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비쿼터스 응용 구현을 위한 다이내믹 상황기반 응용 개발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나종화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41 No.04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개념은 혁신적인 것으로 인지되고 있지만 아직은 한정된 분야에서만 그 개념이 구체화되고 있다. 응용 분야가 제한적인 이유들 중의 하나는 바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구현작업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전 분야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인력들의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MOTE등의 제품이 공급되고는 있지만 MOTE는 TOS (Tiny OS), 전용 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S/W 개발자들은 개발에 부담을 느끼게 된다. 또한 MOTE는 정적이고, 미시적인 개념을 구현하기 용이한 개발 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이며 동적인 개념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 (CAP; Context-aware Application development Platform)을 제안하고자 한다. CAP은 COTS (Commercial Off The Shelf) 부품들을 주로 사용하고, 개발자들이 가장 친숙하게 생각하는 개발환경을 고려하였다. 또한 CAP은 동적이며 거시적인 환경에서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의 구현을 실험할 수 있다. CAP은 다양한 상황 정보의 수집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과 그 센서들의 데이터를 통합하는 메인보드, 센서와 각종 장비를 통합하며 서버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PDA, 그리고 이 장비들을 장착하고 실내 및 야외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로 구성된다. CAP은 이러한 이동체들이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유비쿼터스 응용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 플랫폼의 H/W, S/W, 기구물의 구성과 그 플랫폼을 이용한 응용의 개발 그리고 향후 CAP의 개발 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Ubiquitous computing is recognized as a revolutionary computing paradigm by many researchers.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cept of the ubiquitous computing is extremely limited.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ubiquitous computing requires the integration of the advanced technologies encompassing H/W, S/W, and F/W. MOTE from Berkeley has been around us. Although the technology is open, it is based upon the proprietary technology such as TOS and boards, which are not easily accessible. It also provides only static and the microscopic view of the world. In this paper, we propose a platform called Context-aware Application development Platform (CAP). CAP uses COTS (Commercial Off The Shelf) components extensively and provides the most familiar S/W development environment. Furthermore, CAP provides the dynamic and macroscopic experiments in the ubiquitous computing. The H/W of the CAP consists of sensor boards, main board, a PDA, and a moving vehicle. We discuss each components of the CAP, the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using CAP, and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안장점근사를 이용한 자기회귀계수에 대한 소표본 점근추론

        나종화,김정숙,Na, Jong-Hwa,Kim, Jeong-Sook 한국통계학회 2007 응용통계연구 Vol.20 No.1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small sample asymptotic inference for the autoregressive coefficient in AR(1) model. Based on saddlepoint approximations to the distribution of quadratic forms, we suggest a new approximation to the distribution of the estimators of the noncircular autoregressive coefficient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suggested methods are very accurate even in the small sample sizes and extreme tail area. 본 논문에서는 1차 자기회귀모형에서 자기회귀계수에 대한 여러 가지 추정량들의 분포함수에 대한 근사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자기회귀계수의 여러 추정량들을 이차형식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Na와 Kim(2005)에 의한 안장점근사의 결과를 이용한 새로운 근사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정규근사를 비롯한 기존의 근사법과는 달리 추정량에 대한 근사분포의 유도과정이 불필요하며, 소표본은 물론 통계적 추론의 주요 관심영역에서의 근사정도가 매우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모의실험을 통해 Edgeworth 근사를 비롯한 기존의 여러 근사법보다 효율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곱 정규확률변수의 합에 대한 소표본 점근분표와 FSK 통신에의 응용

        나종화,김정미,Na, Jong-Hwa,Kim, Jung-Mi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1

        본 논문에서는 정규확률변수의 곱과 그의 합으로 표현되는 통계량의 분포에 대한 효과적인 근사법을 다루었다. 이차 형식에 대한 안장점근사에 기초한 이 방법은 기존의 정규근사에 비해 매우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에 대한 응용으로 FSK 통신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제시하고, 그 해결책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안장점근사법을 사용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근사법이 중심영역은 물론, 통신이론에서 주요 관심 영역인, 극단 꼬리부분의 확률 근사에도 매우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effective approximations to the distribution of the sum of products of normal variables. Based on the saddlepoint approximations to the quadratic forms, the suggested approximations are very accurate and easy to use. Applications to the FSK (Frequency Shift Keying) communication are also considered.

      • KCI등재

        혼합원형분포를 이용한 지방국도의 시간교통량 추정모형

        나종화,장영미,Na, Jong-Hwa,Jang, Young-Mi 한국통계학회 2011 응용통계연구 Vol.24 No.3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지방국도의 특정지점에서 수집된 교통량 자료를 이용하여 일일 시간교통량 추정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특징은 일일 24시의 시간변수를 원형변수로 취급하고, 지방부 교통량 자료의 특성상 출퇴근 시간에 교통량이 집중되는 이봉형의 현상을 감안하여 원형분포의 혼합모형을 고려하였다. 또한 시간대별 교통량의 분포가 요일에 따라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데 착안하여 요일별 모형을 제시하였다. 혼합원형분포의 모수추정에는 EM알고리즘이 사용되었으며, 모형의 성능비교를 위해 가변수 회귀모형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제시된 요일별 지방국도의 시간교통량 적합모형은 계측기의 손상 등으로 인한 교통량 결측자료의 추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statistical model for traffic volume data which collected from a spot of specific local state road. One peculiar property of daily traffic data is that it has bimodal shape which have two peaks on times of both going to office and coming back to home. So, various mixture models of circular distribution are suggested for bimodal traffic data and EM algorithms are applied to estimate the parameters of the suggested models. To compare the accuracy of the suggested models, classical regressions with dummy variables are also considered. The suggested models for traffic volumn data can be effectively used to estimate missing values due to measuring instrument disorder.

      • KCI등재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이동통신 광고 전략

        나종화,김정숙,장영미 한국조사연구학회 2001 조사연구 Vol.2 No.1

        현재 국내의 이동통신 가입자수와 무선인터넷 가입자수가 급증하면서 인터넷과 이동통신을 연계한 광고서비스나 직접 휴대폰에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동통신에 제공되고 있는 광고서비스는 문자메세지를 이용하는 단문광고이고 제공되는 광고도 휴대폰 이용자가 직접 듣고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을 활용하여 고객의 니즈(needs)에 부합되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광고기법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수요예측과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이 광고에 대한 타겟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user of mobile and cordless internet is growing rapidly. So the advertising methodologies are appeared on stage through the internet and mobile service. But the current advertisement(AD) service into mobile phones supplies a short-sentence AD using letter-message, and gives mobile phone users an inconvenience by making them first listen to and then check the AD. Until now the AD service using mobile has been on the beginning level.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new advertising methodologies and propose both target marketing strategies and demand forecast through the data mining techniques.

      • KCI등재

        다변량 왜정규분포 기반 이차형식의 분포함수에 대한 안장점근사

        나종화,Na, Jonghwa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4

        이차형식 통계량의 분포함수에 대한 연구는 주로 다변량 정규분포의 가정하에서 진행되어 왔다. 최근 다변량 정규분포를 포함하는 다변량 왜정규분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변량 왜정규분포의 가정하에서 이차형식 통계량의 분포함수에 대한 근사를 다루었다. 근사의 방법으로는 소표본에서도 정확도가 뛰어난 근사법으로 알려진 안장점근사를 사용하였으며, 모의실험을 통해 그 정도를 확인하였다. Most of studies related to the distributions of quadratic forms are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of multivariate normal distribution. In this paper, we suggested an approximation to the distribution of quadratic forms based on multivariate skew-normal distribution as alternatives for multivariate normal distribution. Saddlepoint approximations are considered and the accuracy of the approximations are verified through simulation studies.

      • KCI등재

        평균 벡터의 평활함수모형에 대한 안부점근사 -스튜던트화 분산을 중심으로-

        나종화,김주성 한국통계학회 2001 응용통계연구 Vol.14 No.2

        통계적 추론에 사용되는 많은 통계량들은 평균벡터의 평활함수의 형태로 표현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통계량들의 분포함수에 대한 안부점근사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Na(1998)에서 제시된 일반적 통계량의 분포함수에 대한 안부점근사법이 평균벡터의 평활함수모형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 근사법은 정규근사에 비해 근사의 정도가 뛰어나며, 특히 통계량의 꼬리부분의 확률에 대해서도 정확도가 그대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어 정밀한 추론이 요구되는 많은 문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의 실험에 사용할 평균벡터의 평활함수 모형으로는 스튜던트화 분산을 고려하였다.

      •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기반 고성능 컴퓨터 시뮬레이션

        나종화 한세대학교 2001 敎授論叢 Vol.17 No.-

        컴퓨터 성능이 발달하고 경제가 발달함에 따라서 컴퓨터의 시장규모가 계속적으로 증가되고는 있지만, 하드웨어의 처리능력이 급증하는 사용자 혹은 소프트웨어의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 과 같은 광저장장치의 보조기억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HDSS는 단위면적당 비트 수가 많기 때문에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덧붙여서 기존의 저장장치들이 모두 2차원의 공간에 데이터를 표현하는데 반하여 3차원 공간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고성능 저장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저장장치가 32bit 또는 64bit 단위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반면에 HDSS는 2차원 공간에 표현된 데이터를 한번에 읽고 쓸 수 있게 되어 고속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HDSS를 기존의 하드디스크를 기반으로 하는 저장장치들과 성능비교하기 위하여,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장치 simulation 도구인 DiskSim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DiskSim을 이용하여 HDSS의 parameter들과 읽기/쓰기 mechanism을 고려한 model을 구성한 뒤,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Simulation결과는 단일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을 이용한 경우에 기존의 하드디스크에 비하여 데이터 처리 시간이 10배 빨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