health, time,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Personal factors include competencies, needs, and values. At the lifestyle establishment stage, each of these factors influences a different stage. These collective processes are referred to as events, encompassing both personal and social events. Health-related lifestyle factors include physical activity, nutrition, social relationships,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These are the goals of lifestyle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strategy based on the Lifestyle-DEPER model, called KEEP (Knowledge, Evaluation, Experience, Plan), i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promoting a healthy lifestyle by considering lifestyle formation stage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introduces the Lifestyle-DEPER model and presents a lifestyle intervention strategy (KEEP) to promote health.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validate the practicality of the model after applying interventions based on the lifestyle construction model.

      • 일반적인 단면 형상의 물성치 해석 프로그램 개발

        강연철,진연,김정호,정성,김태주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일반적으로, 로터 블레이드와 항공기 날개의 보와 등과 같은 부재는 큰 세장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모델을 해석 시, 단면과 길이 방향상의 지배방정식을 수학적으로 분리하여 각 부분의 해석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단면 형상에 따른 물성치를 예측할 수 있는 2 차원 단면 해석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2 차원 단면해석의 경우 많은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면내 강성, 무게 중심, 관성 모멘트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개발되었던 CSMA(Cross-Section Modeling and Analysis)를 확장하여 빠르고 쉽게 단면을 모델링하고, 일반적인 형상까지 모델링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형상의 모델링 및 해석을 수행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Generally, rotor blades and beam structure have large aspect ratio. Thus, span wise and in-plane equations of these structures are decoupled from governing equation mathematically and analysis of each equation is independently carried out. So if engineer want to expect in-plane motion of these structures, they need to have a program be able to calculate in-plane properties. Although there are commercial programs for analysis, commercial programs does not give information related with in-plane properties likewise center of gravity, in-plane rigidity et al. In this paper, we complement and extend the CSMA, Cross-Section Modeling and Analysis, developed by researcher to show the efficiency modeling for not only blade shape but also general shape. As an example, modeling and analysis procedure in CSMA2 for cross-section of general shape is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