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임유아교사의 행복감 특성에 관한 연구

        남기원,이은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5

        This research analyzed the frequency and content of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investigat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lass age and time. Sixty novice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ly 2015, 20 weeks in total, using an event-contingent record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highest frequency of happiness in March, which continually decreased until June. In July, happiness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4 and 5-year-olds class began to increase a little bit, whereas teachers of 3-year-olds class kept falling. Secondly, the attributes of happines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parents, head teacher, co-teachers, managerial support from school, working environment, family/friendship and self-development. Teachers of 3 to 5 year-olds clas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as the biggest factor. As for second main factor, 4- and ,5-year-olds' class teachers appointed the relationship with head masters and co-teachers, while 3-year-olds' class appealed to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irdly, after tracking the change in factors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 time,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as high in the order of 5, 4, and 3 year-olds' class.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was high in the order of 3, 4, and 5 year-olds' class. It represents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results in the same month. Also, it was found that teachers relationship with children was highest in April and decreased since then. 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들이 느끼는 행복감의 빈도와 행복감 내용을 분석하여 담당연령과 시기별로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임유아교사들이 느끼는 행복감의 빈도와 내용을 분석하는 동시에 담당연령별, 시기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임유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3월부터 7월까지 총 20주간 사건-연계기록법(event-contingent recording)으로 기록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초임유아교사 모두 3월에 행복감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6월까지 감소하였고 7월에는 4, 5세 유아교사의 경우 소폭 증가하나 3세 유아교사는 계속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복감의 요인은 유아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 기관 내 지원인력과의 관계, 근무환경, 가족/친구 관계, 자기계발로 나타났으며, 3-5세 유아교사 모두에게서 유아와의 관계요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두 번째 비중을 차지한 요인으로 4, 5세 교사의 경우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가 나타난 반면 3세 교사에게서는 학부모의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행복감 요인을 3월부터 7월 시기에 따른 변화 경향을 파악한 결과, 3월에는 유아와의 관계가 5, 4, 3세 순으로 높았으나. 학부모와의 관계는 3 ,4, 5세 순으로 나타나 두 요인이 같은 시기에 상반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3-5세 교사들 모두 4월에 유아와의 관계가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현장에서의 첫 해를 보내는 초임유아교사들의 심리적, 정서적 지원과 향후 초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 및 근무환경 개선 정책 제안 등의 기초자료로써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유치원 만 3세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과학교육 현황 및 어려움에 대한 교사 인식

        남기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s of science education for 3 year olds and teachers’ perception of difficulties of science education. Ten teachers in charge of 3-year-old kindergarteners, living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were interviewed.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enjoying science’ and ‘improving process-technique focusing on observation’ as aims for science education, and managed science activities using daily life situations, objects, and animals and plants for educational contents. ‘Teacher-led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focusing on experience with the five senses’, ‘high reliance on science area’ and ‘science education focusing on observation’ were applied to science teaching-learning method. Some teachers evaluated science education and some did not; teachers evaluating science education used observation, time sampling, and portfolio. However, the teachers evaluating science education reported inadequacy for evaluation method for 3 year olds. Teachers reported three difficulties of science education for 3 year olds. First, uncertainty of possibility of conducting science education for 3 year olds; second, uncertainty of planning for appropriate science education for 3 year olds, third, lack of references for science education for 3 year olds. Therefore, teachers had difficulties teaching science for 3- year-old children in terms of its planning and management, although teachers of 3-year-old class perceived importance of scientific exploration for 3 year olds. Further studies were needed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for 3-year-olds’ science education and examine necessity of training of science education for teachers based on a successful case of science education for 3-year-old class. 본 연구는 유치원 만 3세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과학교육 현황 및 어려움에 대한 교사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3세반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만 3세반 교사들은 ‘과학 즐기기’와 ‘관찰을 중심으로 하는 과정기술 키우기’를 과학교육의 목적 및 목표로 인식하였으며, 과학교육 내용으로는 ‘생활 속 상황이나 물체를 활용한 과학 활동’과 ‘동식물을 주제로 한 과학 활동’을 주로 다루고 있었다. 또한 과학 교수-학습방법은 ‘교사주도의 과학교육’, ‘오감각 체험 중심의 과학교육’, ‘과학영역에 의존하는 과학교육’, ‘관찰중심의 과학교육’으로 나타났다. 만 3세를 위한 과학교육 평가는 평가실시여부에 따라 2그룹이 나뉘었으며, 실시한다는 그룹은 관찰법, 시간표집법, 포트폴리오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두 그룹의 교사 모두가 기존 실행하고 있는 과학교육 평가방법이 만 3세 유아에게 약간의 부적절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3세 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과학교육의 어려움은 첫째, 교사 자신의 효능감 부족, 둘째, 만 3세를 대상으로 한 과학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확신부족 셋째, 만 3세 유아에게 적합한 교수전략부족 넷째, 만 3세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참고자료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만 3세반 교사들이 유아들에게 과학의 탐구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과학수업에서는 계획과 실행 모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만 3세 유아의 발달 특성에 근거한 과학교육 활동 개발과 만 3세 학급에서 의미 있게 이루어지는 과학교육의 실례를 바탕으로 한 만 3세반 교사들을 위한 과학교육연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음악극 중심 유아음악교육의 수업의미 탐색: 예비유아교사를 중심으로

        남기원,김명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3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focusing on musical drama for pre-service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for 4 months from September-December, 2013 Forty-three pre-service teachers/-colleg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department we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enrolled in music education class in the university and learned and experienced musical drama during the course curriculum. After a series of observation and journals during the class, the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a) enjoy music in daily life, b) overcome negative feelings about music, c) enhance expressiveness to various musical experiences, d) overcome conflict to experience communicated community, and e) raise self-competence in teaching music.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음악극 중심 유아음악교육 수업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수행되었고, 연구참여자는 4년제 A대학교 유아교육학과 학생 43명이었다.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음악극 중심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주1회 4시간 진행하였으며, 예비유아교사들의 저널, 연구자의 저널, 예비교사들의 연습장면과 공연장면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수집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음악극 중심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통해 ‘일상에서 음악의 즐거움을 발견’, ‘기악 위주 음악수업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탈피’, ‘다양한 음악경험을 통한 표현력 증진’, ‘갈등과 충돌을 벗어나 소통하는 공동체 경험‘, ‘음악교육에 대한 자신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음악극 중심 유아음악교육이 의미있는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 신경근 전기자극이 흰쥐 위축근 신경근 연접부의 연접재형성에 미치는 영향

        남기원,김용억,Nam, Ki-Won,Kim, Young-Eok 대한물리치료학회 2007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9 No.3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MES for recovery of skeletal muscle. Methods: The normal group consisted of healthy rat without cast immobilization. The control group was breeding at standard cage during 7 days after 2 weeks-cast immobilization on hind limb. The experimental group. I. received NMES application during days after 2 weeks-cast immobilization on hind limb. The effects were measured with NT-3 immunoreactivity in neuromuscular junction by light microscope. Results: Immunoreactivity of NT-3 at the neuromuscular junction was higher appeared experimental groups than control group. Then, There was a little detection in the normal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therapeutic interventions enhance expression of NT-3 at the neuromuscular junction. Also, NMES is considered to effect on a normal structural formation and NT-3 expression at the neuromuscular junction.

      • 초음파가 창상조직내 표피성장인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남기원,구현모,김석범,이선민,김진상,Nam Ki-Won,Ku Hyun-Mo,Kim Suk-Bum,Lee Sun-Min,Kim Jin-Sang 대한물리치료학회 2002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ltrasound irradiation on epidermal growth factor(EGF) expression in rat wound tissue. Skin wounds were created below 5mm to both sides of scapular inferior angle. The right wound was used experimental side and left was used control side. Ultrasound was irradiated pulse rate $20\%$, frequency 1MHz, intensity $0.5W/cm^2$ for 5 minutes during 3days. After sonication during 3 days, rats were sacrified. The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evaluated immunohistochemistry on mouse anti-EGF. In the control side, a little expression of EGF was observed at epidermis and dermis. In the experimental side, A strong immunostaining was seen at epidermis and dermis. This study suggests that ultrasound irradiation is effective on EGF expression in wound tissue.

      • 신경근 연접부의 미세구조와 기능

        남기원,황보각,구현모,김진,Nam Ki-Won,Hwang Bo-Gak,Koo Hyun-Mo,Kim Jin 대한물리치료학회 2002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4 No.4

        Neuromuscular junction consist of presynaptic membrane, synaptic cleft and postsynaptic membrane. In the neuromuscular junction, presynaptic membrane is the motor nerve terminal, have many synaptic vesicle. Postsynaptic membrane is the motor end plate of muscle fiber and the most striking structural features are the deep infolding of the sarcolemma. Between the nerve and muscle cells, there is a synaptic cleft of some 50-100nm. This review shows the ultrastructure and function of neuromuscular junction, summarizes the current knowledge.

      • KCI등재

        신체표현 연계 과학활동이 만 3세 유아의 호기심, 과학과정기술,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남기원,조형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1

        본 연구는 신체표현 연계 과학활동이 만 3세 유아의 호기심, 과학과정기술,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S유치원의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이었으며, 총 14주에 걸쳐 신체표현 연계 과학활동 14개 활동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신체표현 연계 과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만 3세 유아들은 호기심, 과학과정기술, 창의적 신체표현력의 총점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며, 이를 통해 신체표현 연계 과학활동이 만 3세 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과학교육접근법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cience activities joined with physical expression on the 3-year-old children’s curiosity, scientific processing skills and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had 20 participants each from the same kindergarten in Seoul. Fourteen science activities joined with physical expression were performed in the classroom for 14 weeks. In conclusio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perienced science activities joined with physical expression presented meaningful test results in curiosity, scientific processing skills and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 KCI등재

        신체표현 연계 과학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3세 유아의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특성

        남기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ree-year-olds’ scientific inquiry in science activities courses. This study was analysis of frequency, focusing in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fourteen science activiti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scientific process skills increased over time. They appeared as observation in early part, classification, prediction, measurement, communication in middle part, and inference in latter part. Character of three-year-olds’ scientific process skills were observation using sense of sight and touc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visual property, informal measurement trial using one’s body, prediction according to pre-prediction experience, finding enjoyment of communication, and simple inferences according to visual clues. Second, scientific attitudes increased over time. They appeared as curiosity, volunteer and initiative, forthrightness in the early part. In the middle part, it appeared objectivity, openness, suspend judgment. In the latter part, it appeared criticism, cooperation, and persistence. Character of three-year-olds’ scientific attitudes were question for inquiry and exploration trial using sense organ, spontaneously active participation, consideration of various situation before conclusion, acceptance misaligned prediction and waiting before concluding, yielding precedence to another and helping, and constant effort to solve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활동과정에서 나타난 3세 유아의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특성을 분석하여 3세 유아를 위한 과학교수방법과 3세반 교사를 위한 과학수업 지원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첫째, 과학과정기술의 하위요소는 과학활동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하위요소별로 특성은 다음과 같다, ‘관찰하기’는 시각에 의존한 관찰하기에서 시각과 촉각을 활용한 관찰하기로, ‘분류하기’는 시각적 특성에 기초한 2개 물체간의 공통점 찾아 짝짓기에서 3개 이상의 구체물 분류하기, ‘측정하기’는 직관적 측정에서 자신의 신체를 활용한 비형식적 측정으로, ‘예측하기’는 과거경험을 근거로 예측하기에서 예측경험을 바탕으로 한 또 다른 예측하기로 ‘의사소통하기’는 탐구과정에서 생각 나눔의 필요성 인식에서 의사소통의 즐거움 발견으로 특성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추론하기’는 과학활동 초기 이후 별다른 변화없이 지속적으로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단순 추론하기가 특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3세 유아의 과학적 태도의 하위요소는 과학활동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하위요소별로 특성을 살펴보면, ‘호기심’은 과학적 상황 또는 대상 응시하기/접근하기에서 질문하기/감각기관을 활용한 탐색시도가 나타났으며, ‘자진성과 적극성’은 교사의 권유로 과학활동/실험 참여하기에서 과학 활동과 실험에 스스로 참여하기/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솔직성’에서는 자신이 알고 있는 대로 표현하기에서 과학과정을 통해 습득한 정보를 그대로 표현하기, ‘객관성’은 과잉 일반화하기에서 결론을 내리기 전에 다양한 상황 고려하기, ‘개방성’은 자신의 생각과 경험 주장하기에서 예상과 다른 결과 수용하기/다른 사람의 생각 수용하기가 나타났다. ‘판단유보’와 ‘비판성’, ‘협동성’, ‘끈기성’은 중기이후 지속적으로 같은 특성이 나타났고, 각각의 특성은 결론 내리기 전에 기다리기, 타인의 이야기에 대한 근거 찾기, 차례 양보하기/돕기, 문제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