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주도 학습 전략이 국어 ·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남가영,맹은경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 overall picture of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y(SDLS) on Korean and English learning by providing reliable common effect sizes. This study also aims to analyze moderating variables(subjects/grade levels) on Korean an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 comprehensive search, a total of 47 primary studies were selected and 16 samples based on correlations and 31 samples based on means were analyzed to compute the effect sizes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DLS is effective to enhance Korean an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n overall weak to medium correlation and an medium to large effect size are shown. 2)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SDLS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English. 3)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DLS is the same regardless of grade levels. However, the effect size of SDLS on Korean is higher in middle schools than that in high schools whereas the effect sizes of SDLS on English shows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school levels. More studies related to Korean, English as well as various grade levels should be conduct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size more accurately.

      • 국가연구개발의 투입과 성과에 관한 연구: 대학과 출연연을 중심으로(2012~2020년)

        남가영,이삼열 한국행정학회 2023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2

        본 연구는 대학과 출연연을 중심으로 최신 자료(2012~2020년)를 활용하여 기관별 연구투입과 연구성과를 분석한다. 특히 대학의 경우 서울권, 지방거점국립대, 과기원 등을 구분하여 분석하여 연구개발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정부출연연구소와 비교하였다. 기존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자료가 오래되거나 자세한 분석이 없어 과학기술 무한 경쟁시대에 걸맞는 ‘과학정책의 과학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부족한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과기원과 서울권 대학들이 투입 대비 연구생산성을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지방거점국립대의 경우는 생산성이 비교적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임금상승율을 고려할 때 정부연구개발예산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연구원 1인당 연구비는 별다른 변화 없이 정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과학정책의 과학화’를 위한 실증연구들이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예비 국어 교사의 문법 평가 문항 설계 양상 연구

        남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실천적 지식의 발굴을 위한 첫 단계로서, 교사의 문법 평가 문항 설계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 9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약 2회(16주, 8주)에 걸쳐 예비 교사 17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34개의 문법 평가 문항을 설계하도록 하고, 평가 문항과 해당 문항을 둘러싼 논의의 과정을 살펴 예비 교사의 문법 평가 문항 설계 양상을 결과 및 과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예비 교사들이 설계한 문법 평가 문항을 살펴본 결과, 문법 개념 및 현상에 대한 설명, 문법 현상이 표상된 언어 자료 등을 활용해 문항을 구성한 자료 제시형 문항이 5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5%의 문항이 문항 오류, 성취기준에 대한 협소한 해석, 문항 구성 방식의 부적절성 등에 의해 타당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어형성법, 품사 등 문법 지식과 관련하여 교사들이 갖고 있는 오개념도 일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예비 교사들의 문법 평가 문항 설계 과정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문항 설계 과정에서 문법 지식의 정확성, 자료의 적절성에 특히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성취기준의 의미 해석이나 그에 부합한 문항 유형을 구성하는 데는 주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법 지식의 정확성, 자료의 적절성 확보는 예비 교사들이 문법 문항 설계 과정에서 가장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지점이라는 점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문법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교사의 문법 오개념을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중심으로 교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고, 더 나아가 교사의 평가 문항 설계 과정에 대한 실증적 탐색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발굴하여 제공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론과 실천의 간극을 메우는 맥락화된 국어 평가론의 구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development of grammar assessment items. For this purpose, 17 preservice Korean teachers were asked to develop 2 grammar assessment items each, then those item and their development processes are analysed. Firstly, types of those items and its validity are examined. The reason of low validity seem to be partly because of narrowish account of curriculum standard, and partly because of inaccurate grammar knowledge. Also, teachers' misconceptions on grammar are examined. Secondly, teachers' development process of grammar assessment items are examined such as to which point they pay attention, with which part they are in trouble during developing test items. As a result, they seem to take hid of grammatical accuracy and language materials' appropiacy, and also they seem to be in trouble with those same parts. Relatively they seem not to take notice of thoughtful account on standards. Through these analysis, we could get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especially on grammar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eachers' misconceptions on grammar, then to try to handle those misconceptions intensively in teacher education. Also, it should be devised plan for understanding grammar standards thoughtfully, then sharing it with teachers. Further, it is necessary to dig out practical knowledge for selecting proper language materials, then appreciating its relation to grammar item accurately. To raise teacher professionalism for evaluation on students' achievement, a concrete and available practical knowledge inauthentic evaluation context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teachers.

      • KCI등재

        서술형·논술형 평가 실행에 관한 국어 교사의 최적화 행동 분석

        남가영,김호정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3 교과교육학연구 Vol.27 No.1

        This Study is purposed for analyzing Korean languag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on implementing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at high school. With school assessment improvement policy regarding 2022 National Curriculum, CSAT,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assessment by individual teachers etc., the percentage of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at schools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re remain difficulties on implementing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suitable for it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how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have been implemented at schools through written interview (12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ocus group interview (3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n extracts main issues of these two types assessment implementation. Following this, it analyzes teachers’ assessment policy implementation in the view of ‘optimization behaviors’. Also, it discusses meaning of those teachers’ implementation, and ask questions to seek answers in details. 본 연구는 국어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실행을 교사의 최적화 행동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평가 혁신정책의 일환으로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져 온 가운데,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편, 고교 학점제 도입 및 교사별 평가 실행 등 교사의 평가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도입 취지에 맞게 서술형·논술형 평가를 실행하는 것과 관련한 여러 현실적 난점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실제 국어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실행 양상을 파악하고 관련한 핵심 쟁점을 추출한 뒤, 이러한 쟁점과 관련한 교사의 실천적 대응을 ‘최적화 행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어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정책이 어떻게 교사에 의해 실행되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교사의 실행이 의미하는 바가무엇인지 해석한 후, 우리에게 남는 문제는 무엇인지 파악하고 제언함으로써, 국어과 평가 실행의 현재와 미래를 탐색할 수있었다.

      • KCI등재

        3.11 이후 영화에 나타난 변화상

        남가영,조영호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8

        2011년 3월11일, 일본 사상 미증유의 사건이 발생했다. 그것은 쓰나미로 인한 원전폭발이다. 3.11은 일본 역사상 전쟁이후최악의 자연재해로 기록되었다. 본고에서는 3.11이라는 사건을 전후로 일본인들의 의식변화와 그 사회 시대상을 반영하는 영화라는 콘텐츠에 나타나는 변화상에 대해 고찰하기로 한다.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극영화나 이미지로 전달되는 영상콘텐츠 제작자들은 3.11의 여파로 사회적 모순에 눈뜨고 탈 원자력운동과 후세에게 전해야 하는 메시지들을 담은 영상을 제작하였다. 또한 일본인들이 안고 있는 불안감과 결핍들을 표현하기 위해 영화 속에 3.11을 통해 체험한 이미지들을 침투시켰다. 콘텐츠 제작자들의 윤리적인 태도의 결핍과 본질이 왜곡된 정보가 무자비하게 실시간으로 전 세계로 전송됨으로서 3.11로 인해 고통 받은 피해자들에게 이중의 고통을 안겨주기도 했다. 3.11 전과 후의 의식변화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3.11 이전보다 일본인들은 인간의 본질의 중요성 및 가족과 인간 유대관계를 더욱 가치있게 생각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일본인의 기본적 가치관 변화는 미래에 중점을 두며, 자기본위적인 가치관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동경전력과 일본 정부의 지나친 안정성 강조에도 불구하고 2015년 3월 19일에 NHK은 일본후쿠시마의 제 1, 2, 3호기의 멜트다운 확정을 보도함으로서 3.11은 더 이상 일본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닌 전 인류의 문제로 대두되었다. 추가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폐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인간본질이 표백되거나 누락되지 않도록 범세계적인 관심과 자각이 요구된다. On march 11, 2011, the unprecedented accident in Japanese history occurred. That was a nuclear power plant explosion caused by tsunami. 3.11 was recorded as worst natural disaster since WWII in Japanese history.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onsciousness change of japanese around accident of 3.11 and the aspect of change which appeared in the film contents reflecting social aspect of the time. The producers of play film based on picture or picture contents transmitted as image manufactured pictures which contain the campaign for free from nuclear energy and message for next generation by recognition of social inconsistency by aftereffect of 3.11. And they put images of 3.11 experience through into the movie to express anxiety and wants that Japanese have. By brutal and real time transmission of nature distorted information due to lack of ethical attitude of contents manufacturers, the victims of 3.11, who already damaged, had doubled pain.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sults of public opinion survey on consciousness change of Japanese around 3.11 shows the aspect that Japanese think the importance of human nature and the unity of family and human more valuably. Even though the excessive emphasis of Japanese government and Tokyo Electric Power on stableness, NHK reported confirmation of meltdown of Fukushima NPP unit 1,2,3 in Japan, so the 3.11 was on the rise as no more a problem limited in Japan but a problem of all human.The detailed plan on finished nuclear reactors to reduce additional damage and worldwide attention and self-consciousness not to bleach or omit the human nature are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국어 규범교육과 문법교육의 관계 설정 양상- 역대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사적(史的) 분석을 바탕으로

        남가영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2 No.-

        이 연구는 국어 규범교육이 문법교육과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구체화되어 왔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국어 규범교육이 기획, 실천되어 온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역대 국어 및 문법 교육과정 및 문법 교과서를 사적(史的)으로 살펴서, 국어 규범교육에 관한 당대의 인식과 그에 따른 실천 양상을 유형별로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문법이 곧 규범문법’이라는 인식 하에 학교에서의 문법교육을 그 자체로 규범교육으로 간주하는 오랜 가정이 지속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1) 어문 규범이 암묵적 규준으로서만 기능한 경우, (2) 암묵적 규준으로서 어문 규범의 역할을 일부 명세화한 경우, (3) 규범 관련 내용을 명시적으로 편입하기 시작한 경우, (4) 규범 관련 내용을 문법 지식과 체계적으로 연계하고자 한 경우로, 규범교육의 양상이 시대별로 유형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탐구성과 규범성의 균형을 도모하고자 하는 문법교육 안에서 국어 규범교육이 체계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purposed for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and grammar education. For this purpose, how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all the while is examined, analysing 4th(1981)~2009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and totally 45 sets of grammar textbooks. As a result, some significant factors about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are verified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ion such as 'Korean grammar education is in itself normative education' widely prevail among grammar textbooks. Second, grammar textbooks dealt with normative grammar are categorized four groups, especially for relationship with grammar education, ① the case which norms are affected implicitly, ② the case which norms show explicitly its roles partly, ③ the case which the norms are included in grammar education explicitly as content, ④ the case which the norms are systematically related to grammar knowledge. Based on these results, significant implication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normative grammar education has been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