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2세 이하 아동의 제1대구치 복합레진 수복의 재수복률에 관한 연구

        정윤영,남옥형,김미선,이효설,최성철,Jeong, Yunyeong,Nam, Okhyung,Kim, Misun,Lee, Hyo-seol,Choi, Sungchul 대한소아치과학회 201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5 No.3

        Although the frequency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in children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 are insufficient researches about the rate of composite resin repair in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pair rat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in the permanent first molar in children under 12 years old. This study retrospectively analyzed 169 children treated with composite resin restoration in the permanent first molar from May 2014 to April 2015.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ooth, the repair rate was higher in the mandible than maxilla and in the left than right. In the classification of restoration, the repair rate was the highest in the class II cavity, and the repair rate was the lowest in the restoration of the occlusal surface only. Repair rate in two years was 14.8%, and repair hazard ratio decreased with age. The most common reason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replacement was the secondary caries (74.1%). Within the limits of study, the repair rate of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adul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refore, dentists should understand these characteristics and try to reduce the repair rate of composite resin composite restorations. 이번 연구의 목적은 12세 이하의 아동의 제1대구치 복합레진 수복물에 관하여 후향적 연구를 하여 재수복률을 평가하고자 함에 있다. 이번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4월까지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하여, 제1대구치에 복합레진 수복을 진행한 12세 이하의 환자 169명의 재수복률과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재수복률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제1대구치의 위치에 따라서 상악보다는 하악이 그리고 우측보다는 좌측에서 재수복률이 높았다. 와동의 종류에 따라서 2급 와동에서 가장 재수복률이 높았고, 교합면만 수복한 경우 재수복률이 가장 낮았다. 2년간의 재수복률은 14.8%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재수복의 위험도는 감소하였다. 재수복의 가장 주된 원인은 이차우식(74.1%)이었다. 아동의 영구치 복합레진 수복물의 재수복률은 성인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구치의 맹출도, 환자의 협조도 및 구강위생 관리능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KCI등재

        급여화 이후 복합 레진 수복 치료 패턴 변화 분석

        조상미,이고은,남옥형,이효설,최성철,김광철,김미선,Jo, Sangmi,Lee, Koeun,Nam, Okhyung,Lee, Hyo-seol,Choi, Sungchul,Kim, Kwangchul,Kim, Misun 대한소아치과학회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2

        대한민국에서 2019년 1월부터 만 12세 이하 어린이에 대한 우식 영구치 복합 레진 수복 치료가 급여화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 1월부터 2020년 3월까지 급여화 적용 전후의 강동 경희 치과대학병원에서의 만 12세 이하 영구치 복합 레진 치료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급여화가 시작된 2019년에 만 12세 이하 어린이 대구치 복합 레진 수복량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급여화 전후 치료 나이, 성별, 치아의 위치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와동의 형태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수용할 만한 생존율을 보이는 영구치 복합 레진 수복에 대한 접근성이 급여화로 증가함에 따라, 만 12세 이하 어린이의 초기 영구치열에서의 구강 건강이 증진될 것으로 보인다. Since January 2019, insurance coverage for caries treatment of permanent teeth using composite resin in children aged 12 and under has started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attern of permanent molar composite resin restoration aged 12 and under before and after the insurance coverage from January 2009 to March 2020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t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at Gangdong. Since the insurance coverage was started in 2019, the frequency of permanent molar composite resin restoration aged 12 and under has increased more than twice.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frequency of resin restoration by shape of cavit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insurance coverage,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s by patient age, gender and position of tooth. As accessibility to the permanent tooth composite resin restoration is increased by the insurance coverage, which shows a fair survival rate, it is expected that it could be able to secure oral health in the early permanent dentition aged 12 and under.

      • KCI등재

        소아에서 상하악골의 위치에 따른 상기도의 시상평면상 계측값의 연관성

        김숙희,고미자,남옥형,김미선,이효설,김광철,최성철,Kim, Sookhee,Ko, Mija,Nam, Okhyung,Kim, Misun,Lee, Hyoseol,Kim, Kwangchul,Choi, Sungchul 대한소아치과학회 201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5 No.3

        The respiratory function is relevant to the craniofacial growth and orthodontic diagnosis. The size of the pharyngeal airway was measured in lateral cephalometric view in children visited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15 to August 2017. A total of 74 healthy children (36 boys and 38 girls) aged 7 - 11 years (mean, 8.5 years) with a normodivergent facial patter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nteroposterior jaw relation measuring A point-Nasion-B point (ANB) angle. Lateral cephalometric data were used to measure the airway dimensions. The dimensions of the middle airway were significantly lower, reducing the upper airway space, in large ANB angle group than in other children, suggesting that children with large ANB angle have narrower airway space than others. 본 연구는 소아에서 상하악의 전후방적인 골격적 위치 관계에 따른 기도의 너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5년부터 2017년 8월31일까지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한 소아 중 정상적인 안면골격의 수직적 성장 양상을 보이는 7세부터 11세(평균연령 8.5세) 어린이 74명(남아 36명, 여아 38명)을 A point-Nasion-B point (ANB) 각도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어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을 통해 기도 너비를 비교평가하였다. 중기도너비, 하기도너비 및 기능적교합평면상에서의 기도너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큰 ANB각도를 지니는 군이 다른 군보다 기도너비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골격성 2급 부정교합을 지닌 소아들이 1급이나 3급 부정교합을 지닌 소아보다 기도너비가 더 작은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치아우식 활성 검사법의 유효성

        권도윤,김희진,남옥형,김미선,최성철,김광철,이효설,Kwon, Doyoun,Kim, Heejin,Nam, Okhyung,Kim, Misun,Choi, Sungchul,Kim, Kwangchul,Lee, Hyoseol 대한소아치과학회 201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5 No.3

        Periogen is a new caries activity test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alidity of Periogen by evaluating the correlation with dmft, dmfts indices and comparing with Cariview and caries risk assessment tool (CAT). 83 children under 6 participated in this study. Dmft, dmfts indices and CAT were collected through an examination of oral health status. Plaque samples for Periogen and Cariview were collected and manipul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s' instructio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Periogen, Cariview and CAT with the dmfts index were 0.38, 0.56 and 0.66 in each (p < 0.01). The sensitivity of Periogen, Cariview and CAT were 43%, 76% and 95% and specificity were 80%, 72% and 74% respectively. Area under curve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in each method indicated 0.69, 0.81 and 0.85. CAT and Cariview were more effective in evaluation the risk of dental caries than Periogen so far. To be used Periogen clinically, more improvements for higher validity were needed. Periogen은 실시간 PCR 방법을 이용한 우식활성 검사법으로, 치아우식 유발균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개개인의 치아우식 위험도를 평가한다. 이 연구는 소아에서 Periogen과 치아우식 경험 지수(dmft, dmft indices)와의 상관성을 평가하고, 기존의 치아우식 위험 검사법인 Cariview, 치아우식 평가 도구(Caries Assessment Tool)와 비교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만 6세 미만 83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시진을 통해 치아우식 경험 지수(dmft, dmft indices)가 기록되었으며, 간단한 설문 조사를 통해 CAT 평가 시행되었다. Periogen, Cariview는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치아우식 위험도 평가 시행되었다. 그 결과 Periogen, Cariview 그리고 CAT는 dmfts index와 상관계수가 각각 0.38, 0.56, 0.66을 보여 모두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1). Periogen, Cariview 그리고 CAT의 민감도와 특이도 분석의 경우, 민감도는 각각 43%, 76%, 95%를 보였으며, 특이도는 각각 80%, 72%, 74%를 보였다. ROC 곡선의 곡선하면적(AUC)는 각각 0.69, 0.81, 0.85를 보였다. Periogen의 경우 다른 기존의 두 가지 검사법에 비해 치아우식 위험도 평가에 있어 더 낮은 유효성을 보였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더 나은 유효성을 위한 개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The Effect of the Transmission of Coronavirus Disease-2019 on the Mentality of Parents and Children After the First Wave of Infections

        김정연,이고은,남옥형,이효설,최성철,김광철,김미선,Kim, Jeongyeon,Lee, Koeun,Nam, Okhyung,Lee, Hyo-seol,Choi, Sungchul,Kim, Kwangchul,Kim, Misun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2019의 전파가 학령기 아동과 부모의 심리에 미친 영향을 수면장애와 우울증의 측면에서 평가하는 것이었다. 2020년 4월 2일부터 2020년 4월 25일까지 강동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방문한 123명의 부모와 108명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직접 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참가자들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 7, Center for Epidemiology Scale for Depression 로 평가되었다. 로지스틱 회기 분석은 유의 수준 5%로 시행되었다. 부모의 GAD, 우울증, 낮은 수면의 질은 각각 34.1%, 17.1%, 44.7%에서 나타났다. 아동의 GAD 유병률은 20.4%였다. 로지스틱 회기분석 결과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안전재난문자로 인한 스트레스가 부모의 불안장애, 우울증과 관련이 있었다. 아동의 경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발생 이후의 감정 변화 정도가 GAD와 연관성이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2019의 유행으로 인한 어린이와 보호자들의 심리적 상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치과진료 시 이들의 심리상태를 고려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pread of a new type of coronavirus infection (COVID-19) on the mental state in school-age children and parents focusing on the aspects of sleep disorders and depress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23 parents and 108 school-age children who visited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at Gangdong from April 2, 2020 through April 25, 2020, via the direct writing method. Participants were assessed with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7, Center for Epidemiology Scale for Depression.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with a level of significance of 5%. The prevalence of GAD, depression, and poor sleep in parents were 34.1%, 17.1% and 44.7%,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GAD in children was 20.4%.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stress from Emergency Alert Messages about COVID-19 was associated with GAD and depression in parents. In children, the degree of emotional change after COVID-19 was associated with GA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the psychological status of children and guardians due to the epidemic of coronavirus disease-2019,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their psychological status during dental treatment.

      • KCI등재

        Management of Premature Loss of Primary Molars with Flexible Denture

        송기언(Kiun Song),남옥형(Okhyung Nam),김미선(Misun Kim),이효설(Hyoseol Lee),최성철(Sungchul Choi) 大韓小兒齒科學會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2

        Early loss of a primary second molar can cause mesial drift or tilting of the permanent first molar. We present a case of the early loss of the mandibular primary molars in a 5-year-old girl. The patient required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left primary first and second molars due to folliculitis on the successors. A flexible denture was used for eruption guidance of the permanent first molar and the recovery of masticatory function simultaneously. 제2유구치의 조기상실은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이나 근심경사를 야기할 수 있다. 5세 여아에서 다수의 하악 유구치 조기상실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계승 영구치의 소포염으로 인해 하악 좌측 제1유구치와 제2유구치의 발거가 필요하였다. 탄성의치를 이용하여 저작 기능을 회복하는 동시에 제1대구치의 맹출을 유도하였다.

      • KCI등재

        COVID-19으로 인한 2020년 대한소아치과학회 첫 온라인 제61회 종합학술대회 및 제54회 전공의 학술대회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 및 평가

        허란,이고은,김미선,남옥형,이효설,최성철,Herr, Lan,Lee, Koeun,Kim, Mi Sun,Nam, Okhyung,Lee, Hyoseol,Choi, Sungchul 대한소아치과학회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2020년 대한소아치과학회 제61회 종합학술대회 및 제54회 전공의 학술대회가 처음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ZOOM 플랫폼을 이용해 주최측의 독자적인 운영으로 진행되었다. 온라인 학술대회의 만족도 분석 및 평가를 위해 학회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Google Forms을 이용해 무기명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첫 온라인 학술대회 인만큼 학회 전 사전접속 테스트를 이용해 학회의 원활한 진행을 도왔으며, 그 결과, 사전접속 테스트가 도움이 되었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온라인 학회에 만족할 가능성이 높았다. 첫 온라인 전공의 학술대회 또한 전공의 발표자들과 연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어냈다. 온라인 학술대회는 종식 시기를 가늠할 수 없는 전염성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사회적 거리두기 및 방역수칙을 잘 반영한 좋은 선택이었다. The 61<sup>st</sup>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congress was hosted online for the first time in 2020 due to coronavirus disease-19. The congress was operated using the ZOOM platfor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feedbacks from congress participants via anonymous Google Forms online survey. A test meeting was previously organized before the actual congress to facilitate the smooth process and the participants overall showed high satisfaction.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est meeting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found it significantly helpful, which contributed overall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online congress. Abstracts were accepted from the current pediatric dentistry residents and the oral presentations were also held online for the first time. The presenters and the judges were overall very satisfied. In an unguaranteed situation of termination of coronavirus disease-19, the decision to conduct an online congress was a favorable option.

      • KCI등재

        장애인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 치료 후 정기검진 패턴에 따른 치과치료 결과 비교

        김지현 (Jihyun Kim),남옥형(Okhyung Nam),김미선(Misun Kim),이효설(Hyoseol Lee),최성철(Sungchul Choi) 大韓小兒齒科學會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2

        Special Health Care Needs (SHCN) patients need regular follow-up because of high incidence and severity of oral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ntal treatment outcomes of SHCN patients according to follow-up patterns. SHCN patients who were treated under general anesthesia (GA) at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06 to 2014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final samples comprised of 53 patients that were divided into regular (33 patients) and irregular (20 patients) follow-up groups according to their follow-up patterns. The type of dental treatment after GA during the follow-up periods were compared. In the irregular group, aggressive treatment including endodontic, prosthetic treatment, and extraction were predominant, compared with the regular group (p < 0.05). In addition, all patients who had dental treatment under GA in follow-up periods were in the irregular group (p < 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importance of regular follow-ups with SHCN patients and emphasize responsibilities of dentists for educating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장애인 환자는 구강질환의 높은 유병률과 그 심각성으로 인하여 치료 후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마취하에 치과치료를 받은 장애인환자의 정기검진 패턴에 따른 결과를 평가하고자 함이다.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를 초진 내원한 장애인 환자 중 전신마취하에 치과 치료 시행 후재내원한 환자 총 53명을 대상으로 재내원 패턴에 따라 정기적 그룹 33명과 비정기적 그룹 20명으로 나누어 검진 기간 동안시행된 치과 치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정기적으로 재내원한 그룹에서 치수치료, 보철치료, 발치치료와 같이 상대적으로 침습적인 치료가 많이 시행되었다(p < 0.05). 또한, 전신마취하에 치과 치료를 재시행 받은 환자군은 모두 비정기적 그룹에 해당하였다(p < 0.05). 본 연구의 결과는 정기적인 검진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치과의사들의 보호자와 환자 교육에 대한 책임감을 강조하고 있다.

      • 한국의 장애인 환자 치과 진료를 위한 국민 건강 보험 가산제도의 종류 및 청구 현황

        권도윤(Doyoun Kwon),남옥형(Okhyung Nam),김미선(Misun Kim),최성철(Sungchul Choi),김광철(Kwangchul Kim),최재영(Jaeyoung Choi),이효설(Hyo-Seol Lee) Asia association of Disability and Oral health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and Oral Healt Vol.14 No.1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dental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as implemented an additional point system of National Dental Insurance for dent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a special health care need (AI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status of AID in Korea using data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from 2011 to 2017. The basic consultation fee is increased by 9.03 points (713 won) for brain disorder, intellectual disability, mental disability, or autistic disorder. From 2011 to 2015, the number of claims with a basic consultation fee increased from 90,456 to 141,179. Dental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fee is increased by 100% of the defined insurance score for each of the 15 items. During the five years from 2012 to 2016, the number and amount of claims for each item increased steadily. Of the total claims for 5 years, endodontic treatment was highest, with 107,477 cases, followed by 51,641 cases of scaling. There are two types of dental safety observation fee, simple and complex. The simple safety observation fee is 10,370 won per day, and the complex safety observation fee is 20,750 won per day. Dental safety observation fees were charged 34 times in 2015, 14 times in 2016, and 41 times through May 2017. From 2011 to 2017, the number and amount of claims using AID for dental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creased.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registered dental users with disability was about 560,000 in 2016, the number of claims using AID is 1-20,000, which is less than 2% of registered dental users with dis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dental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cluding AID.

      • KCI등재

        Long-Term Outcome of Reattached Tooth Fragment in Permanent Anterior Tee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강호연,채용권,이고은,이효설,최성철,남옥형,Kang, Hoyeon,Chae, Yongkwon,Lee, Koeun,Lee, Hyo-seol,Choi, Sungchul,Nam, Okhyung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1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long-term outcomes of teeth treated with reattachment techniqu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wenty seven permanent anterior teeth from 21 patients treated with fragment reattachment were evaluated. Clinical photos and medical records were used to assess treatment outcomes. Effect of pulp treatment and the ratio of fragment on success rat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Detachment of fragment was observed in 17 teeth, and their duration of retention was 21.41 ± 23.39 months. Repeated trauma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causes of failure. Pulp treatment before reattachment did not affect the success rate (p > 0.05). The mean ratio of fragment was 0.482 ± 0.147, and the success rate was affected by the ratio of fragment (p = 0.018). The median retention time of the teeth was 72 months if the ratio was under 0.5, and 8 months for that of the other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ratio of fragment and retention time (p = 0.003). Reattachment can be a predictable treatment option for crown fracture in anterior tee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hen a fracture involves less than 50% of the clinical crown.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 및 청소년의 영구치 치관 파절시 파절편 재부착술의 추적 관찰 결과를 평가하고자 함에 있다. 21명의 27개의 영구치 파절편 재부착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사진, 방사선 사진 및 의무기록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파절편 탈락은 총 17개 치아에서 관찰되었으며 반복적인 외상이 가장 빈번한 실패 원인이었다. 파절편 재부착술과 치수치료 시행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 > 0.05). 평균 파절편 비율은 0.482 ± 0.147이며 성공률은 파절편 비율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018). 평균 파절편 유지 기간은 72개월이며 파절편 유지 기간과 파절편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003). 소아 및 청소년의 영구치 치관 파절시 파절편 비율이 50% 미만인 환자에서 파절편 재부착술은 예측 가능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