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슬기로운 생활에 있어서 활동의 성격

        남경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2000 사회과교육 Vol.- No.33

        제7차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교육과정 내용 체계는 제6차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상위학습인 사회교과와 자연교과 학습에서 개념상의 위계를 가지도록 구성함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활동을 근간으로 주제 중심 통합을 강조하고 있다. 이렇게 활동을 중심으로 주제 통합을 하고 있다는 것은 아동의 구체적인 경험을 중시하여 아동들이 직접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수업형태로 지도할 것을 기대하고 있음이라 하겠다. 여기서 체험적 활동의 특질 중의 하나는 그러한 활동이 결코 단순한 수단이나 방법은 아니고 그 자체가 목표이고 내용이자 방법이라는 점이다. 이런 의미에서 바람직한 자아실현의 기초로서의 직접체험을 아동에게 보증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따라서 아동이 자신의 것으로서 주체의식을 가지고 의욕적으로 행할 수 있는 활동이 필요하고, 그러한 활동은 다양하게 전개되고 필연성을 가져야 하며, 아동의 삶과 생활을 보다 풍부하게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슬기로운 생활과의 수업은 활동이 중심이 되고 활동 자체가 지도목표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인식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여기에서의 인식의 방법은 중·고학년에서와 같이 사회사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인식하는 것이 아니고 인간현상, 사회현상, 자연현상을 아동 자신과 관련하여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방법은 활동과 사고가 미분화된 이 시기 저학년 아동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것으로 이러한 인식을 매개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활동이다. 그러하기 때문에 활동은 아동에게 가치가 있고 즐거워야 하며 이를 통하여 객관적 인식의 기초로서의 지적인 깨달음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활동을 통하여 나, 사회, 자연과의 관계를 이해한다는 것은 이러한 의미까지도 함의하고 있다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특성을 가지는 슬기로운 생활과에 있어서 활동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수업현장에서 아동의 활동의욕을 환기할 수 있어야 하고, 다양성을 배려해야 하며, 연속성이 있어야 하는 등 아동의 활동 그 자체에 개별성이 보장되었을 때 가능하다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y the property of activity and to find a teaching method in 'Life for Wisdom of the 7th Curriculum. In this Curriculum it is emphasized subject matter centered integration through an activity. This means to take a serious view of child's concrete experience and to expect teaching methods by such a thing. Experienced activity is not means but object and content. Direct experience is, more than anything else, necessary to a child. Therefore children require a activity to do with a strong will. Such an activity should have a diversity and be able to do child's life more abundantly.

      • KCI등재

        戰後 日本 社會科에 있어서 消費者敎育의 歷史的 變遷

        남경희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97 한국초등교육 Vol.9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velopment of consum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fter the war in order to offer a viewpoint of consum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Consum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was placed in a position thinking a life oriented economy from the consumer's standpoint in early years after the war. The number of comsumer problems was increased considerably with the growth of economy of about 1955.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osition mentioned above has weakened reversely. It is in consequence of taking a serious view of systematic knowledge instead of experiental knowledge during this time period. In an upsurge of consumerism in the 1960's, the government began to pay attention to consumer education in order to deal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 problems. With a report of the National Welfare Council, consumer education was revived in social studies from 1965. Going forward, the concept of consumer protection was introduced into social studies from 1975. After that the National Welfare Council pursued the essence of consumer education reflecting the social changes and demands through a report of "Regarding Consumer Education in school"n 1986. Succeeding to an idea of this report, consumer image presented with A Course of Study In 1989 is consumer to the effect that judges independently and acts independently. Consumer education in japanese social studies, as seen above, emphasizes the learning from a view of consumer's independence in 1990's.

      • KCI등재

        7차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남경희,호엽,조용채 서울교육대학교 2003 한국초등교육 Vol.14 No.2

        Overall objectives of 'Life for Wisdom' are to help pupils have an interest in the interaction between oneself, and society around them and nature through concrete activities and personal experiences, think about oneself and one's own lif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reform measure of the management of 'Life for Wisdom' in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method of it is to inquiry the management through questionnaire. As findings on inquiry,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following items: 1. To intensify the principal of integrations and to raise the standard of integrations 2. To raise the quality of activity in the contents of a textbook. 3. To expand experiences and to select the optimal material in the lessons. 4. To value much of the process in the evaluations.

      • KCI등재후보

        생활과 및 총합적 학습시간의 특성과 육성하고자 하는 힘 고찰

        남경희 한국일본교육학회 2012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7 No.1

        일본은 20세기 후반에 생활교육을 중시하는 경험주의 학파에 의하여 주도된 여유교육으 로, 신학력관을 내세우고 생활과를 설정한 1989년의 교육과정, 살아가는 힘을 내세우고 총 합적 학습시간을 설정한 1998년의 교육과정이 등장했다. 생활과는 1989년에 신설되고, 1999년과 2008년에 학습지도요령이 개정되었다. 신교육과 정에서는 학년 목표에 자기 자신에 관한 것과 내용구성 요소에 자기 자신의 성장을 되돌아 보는 항목이 하나씩 추가되고, 깨달음의 명확화와 그 질을 높이는 학습활동 등에 보다 충 실하고 있다. 여기서 생활과의 목표는 총합성, 관계성, 성찰력, 생활력을 주요 요소로 하여 궁극적으로는 아동의 자립을 지향하고 있다. 총합적 학습시간은 1998년에 교육과정상의 영역으로 창설되었고, 2008년에 학습지도요령 이 개정되었다. 신교육과정에서는 학교간, 학교급간의 교육성과가 일정하지 않은 점을 감안 하여 그 목표와 학생들에게 육성하고자 하는 힘에 보다 충실하고 있다. 신교육과정에서 총 합적 학습시간의 목표는 총합성, 문제해결력, 탐구력, 주체성 창조성 협동성을 주요 요소로 하여 학생의 자아실현을 지향하고 있다. 교과로서 생활과와 영역으로서 총합적 학습시간을 통해 육성하고자 하는 공통적인 힘은 총합성의 중시, 활동과 체험의 중시, 주체성의 강조, 살아가는 힘을 강조하면서 여유교육의 후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인간성 회복과 자아실현이라는 본래 목적의 실현에 충실하고 있 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