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냉전기의 ‘전쟁’에 대한 일본문학의 상상력 - 무라카미 류의 『반도에서 나가라』의 ‘폭력’을 중심으로 -

        南相旭 한국일본학회 2016 日本學報 Vol.108 No.-

        이 글의 목적은 무라카미 류의 『반도에서 나가라』를 통해서 포스트 냉전기 일본문학의 폭력에 대한 상상력을 검토해보는 데 있다. 이제까지의 선행 연구가 본 작품을 90년대 이후 일본의 대북한 인식과 관련해 논했다면, 이 글에서는 본 작품을 포스트 냉전기 새로운 전쟁 형태로서의 ‘글로벌 내전’을 문제화했다고 파악한다. 북한군에 의한 후쿠오카 점령을 가상한 『반도에서 나가라』는, 냉전기 일본의 지나친 대미 의존이 어떻게 비정규군의 전쟁이 일상화되는 탈냉전기에 대한 대응을 못하게 하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행해지는 잔혹한 폭력을 통해서 이에 대응하지 못하는 일본의 위기관리 능력의 부재를 드러내고자 한다. 결국 국가적 위기를, 국가 질서의 바깥에 있는 반지성주의적이며 폭력적 성향의 마이너리티를 통해서 극복하는 이 소설은, 포스트 냉전기 일본의 자기 보존력이 위기에 휩싸여 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imagination of violence in Japanese literature in the post-Cold War period through “get out of the peninsula” by Ryu Murakami.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with regard to ​​Japan's recognition of North Korea in work published since the 90s, this article aim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is work about “global civil war” as a new form of war, in the post-Cold War years. “Get out of the peninsula” is a work of virtual fiction about the future occupation of Fukuoka by the North Korean army. The author shows that relying on the US in the Cold War resulted in the Japanese delaying their response to war during the time of the post-Cold War, a tactic that is commonplace in the case of war by irregular troops. Now the Japanese crisis also reveals the lack of risk management skills to handle the brutal violence carried out regardless of age or sex. This fictional work portraying a national crisis that can eventually be overcome by a minority with anti-intellectual and violent tendencies outside of their national borders shows that Japan faces a crisis of self-retention in the post-Cold War years.

      • 전라북도 중학교 교사들의 정보 기술 활용 능력

        남상욱,이상봉,이좌택 한국기술교육학회 200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 No.2

        This study was to know that how much haver the junior high school teacher's competence in utilizing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Jeollabuk-do province.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ies, the information distribution abilities and the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ies of the junior high school teacher's in Jeollabuk-do, which are based on sex, age and a main teaching subject.The mail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our hundred thirty samples were randomly selected 4,506 population. The rate of response was 89.5%. Instrument consists of 16 questions about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ies. Questions are composed of Likert-type 4 scale questions.T-test, ANOVA, multiple comparison and so on were applied at the significance of level 5%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SAS 8.1 was used.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1. In general, utilizing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ies of Jeonbuk junior high school teachers were low.2. In general, utilizing information distribution abilities of them were high.3. In general, utilizing informaiton management abilities of them were low.

      • KCI등재

        현대일본의 ‘반지성주의’ 담론 분석

        남상욱 한국일본학회 2019 日本學報 Vol.0 No.119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ssue of accepting the concept of ‘Anti-intellectualism’in Japan's discourse space in the mid-2010s, focusing on the magazines “Gendaisisho”and the book “Japanese Anti-intellectualism”.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addressed in the current article: What are the problems in the modern Japanese society, what political structure has been exposed through the use of the term ‘Anti-intellectualism’and what are hidden at the same time? In Japan, ‘anti-intellectualism’emerged to present intellectual and moral depravity in the words and actions of politicians such as Shinzo Abe and Taro Aso as evidences of crisis in democracy. As Masahiro Noguchi pointed out, their words and actions are supported by the voluntary obedience of bureaucrats and politicians who want to live on the legitimacy of governance through elections to avoid certain conflicts. The discourse of ‘Anti-intellectualism’ostensibly refers to the decline of intelligency of some politicians and the general public in support of them ; however, that represent an affirmation of state, and a desire to restore state’s normal functioning. In other words, ‘anti-intellectualism’ in Japan emerged as a term to reveal elements that posed a great threat to the continuation of ‘state’ in Japan. The term ‘anti-intellectualism’ served as an element to raise the question in people’s mind that ‘what is a state and what should it be?’ Finally, the discourse of ‘anti-intellectualism’ sometimes creates opposition to intellectual monopoly, but it ironically reveals that such monopoly has not been easy. The ‘Anti-intellectualism’ discourse is negative about the resistance to the monopoly of intellectuals' knowledge, in fact it ironically reveals a situation where monopolization of knowledge by intellectuals is not easy. From these considerations, we can confirm that ‘anti-intellectualism’ in Japan is not only a subject itself, but also an issue of the political system, and is an term that even reveals changes in members' attitudes toward the state and the ‘intellectual.’ 이 글에서는 2010년대 중반 일본의 담론 공간에서 ‘반지성주의’라는 개념의 수용의 문제를 잡지 『겐다이시소』와 단행본 『일본의 반지성주의』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즉 이 글에서는 ‘반지성주의’라는 용어의 사용을 통해 드러나는 현대일본 사회와 정치 구조의 문제들은 무엇이며, 그와 동시에 무엇이 감춰지는지를 묻고자 한다. 일본의 ‘반지성주의’는 아베 신조나 아소 타로 같은 정치인의 언행 속에 보이는 지적, 도덕적 타락을 민주주의의 위기의 증거로서 제시하기 위해 출현했는데, 노구치가 지적하고 있듯이 그들의 이러한 언행은 다양한 가치관의 대립을 회피하기 위해 통치의 정당성을 선거를 통해 연명하고자 하는 정치인들에 대한 관료들의 자발적인 복종에 의해 지탱된다. ‘반지성주의’ 담론은 겉으로는 일부 정치인과 그를 지지하는 일반대중의 ‘지’의 퇴락을 얘기하고 있지만, 실은 그 이면에 국가라는 존재에 대한 긍정과, 그것의 정상적인 기능 회복에 대한 염원이 담겨져 있다. 일본에서 ‘반지성주의’는 일본이라는 ‘국가’의 지속에 큰 위협이 되는 요소를 드러내기 위한 말로서 출현하여, 그것을 통해 ‘국가란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가?’ 라는 문제로 사람들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반지성주의’는 기득권 유지의 도구로서 전락한 ‘지’에 대한 실망감과 그곳으로부터 소외되었다고 하는 원한의 정서를 드러내는 한편, ‘지’가 더 이상 일부에 독점되지 않게 된 상황을 드러내는 말이기도 하다. 요컨대 ‘반지성주의’ 담론은 일견 지식인들의 지의 독점에 대한 반발을 문제시하지만, 실은 그 이면에 지식인에 의한 지의 독점이 쉽지 않아진 상황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서 일본에서 ‘반-지성주의’는 그것으로 호명되는 대상 그 자체만이 아니라, 그것을 허용하는 정치 제도의 문제이며, 나아가 국가와 ‘지’에 대한 구성원들의 태도 변화까지도 드러내는 시대적 용어임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소아 간질의 약물 치료

        남상욱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8

        Epilepsy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disabling neurologic disorders in childhood. The primary goal of epilepsy treatment is to choose the treatment modality that provides the best chance of improving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o classic antiepileptic drugs, newly developed antiepileptic drugs ketogenic diet, epilepsy surgery, and vagal nerve stimulation have improved the ability to treat seizure disorders during the past decades. The mainstay of treatment remains pharmacotherapy. The factors that affect decision of whether to treat seizures with medications and which antiepileptic drugs to use include the likelihood of seizure recurrence, type and severity of seizures, available antiepileptic drug efficacies and toxicities, need for hematologic monitoring, ease to dosing, underlying illness, pharmacologic interaction, and school and other social issues. In this article, we will describe the principle of drug selection for seizure disorder in pediatric patients and the efficacies and adverse effects of the typical and new antiepileptics.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le antiepileptic drugs will help the pediatrician to select the best drug for children with epilepsy.

      • KCI등재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가면의 고백』론 - 호모 에코노미쿠스와 전후 일본 -

        남상욱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2 No.-

        이 글은 『가면의 고백』의 주체가 어떻게 호모 에코노미쿠스와 관련되는지를 밝힘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전후 일본인들의 호모 에코노미쿠스로서 주체성이 어떤 식으로 형성되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면의 고백』 속에서 화폐의 질서와는 무관한 삶을 살아온 것처럼 보일 수도 있는 ‘나’ 는, 다음과 같은 면에서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형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 첫째, 주권권력의 유 지를 위한 ‘죽음’ 대신 ‘생’ 그 자체를 전면적으로 긍정한다는 점, 둘째, 다이쇼 교양주의 영 향 속에서 ‘자기 테크놀로지’를 통한 성 정체성의 변화 가능성을 믿어왔다는 점, 그리고 마지 막으로 그것의 불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자기 통치의 제한을 받아들이게 된다는 점에 있어서 도 그러하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자유주의적 통치테크놀로지’의 주체로서의 호모 에코노미쿠스가 천 황제 파시즘이라고 불리는 주권권력에서 상징천황제의 생명관리통치로의 정치권력 작동 방 식의 변화를 이어주는 존재임을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subjects in Confession of a Mask by Yukio Mishima as they relate to the concept of Homo Economicus, which ultimately reveals how the Japanese identity was formed around the concept in the post-World War II period. ‘I’ who may seem to be unrelated to the order of money in this text, is deeply related to the image of Homo Economicus in the following ways. First, to have believed the whole ' life ' itself as entirely positive, instead of dying for the maintenance of sovereign power. Second, to have believed in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gender identity through technology of the Self under the influence of Daisho Kyoyoshugi. Finally, to have accepted the limitations of self governance, by accepting the impossibility of perfect self-technology. Homo Economicus, the main agent of liberal governance technology, may be seen as the key connection between the way political power operates from sovereign power of fascism, known as called ‘Zettai-tennosei,’ to the bio-politic of the emperor state, which is called ‘Shocho-tennosei.’

      • KCI등재

        전후 일본문학 속의 원자력과 ‘표상불가능성’―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와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의 ‘원자력’을 중심으로 ―

        남상욱 한국일본학회 2013 日本學報 Vol.96 No.-

        3․11以後、原子力に関する様々な言説がつくられるなかで、科学の技術力をベースにした「原子力」表象は、まるで目にみえるかのように取り扱われている。本論文では、戦後日本における原子力表象の問題を、表象不可能性に焦点を合わせて考察することによって、こうした傾向に対し批判できるトポスは如何に可能なのかを検討する。広島原爆直後行われたトルーマン大統領の声明文から読み取れる原子力の表象不可能性は、日本においてはじめて原爆を表象できた作品として知られている原民喜の「夏の花」においてもあらわれている。前者においては表象不可能性は、科学技術の難解さと国家的秘密によるとすれば、後者においてそれは個人のレベルで体験した被爆があまりにも超越的な経験であるが故に言語化することがむしろ反リアルだったという判断による。こうした表象不可能性は、冷戦に入ってからは問題化されなくなるが、1954年日本漁船の被爆事件のあと、三島由紀夫や大江健三郎のテクストにおいて再び問題化される。三島は、被爆者側にとって原爆表象は不可能であるという前提した上で、原爆表象は投下者によってのみ行われ、やがて彼の内面的な問題を引き起こすと主張した。それに対し、大江は原爆のみならず原子力がもつ表象不可能性を、制度的な側面と科学的な側面からだけではなく、被爆者や死者、生き残る人々の倫理性とかかわる問題であると述べた上で、表象不可能性としての原子力がもたらす「悲惨さ」を想像力によって積極的に思い描くことを、戦後日本における新たなモラルとして示そうとした。こうした戦後の文学者たちがこだわった原子力の表象不可能性は、3․11以後大量に産み出され、又すぐ「消費」される被爆及び原子力言説を考えるさい、貴重な参照となることが期待でき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