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기 군악대와 정훈음악

        남영희,이순욱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8

        The Korean War had distinct ideological and psychological warfare characteristics. Troop Information & Education activities unfolded in all directions as an indirect strategy of war. Music was also used as a strategic tool comparable to military strategy based on force. Music during the Korean War has a large tendency to be understood superficially or unilinearly. This is because they approached it within the simple frame of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the music activity as part of Troop Information & Education activity is Troop Information & Education Music.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military band and orchestras established based on the military that specifically realized the musical activities that were made as part of the Troop Information & Education Music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roop Information & Education Music during the Korean War. By examin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ilitary records, music records, and regional record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military band, the Naval Military Orchestra for Troop Information & Education Music, Army Orchestra, Korea Orchestra. The meaning, method, and substantive contents of Troop Information & Educ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each period, such as the colonial period,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war period. Troop Information & Education during the Korean War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the US Overseas Information Program, which confronted the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and music was mobilized for ideological warfare, information warfare, and psychological warfare. Military bands and military symphonies were actively mobilized for government and military events and pacification work. This becam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orchestra after the war.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in South Korea, the internal Cold War developed violently as division was structure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music as a national mobilization art in the process leading to the cultural cold war through the Korean War. 한국전쟁기 정훈활동은 사상전ㆍ심리전의 특성이 뚜렷했던 만큼 전쟁의 간접전략이었다. 전방위로 전개된 정훈활동에서 음악은 무력을 앞세운 군사전략에 버금가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이제껏 한국전쟁기 음악은 국가주의와 반공주의라는 단순한 프레임 속에서 피상적이거나 단선적으로 이해한 측면이 크다. 이 글에서는 정훈음악을 정훈활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음악활동이라 보고, 대표적인 정훈음악 단체인 군악대 및 군 교향악단의 실체를 파악하여 한국전쟁기 정훈음악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국방부와 각 군의 사료, 음악사료, 지역사료를 두루 살펴 명칭의 혼란이 깊었던 군악대와 전쟁 중 군대를 기반으로 창단한 해군정훈음악대, 육군교향악단, 한국교향악단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식민지시대와 해방기, 한국전쟁기를 거치는 동안 정훈활동의 의미와 방법, 실체적 내용은 각 시기마다 달랐다. 한국전쟁기 정훈활동은 냉전기 미국의 해외선전정책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정훈음악은 사상, 정보, 심리전에 적극적으로 동원되었다. 군악대와 군 교향악단은 정부와 군의 행사, 유엔 및 외빈 초청 행사를 비롯해 선무공작과 위무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정훈음악을 실천했으며, 전후 전문 연주단체로 발전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단정 수립 후 분단이 구조화된 이후 격렬하게 전개되었던 내부냉전이 한국전쟁기를 지나면서 문화적 냉전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국가동원예술로서의 음악의 역할과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등 음악교재 발간의 전통과 금수현의 음악교과서

        남영희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2 한국예술연구 Vol.- No.36

        Gum Su-Hyun’s New Middle School Music and New High School Music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published and distributed during the first postwar era of educational reform(제1차 교육과정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 publications from liberation and throughout that first postwar era, and to analyze Gum’s textbooks. During these periods,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was to ‘purify people’s emotions’ and to inspire patriotism. In response to the strong demand for new nation-stat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a country destroyed after the war, nationalism was overt in music education. Gum compiled textbooks to faithfully reflect this. The centralized curriculum system, designed and announced at the national level, continued until the late 1990s(제5차 교육과정기). The analysis of textbooks is necessary considering its dominant influence in teaching state-sanctioned social needs. 금수현은 해방기부터 음악교육과 매체·교재 발간에 적극적이었다. 문교부 검정 『남녀중학교용 새 음악교본』과 『남녀고등학교용 새 고등음악』은 제1차 교육과정기에 발간·배포되었다. 이 연구는 해방기부터 제1차 교육과정기 음악교과 교육과정과 교재발간의 맥락을 고찰하고, 금수현 음악교과서의 체재와 내용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해방기와 제1차 교육과정기 음악교육의 목적은 ‘국민 정서의 순화’와 정서·교양의 함양 및 애국심 고취에 있었다.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 또는 전후 파괴된 국가의 재건이라는 시대적 요청이 강하게 제기된 때였으며, 음악교육에도 국가주의적 목적이 함의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금수현의 교과서는 해방기의 전통을 바탕으로 제1차 교육과정기 음악교육의 목적을 충실히 반영한 텍스트다. 학교 음악교육의 목적과 방법이 여전히 국가주의적 인식 안에서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교육과정이 국가수준에서 결정·고시되는 중앙집권형 교육과정 체제는 제5차 교육과정기까지 이어졌다. 교과서는 국가가 제시한 사회적 필요와 명분을 제시하고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해 지식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배열한 매체다. 그 지배력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시기의 음악교과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보훈 의료지원 및 의료시설 활성화 방안: 경기 북부를 중심으로

        남영희,이현주 한국보훈학회 2022 한국보훈논총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 북부지역의 지역성 특성을 반영한 보훈대상자의 특성과 의료시설을 살펴보고 보훈 의료지원과 의료시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보훈대상자의 노령화가 가속화되고, 특히 지역적 특성으로 인한 낙후된 경기기 북부지역에 보훈 의료기관의 설립 또는보훈 위탁병원 지정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2022년 8월 기준 보훈대상자의 평균 연령이 71.2세로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국가유공자 중 독립유공자 본인이 93세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보훈대상자의 노령화 가속에 따른 보훈대상자의 수요에 맞춘 의료시설 확보와 의료지원 필요하다. 둘째, 경기 북부지역은 북한지역과 경계에 있는 군 접경지역으로 지역적 낙후와 의료시설의 취약으로 문화적, 경제적, 의료적 낙후에 대비한 의료시설과 의료지원 확보가 절실하다. 셋째, 경기 남부와 비교하면 경기 북부는 지역낙후도와 재정자립도가 매우 낮으므로 경기 북부권 보훈대상자를 위한 의료 인프라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경기 북부권에 보훈병원을 추가로 설립하기보다는 공공성을 강화하고 지방보훈병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민간종합병원을 위탁병원으로 지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부산의 정훈음악

        남영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한국민족문화 Vol.83 N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ality of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Music in Busan, the wartime capital during the Korean War. To this end, the activities of military bands and military orchestras, and the creation and dissemination of wartime songs were empirically examined. First, military bands and military orchestras were mobilized for consolation activities and military service for civilians and soldiers at home and abroad. Through concerts for foreign guests and UN forces, they contributed to building a wartime cultural front while advancing the level of culture and arts. Second, wartime national songs were composed at the private-public-army level. These songs were used as a strategy to promote national consciousness and patriotism as they were spread through the national singing movement. Third, wartime songs included in the wartime music textbook New Music directly revealed nationalism and patriotism. Song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d not show the perspective of approaching the phase of life triggered by the war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unilaterally carried through the logic of nationalist victory discourse, consolation and protection, life control and service. During the war period,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Music activities built a wartime cultural front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anti-communism and patriotism, implementation of democratic ideology, and unity and integration of the rear area. Music was created and distributed as a munitions comparable to military force, and i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olitical struggles and nation-building that continued during the war. 이 글에서는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에서 이루어진 정훈음악 활동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군악대와 군 교향악단의 활동, 전시 국민가요 및 전시동요의 창작과 보급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군악대와 군 교향악단은 민간인과 국내외 군인을 대상으로 위무와 선무공작에 동원되었으며, 외빈과 유엔군을 위한 연주를 통해 우리 문화의 선양이라는 방식으로 전시문화전선을 구축하는 데 일조했다. 둘째, 민관군 차원에서 이루어진 전시 국민가요의 창작과 국민개창운동을 통한 보급은 민족의식과 애국심을 고취하는 전략이었다. 셋째, 전시 음악교과서 『새 음악』 소재 전시동요는 국가주의와 애국주의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이들 동요는 전쟁이 촉발한 삶의 국면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는 시각을 보여주지 못하고 국가주의적 승전담론, 위문과 원호, 전시 생활통제와 봉사의 논리를 일방적으로 관철시키고 있었다. 전시 상황에서 정훈음악 활동은 반공주의과 애국주의의 강화, 민주주의 이념의 관철, 후방의 단결과 통합을 통해 전시 문화전선을 구축해 나갔다. 음악은 군사력에 버금가는 전투력으로 창작・보급되었으며, 전중기에도 여전했던 정치투쟁과 국가만들기에 적지 않은 역할을 수행했다.

      • KCI등재

        해방기 주한미군사령부 공보원 지역분관의설립과 문화 활동

        남영희,이순욱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8

        After World War II, the era of the Cold War began. The public relations activities of the US government have been further strengthened. Public information activities in South Korea were initially carried out through the USAMGIK’s Public Affairs Bureau.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outh Korean Interim Government, the newly established the Office of Civil Information in USAFIK continued the public affairs.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cultural activities promoted by the provincial branches of OCI based on two documents written by the USAFIK historical section and local newspaper artic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spects of cultural activities promoted by the provincial branches were diverse; art support activities, educational activities, public enlightenment and culture promotion activities, propaganda activities, and local community-related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provincial branch offices very organized in the local community, and that cultural activities in the for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region were promoted.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시대를 맞이하면서 미국 정부의 공보 활동은 한층 강화되었다. 남한에서의 공보 활동은 미군정 공보국을 통해 이루어지다가 남조선과도정부 수립 이후에는 주한미군사령부 공보원에서 이어가게 된다. 이 글에서는 먼저 주한미군사령부 군사실에서 작성한 문서를 통해 공보원 지역분관의 설립 과정과 역할을 고찰하였다. 주한미군사령부 공보원은 미국의 메시지와 미국 정부의 정책을 전달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11곳의 지역분관을 설치하였다. 공보원에서는 세계뉴스, 농민주보 등의 매체 발간, 미국 관련 자료의 번역과 배포, 강연과 전시 등 직접적인 대민 접촉 활동에 주력했다. 따라서 주요 지역 11곳에 설치된 지역 분관은 공보 활동의 주요 거점으로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공보원 지역분관의 문화 활동을 각 지역 신문 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11곳의 지역분관에서 문화예술 지원 활동, 교육 활동, 대중계몽과 교양 증진 활동, 선전 활동, 지역사회 연계 활동과 같은 다양한 양상으로 문화 활동을 전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종합해 볼 때, 해방기 주한미군사령부 공보원에서는 지역분관을 문화정치의 거점으로 삼아 문화 활동을 기획하고 실천하였음을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교통사고에 의한 손상 위험 요인

        남영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raffic accident(TA) risk factors. The medical institution checks the medical records of the traffic accident to determine in particular factors of factors such as human,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t's meant to help provide appropriate emergency treatment in case of TA to lower injury severity. For this purpose, 1649 cases of TA patients were collected. These patients were hospitalized in three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have been hospitalized for the past yea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20.0.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average age was 41.7(±18.94) years old, and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6:4. A means of traffic accidents by which they causative agent was identified as the major factor that affected the injury severity of TA, and age, hospital-visit means, hospital-visit passage of injury were also influential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prevent a hurt from a TA, preventive education tailored to different age groups are required, and emergency treatment and swift transfer are quite important to lower injury severity. 본 연구의 목적은 교통사고에 의한 손상 위험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환자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교통사고가 인적, 물적, 환경적 등의 요인 중 특히 어떤 요인에 기인하여 발생되었는지를 밝히고, 각각의 요인별 손상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교통사고의 발생률 및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예방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수도권에 소재한 3곳의 의료기관에서 지난 1년간 교통사고로 입원한 환자 1,649건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Ver. 20.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평균 연령 41.7(±18.94)세로 남녀의 비율은 6:4 정도로 남자의 비율이 높았다. 교통사고 손상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인적 요인의 연령, 물적 요인의 교통사고 유발매체, 환경 요인의 내원경유와 수단, 손상활동이며, 기타 요인은 손상직후 의식상태, 의사소통, 입원경로였다. 따라서 교통사고에 의한 손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연령대별 맞춤형 예방교육이 요구되며, 손상중증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교통사고 발생 시 적절한 응급처치와 신속한 이송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외국인 손상환자의 비의도적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영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jury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oreigner in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for unintentional injury and to seek prevention measures. The research method collected data from 86 foreign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for one year from January 1, 2015 to December 31, 2015 at one medical institution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analysis used SPSS Ver. 21.0.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ratio of men to women was 8:2, and the injury diagnoses were in the order of head/face injury (S00-S19), upper limb injury (S40-S69), and chest abdomen injury (S20). Injury types were in the order of sprain/dislocation, laceration/bite/open wounds, and the fracture. Injury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department, BMI, place of occurrence of injury, activity of occurrence of injury, principal diagnosis, external injury, and ICISS. The factors of injury risk for foreigner inpatients were also identified as the place of occurrence of injury, activity of occurrence of injury, principal diagnosis, external injury, and ICISS. In conclusion, foreigners living in Korea were found to be injured during work for income at work, and in order to prevent injury to foreigne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long with regular safety and health strengthening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비의도적 손상사고로 입원한 외국인 환자의 손상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여 국내거주 외국인의 손상 예방책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경기도의 일개 의료기관에서 2015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1년간 손상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외국인 환자 8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Ver. 21.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남녀비율은 8:2로 남성의 비율이 여성에 비해 매우 높았고, 다빈도 손상진단은 머리/얼굴손상(S00-S19), 상부사지손상(S40-S69), 가슴복부손상(S20-S39)순이었다. 손상유형은 염좌/탈구, 열상/물린상처/개방창, 골절 순이었고, 성별에 따른 손상특성은 진료과, BMI, 손상발생장소, 손상활동, 주 진단, 손상외인, 손상중증도(ICISS)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외국인 손상환자의 손상위험 요인으로는 손상발생장소, 손상 시 활동, 주 진단, 손상외인, 손상중증도(ICISS)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국내 거주 외국인은 주로 근무지에서 소득을 위한 작업 중 손상을 입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인의 손상예방을 위해서는 주기적인 안전보건 강화 교육 실시와 더불어 작업환경 개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과 전시음악사회

        남영희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activities of the wartime music society that took place in Busan, the provisional capital of Sou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The port city of Busan is rich in cultural assets that have been built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Based on this, even before the war, various activities were actively conducted in the Busan. In addition, Busan musicians served as patrons for musicians from all over the country to escape the war. These factors support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wartime music society in Busan and became the basis for various musical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wartime music society, the reorganization of the Busan music society also took place. The activities of teacher-musicians and amateur musicians, who played a large part in the Busan music societ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declined after the war. Some musicians were sacrificed to anti-communist ideology during the war. After the war, the Busan music society was newly formed around musicians who remained in Busan without returning to Seoul and musicians who moved to Busan. While Yun Isang, Gum Su-Hyun, Bae Doh-Soon, Lee Sang-Keun, Kim Jeom-Duk expanded their activities in Seoul. The Wartime Composers’ Association and the Experimental Music Association were organized during the Korean War. The activities of these groups were examined through empirical data such as pamphlets and newspaper articl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new experiments were attempted to pursue the diversification of composition and to explore the essential value of music. It can be said that music during the wartime was used for anti-communist ideology and nationalistic logic, while activities to pursue the inner value of music were developed together. This study confirmed that Busan musician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new the music society after the war by actively interacting and cooperating with the wartime music society. 이 논문에서는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에서 펼친 전시음악사회의 활동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개항도시 부산은 근대계몽기부터 문화적 자산을 구축해 왔으며, 해방 이후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 지역 음악사회를 형성해 나갔다. 한국전쟁은 문화의 지역재편을 통해 부산음악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부산음악인의 피란음악인에 대한 후원은 전시음악활동의 기반으로 작용했다. 전시음악사회의 형성과 전개 과정에서 부산음악사회의 재편도 가파르게 이루어졌다. 해방기 부산음악사회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던 교사-음악가와 아마추어 음악인들의 활동은 전쟁기 이후 쇠퇴하였으며, 일부 음악인은 반공 이데올로기의 칼날에 희생되기도 했다. 전후 부산에 잔류하거나 부산으로 이주한 음악인을 중심으로 부산음악사회가 새롭게 형성되었으며, 금수현, 윤이상, 배도순, 김점덕 등은 서울에서 활동 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전중기 결성한 전시작곡가협회와 실험악회의 활동을 실증적으로 고찰한 결과, 창작활동의 다각화를 추구하고 음악의 본질적 가치를 모색하는 새로운 실험을 시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전중기 음악은 반공주의와 국가주의의 자장 안에서 전시문화전선의 구축에 동원되는 한편 음악의 내적 가치를 추구하는 활동을 함께 전개한 셈이다. 이 연구를 통해 피란음악인이 전후 부산음악사회의 성장을 일방적으로 견인했다고 보는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부산음악인들과 피란음악인들의 상호교류와 협력을 통해 전시음악사회를 형성하고 활동을 전개해 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제껏 단체명만 거론되었던 전시작곡가협회와 실험악회의 결성 동기, 구성원, 활동 양상을 실증자료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전시 부산음악의 실체를 해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군가와 국민국가 만들기

        남영희 한국문학회 2024 韓國文學論叢 Vol.96 No.-

        이 연구에서는 한국전쟁기 군가의 창작과 보급 현황, 전쟁 상황의 변화에 따른 군가의 보급 배경과 목적을 고찰하고, 군가의 노랫말을 분석하여 군가가 상상하고 노래하고자 한 실체적 대상이 무엇인지 규명하였다. 먼저, 군가와 군가 보급의 사회적 맥락을 파악한 결과, 한국전쟁기 군가의 창작과 보급은 전황에 따라 달라졌다. 전쟁 초기 군가는 일선 장병의 정신무장을 강화하고 승전의지를 고취하는 결전음악의 꽃이었다면, 1951년 7월 휴전회담이 시작되고 전쟁이 장기전에 돌입하면서 후방사회에서 군민동체(軍民同體)를 실현하는 주요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전쟁기에 발간된 군가집 3종 소재 군가 72곡의 노랫말을 분석하였다. 전시 군가의 창작과 보급은 정신무장 강화와 군민동체 구현을 위한 국가의 문화정치적 장치였다. 이러한 점에서 노랫말의 의미를 승전의지와 호국정신, 반공이데올로기 강화라는 단순한 프레임으로 이해할 수는 없다. 이 시기 군가는 한국전쟁이 자유와 정의,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성스러운 전쟁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여 전쟁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민족주의적 상징을 호출하거나 공산당과 중공군을 비민족으로 타자화함으로써 민족 내부의 결속력을 강화하였으며, 국토사랑과 국토회복 의지로서의 통일을 내세웠다. 국민과 국토가 국가의 인격적․공간적 실체라는 점에서 군가는 군민동체의 결집력을 기반으로 국민국가 만들기(Nation-State Building)를 실현한 효과적인 미디어였다. 여기에는 필연적으로 배타적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한 애국심이 작동했다. 전시라는 특수상황에서 상상된 국민국가는 추상적 신성을 지니며 무조건적인 충성과 희생을 요구하고 전시국민들의 삶을 규율했다. 이처럼 한국전쟁기 군가란 노래의 얼굴을 한 국가(國家)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eation and dissemination of military songs during the Korean War, how the purpose of their dissemination changed with the changing war situation, and to analyze the vocabulary and expression of military song lyrics to identify the entities that military songs were intended to imagine and sing. First,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social context of military songs and their dissemination. This revealed that military songs during the Korean War were an effective tool for structuring wartime emotions. In the early days of the War, military songs were used to strengthen the mental armor of the battlefield and to inspire a sense of determination. After mid-1951, as the ceasefire meeting began and negotiations entered into a protracted war that stretched far into the distance, military songs changed from the flower of battle music to the primary means of realizing Military-Private One Flesh in postwar society. Next, the lyrics of 72 military songs from three military song collections published between 1951 and 1953 were analyzed. The creation and dissemination of wartime military songs was a cultural and political device of the state with the aim of uniting front and rear societies, strengthening mental armament, and national reconstruction. In this regard, the meaning of the songs cannot be understood through a simple frame of nationalistic victory discourse, patriotic spirit, or anti-communist logic. Military song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secured the war's legitimacy as a holy war to defend freedom, justice and peace; strengthened internal national cohesion by invoking nationalistic symbols or establishing the Communist Party and the Chinese Communist Army as non-nationals; and presented unity as love for the homeland and the will to restore it. Considering that the people and the homeland are the personal and spatial entities of a nation, respectively, Military Songs was a strategy to realize nation-state building based on the cohesion created between the military and civilians as if they were one. Patriotism based on exclusive nationalism was inevitably at work here. The nation-state created in wartime had an abstract sanctity and regulated life, demanding unconditional loyalty and sacrifice as a matter of course. Military Songs of the Korean War period can be characterized as a nation with a song 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