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담화에 나타난 담화 오류 양상 - 중국인과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나은선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6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discourse error in presentation discour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examined the error in presentation discourse through transcribing the presentation discourse of ten Chinese and Vietnamese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rough referring to transcribing material of presentation discourse of ten Chinese and Vietnamese students from Korean learners’ spoken corpus collected i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e discourse error was reviewed classified into three parts, 1) referring expression error, 2) formality error, 3) idiomatic expression error. Referring expression error was classified into omission and misuse, and formality error was classified into vocabulary, informal expression and final- ending error, and idiomatic expression error was classified into politeness error and discourse ending expression error. In referring expression error, commission and misuse of referring expression was observed and in formality error, the unuse of formal vocabulary, the use of informal expression like talking to themselves, the unuse of formal final ending were observed. In idiomatic expression error, politeness error that denotes omission error of pre-final ending ‘-겠-’ and the unuse of idiomaic discourse ending expression were observed. This study shows the necessity of education related to referring expression and formal feature in addition to idiomatiic expression of presentation discourse.

      • KCI등재

        소구치에 발생한 치외치의 치험례

        나은선,김종수,권순원,Ra, Eun-Sun,Kim, Jong-Soo,Kwon, Soon-Won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1

        치외치(Dens evaginatus)는 조직 형태 분화기에 법랑기의 내측 법랑 상피가 외부로 과증식 되거나 치수 간엽 조직 이 국소적으로 과증식되어 나타난다. 치외치는 하악제 2소구치에서 가장 빈발하며 유전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치아에 발생한 결절은 법랑질, 상아질, 치수 등의 정상 치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형태학적 특성으로 인해 저작에 의한 파절 또는 마모가 발생하여 미세한 치수노출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치수노출에 의해서 치수염증, 치근단 병변, 치근 형성 중지 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예방 및 조기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이미 감염이 진행되어 치근단 병변이 야기된 경우 적절한 근관 치료가 행해져야 하며 미완성 치근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치근단 형성술을 병행해야 한다. 이에 저자는 치외치에 의한 치근단 병변을 주소로 내원하여 치근단 형성술을 시행한 언니의 증례와, 함께 내원하여 사전에 발견하고 점진적 삭제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은 동생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Dens evaginatus is an anomalous tooth development arising during morphodifferentiation. It is most often reported in premolar, and familial occurrence has been reported. The primary dental complication of dens evaginatus is fracture or wear of the tubercle which leads to pulp exposure, pulpal necrosis and periapical infection. Pathosis of the pulp can occur before complete root formation with cessation of root development. A rational and conservative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dens evaginatus in vital teeth includes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to prevent fracture or attrition of the tubercle. This treatment would include careful sequential grinding, pulp capping, preventive resin restoration. When presented with a case of dens evaginatus in a nonvital tooth with incomplete root development, the treatment of choice has been extraction, apexification. We report two cases of dens evaginatus that appear in two sisters. In the elder, a periapical lesion on radiographs is shown, and it is treated by calcium hydroxide apexification. The other sister is early recognized of dens evaginatus, it is treated using glass ionomer cement reinforcing with sequential grinding.

      • KCI등재후보

        중조생리식염수와 탄툼용액 함수요법이 항암화학요법 환자의 구내염과 구강안위감에 미치는 효과

        나은선(Na Eun Sun),최은희(Choi Eun Hee),양현진(Lyang Hyun Jin) 다문화건강학회 2019 다문화건강학회지 Vol.9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sodium bicarbonate-normal saline solution with that of tantum solution on the oral care fo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Methods: There were participa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saline or tantum solution group. WHO oral toxicity scale was used to measure stomatitis and Beck’s subjective oral discomfort scale was used to evaluate oral comfort.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to December 2014.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stomatitis (F=.809, p=.639) and the levels of oral comfort (F=.809, p=.498) between two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need intensive oral care at the beginning stage of treatment. In addition, a sodium bicarbonate-normal saline solution is recommended instead of tantum solution that causes more discomfort in order to prevent stomatitis.

      • 백인 여성 여드름 환자의 한방치험 1례

        순경 ( Na Soon Kyung ),나은선 ( Na Rosa Eunsun ) 대한한의진단학회 2013 大韓韓醫診斷學會誌 Vol.17 No.2

        The pe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oriental demonstration treatment for Acne. Acne is an facial skin problems with depress, white head on the facial skin and bad smell. Objectives We experienced one case of Acne through acupuncture, cupping, herbal medication and herbal patch. 24 years old female patient suffered from acne with bad smell and depress. Method She was taken 23 times of acupuncture and cupping treatment, 30days of taking herb medicine and 7days for herbal patch(brand named Lee Myung Lae patch). Results After 23 times treatment her acne symtoms was improved. Conculusion Asian medical treatment could be safe and effective to American patient.

      • KCI등재

        SNS 중독 경향성 및 대인관계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나은선(Eun-Sun Na),장현정(Hyun-Jung Jang)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202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SNS 중독 경향성 및 대인관계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 01일부터 10월 04일까지 G시 1∼3학년의 간호대학 재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결과분석은 기술통계,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은 성별(t=5.26, p<.001), SNS 일평균 사용시간(F=8.07, p<.001), 현실에서의 교류 친구 수(F=2.87, p=.037)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로 대학생활적응은 SNS 중독 경향성(r=-.31, p<.001) 및 대인관계(r=.52, p<.001)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SNS 중독 경향성과 대인관계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17, p=.011).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인관계(β=.477, p<.001), 성별(β=-.198, p=.001), SNS 일 평균 사용시간(β=-.177, p=.003)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7.8%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적인 SNS를 활용한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프로 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on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 study period was from October 1 to 4, 2019,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28 first and third year nursing students located in G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3.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ubjects college life adaptation depending on their gender (t=5.26, p<.001), daily average duration of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F=8.07, p<.001), and friends in real life (F=2.87, p=.037). College life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r=-.31, p<.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52, p<.001), and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r=-.17, p=.011). Factors that affected college life adaptation includ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477, p<.001), gender (β=-.198, p=.001), and daily average duration of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β=-.177, p=.003),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was 37.8%.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for a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in order to improve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담화에 나타난 담화 오류 양상- 중국인과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나은선(Lah Eun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담화에 나타난 담화 오류의 양상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으며 중국인 학부 과정 학습자 4명과 베트남인 학부 과정 학습자 6명의 발표 담화를 전사하고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의 중국인 학습자 6명과 베트남인 학습자 4명의 발표 담화 전사 자료를 참고하여 중국인 학습자 10명과 베트남인 학습자 10명 총 20명의 발표 담화에 나타난 담화 오류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발표 담화에 나타난 담화 오류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봤는데 1) 지시 표현 오류 2) 격식성 오류 3) 관용적 표현 오류로 나누었다. 또한 지시 표현 오류는 누락과 오사용 오류로 격식성 오류는 어휘 오류, 비격식적 표현 오류, 종결형 오류로, 관용적 표현 오류는 공손성 오류, 담화 종결표현 오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지시 표현 오류에서 누락과 오사용 오류가 나타났으며 격식성 오류에서는 어휘를 격식성에 맞지 않게 쓴 경우와 혼잣말 형식의 적절하지 않은 비격식적 표현을 사용한 경우, 격식체 종결형을 사용하지 않은 종결형 오류 등을 볼 수 있었으며 관용적 표현 오류에서는 선어말어미 ‘-겠-’을 누락하여 사용한 공손성 오류, 관용적인 담화 종결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오류 등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발표 담화에서 특징적인 지시표현, 격식성에 맞는 표현, 관용적 표현 등을 사용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discourse error in presentation discour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examined the error in presentation discourse through transcribing the presentation discourse of ten Chinese and Vietnamese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rough referring to transcribing material of presentation discourse of ten Chinese and Vietnamese students from Korean learners’ spoken corpus collected i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e discourse error was reviewed classified into three parts, 1) referring expression error, 2) formality error, 3) idiomatic expression error. Referring expression error was classified into omission and misuse, and formality error was classified into vocabulary, informal expression and final- ending error, and idiomatic expression error was classified into politeness error and discourse ending expression error. In referring expression error, commission and misuse of referring expression was observed and in formality error, the unuse of formal vocabulary, the use of informal expression like talking to themselves, the unuse of formal final ending were observed. In idiomatic expression error, politeness error that denotes omission error of pre-final ending ‘-겠-’ and the unuse of idiomaic discourse ending expression were observed. This study shows the necessity of education related to referring expression and formal feature in addition to idiomatiic expression of presentation discourse.

      • KCI등재

        한국어 예비교사 발화 연구 : 한국어 모의수업에서의 예비교사 발화를 중심으로

        나은선(Lah Eun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2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예비교사 8명의 모의수업을 녹음 또는 녹화하여 예비교사 발화를 전사하였으며 전사 자료를 분석하여 예비교사 발화에서 사용된 어휘, 문법 항목의 빈도와 예비교사 발화에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예비교사 발화에서 나타난 어휘, 문법 사용의 빈도는 예비교사 8명의 발화에서 많이 나타난 1) 구어적 표현 ‘-구요’, ‘얘’, ‘요게’, 2) 의문형 ‘–나요?’, ‘-(으)ㄹ까요?’, 3) 문법항목 ‘인용표지’, ‘-도록’, ‘-(으)ㄹ 때’, ‘-(으)ㄹ게요’의 사용 빈도를 살펴보았는데 사용 빈도에서는 예비교사에 따라 차이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 발화에 익숙하지 않아 개인 발화 습관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예비교사 발화에 나타난 문제점을 어휘와 문법 사용의 문제와 담화의 문제로 나누어 보았는데 어휘와 문법 사용의 문제는 1) 구어적 표현, 2) 의문형, 3) 학습하지 않은 어휘와 문법 사용의 문제로 분류해서 살펴보았으며, 담화의 문제로는 1) 호칭, 2) 간결한 발화, 3) 표현 방법, 4) 교사의 긴 단독 발화의 문제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와 예비교사를 교육하는 교사에게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 발화시 주의해야 할 점을 간략하게나마 보여 준다는데 의의를 둔다. In this study, the simulated lessons of eight Korean pre-service teachers were recorded and their utterance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use of certain vocabulary and grammar items and the problems appearing in their utterances. The following commonly used vocabulary and grammar item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1) the colloquial expressions -구요, 얘, and 요게; 2) the interrogative forms –나요? and -(으)ㄹ까요?; 3) and the grammatical elements of quotation words, -도록, -(으)ㄹ 때, and -(으)ㄹ게요.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there were differences for all pre-service teachers, which seem to reflect individual habits, suggesting that they are not familiar with teachers’ utterance. The problems appearing in pre-service Korean teachers’ utterance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problems of vocabulary and grammar use and problems of discourse. The problems of vocabulary and grammar use were further classified as the use of 1) colloquial expressions, 2) interrogative forms, and 3) unlearned vocabulary and grammar, while the problems of discourse were classified as the use of 1) address forms, 2) concise utterances, 3) ways of expression, and 4) long single uttera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howing pre-service teachers and the teachers who train them what they should attend to when speaking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 Changes in Resistance to Fluorquinolone in E.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Pseudomonas aeruginosa in vitro

        Ryu, Chang Beom,Rha, Eun Seon,Woo, JunHee 대한화학요법학회 1994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2 No.2

        목적 : 세균의 효소인 DNA gyrase와 작용하여 감수성이 있는 세균에서 DNA-supercoiling을 저해하는 oflozacin과 ciprofloxacin은 그람음성간균에 의한 감염증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경구용 항균제의 대표이다. 최근들어 상당히 많은 감염증에 사용되고 있어 내성이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저자들은 그람음성 간균 가운데 대장균, K.pneumoniae, 녹농균의 ofloxacin, ciprofloxacin에 대한 감수성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였다. 방법 : 1989-1990년 환자의 혈액 배양에서 분리 동정된 17균주의 녹농균과 대장균, 14균주의 K.pneumoniae와 1994년에 환자의 혈액뇨, 객담 배양에서 분리 동정된 16균주의 녹농균, 18균주의 대장균, 20균주의 K.pneumoniae를 대상으로 배지회석법에 의한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여 감수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성적 : 1) Ciprofloxacin 대하여 녹농균은 1990년 17균주에서 1균주(5.8%), 1994년에 16균주중 6균주(37.5%)에서 감수성이 감소되었다.(p=0.03) 2) Cirprofloxacin에 대하여 Klebsiella는 1990년 14균주에서 0균주(0%), 1994년 20균주중 4균주(20%)에서 감수성이 감소하였다.(p>0.05) 3) Ciprofloxacin 대하여 대장균은 1990년 17균주에서 1균주(5.8%), 1994년에 18균주중 1균주(5.5%)에서 감수성이 감소되었다. 4) Ofolxacin에 대하여 녹농균은 1990년 17균주에서 3균주(17.6%), 1994년에 16균주중 4균주(25%)에서 감수성이 감소되었다. 5) Ofloxacin에 대하여 Klebsiella는 1990년 14균주중 3균주(16%), 1994년 20균주중 2균주(10%)에서 감수성이 감소하였다. 6) Ofloxacin에 대하여는 대장균은 1990년 17균주중 4균주(23.5%), 1994년 18균주중 4균주(22%)에서 감수성이 감소하였다. 결론 : 대장균은 4년간에 ciprofloxacin과 ofloxacin에 대한 감수성은 rkat하지 않았으나 K.pneumoniae의 내성은 ciprofloxacin에 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고, 녹농균은 ciprofloxacin에 내성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전신적 감염증환자에 fluoroquinolone은 더욱 주의를 기울여 투여하여야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