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영준의 한국전쟁기 행적과 소설 - 서울에서 겪은 수감 사건과 대구 피난 시절을 중심으로

        나보령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8

        이 논문은 기존에는 납북 체험과 종군작가단 활동을 위주로 논의되었던 한국전쟁기 박영준의 행적에 새로 밝혀질 수 있는 사실이 많고, 재조명될 수 있는 작품들 또한 풍부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와 관련해 첫째, 박영준이 전시 납북된 구체적인 경위 및 귀환 후 월북 혐의를 받으며 수감된 사건에 대해 밝혔다. 특히 전시 서울에서 겪은 수감 사건은 기존에는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자, 해방 이전부터 지속되어왔던 국가폭력의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박영준의 소설을 다시 읽을 수 있는 실마리로서 중요하게 논의하였다. 둘째, 박영준이 대구 피난 시절 종군작가단원 활동 외에 이룬 문학적 성과를 부각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가 여러 종류의 책을 펴냈던 피난지 대구의 출판사 문성당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를 전쟁을 계기로 형성된 피난 문인과 지역 문인, 그리고 지역 자본 간의 교류에 따른 성과로서 조명하였다. 셋째, 박영준의 ‘포로 3부작’을 스티그마 개념을 통해 재해석했다. 소설 속 포로가, 월북 혐의로 수감되었던 박영준처럼, 국민과 민족의 자격이 훼손되거나 의심 시 되는 스티그마를 지닌 인물로 재현된다는 점에 주목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기존에는 반공주의를 선전하는 글쓰기로만 논의되었던 그의 소설을 체제 내부로 편입되지 않는 균열과 뒤틀림의 흔적을 중심으로 다시 읽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허물어진 ‘문 안’ - 박완서의 『나목』을 통해 본 한국전쟁과 서울의 공간적 재편

        나보령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9 No.4

        Seoul during the Korean War was a place which was actively being rebuilt and transformed behind the shadows of death and ruins. The Naked Tree by Park Wansuh describes Seoul through the spatial tension between the old house (Hanok) in Gye-dong, which was destroyed by the war, and the Post Exchange (PX), which was bustling with people even during the wartime. Considering the fact that Gye-dong was relatively intact from the war in real life, the description of the destroyed house seems to have been symbolic.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old house in Gye-dong was intentionally set in parallel with Myeong-dong, the neighborhood next to the PX which became home to the nouveau riche and exuded vulgarity and foreignness in the novel, this study posited that the spaces in Park Wansuh’s The Naked Tree signified the space “within the gates,” which was the spatial center of traditional Seoul, as well as the spiritual values the traditional Seoul represented. In other words, the fate of the old house in Gye-dong in this novel, which is torn down after becoming increasingly dilapidated, reflects the fate of Seoul. As the traditional spatial orders of the city breaks down in the wartime, the spiritual values within the gates, such as dignity, elegance, and tradition also disappears. On the other hand, Myeong-dong, which is situated next to the PX, becomes a stage where people, who used to be in the peripheries by living “outside the gates” before the war, earn dollars through their resourcefulness and rise to become the nouveau riche of the city. Myeong-dong is rebuilt from the ruins at a fast pace thanks to the new class, and the revival of Myeong-dong becomes a direct reflection of their unprecedented rise. The rampant materialism and brashness are in stark contrast to the atmosphere of Gye-dong. Nevertheless, considering that Gye-dong is described as a space of darkness and death that is beyond repair, the novel is not completely rejecting the unrelenting vitality that flows in Myeong-dong. The protagonist Yikyung roams about the old house in Gye-dong and the PX in Myeong-dong, but eventually chose to endure the wartime by joining the latter. It is only in the peaceful and affluent postwar Seoul, which is free from any vestiges of the war, where she realizes that she had dismissed and even thrown away the spiritual values represented by the old house in Gye-dong and that she joined the philistine world, which she had once despised, with relative ease. The shame she feels while visiting the sturdy Western-style house, which was been built where the old house used to be, reminds the protagonist of the things that have disappeared in postwar Seoul, which were represented by an old house that remains in the corner. 전시 서울은 죽음과 폐허의 이면에서 활발하게 재건되고 변모해나가는 시공간이었다. 박완서의 『나목』은 그와 같은 서울의 풍경을 전쟁의 상흔을 입은 계동의 고가와 전시에도 불야성을 이루는 피엑스 간의 공간적 긴장을 통해 펼쳐낸다. 그런데 계동이 실제 전쟁의 피해를 크게 입은 지역은 아니었다는 사실을상기했을 때, 이 상흔은 다분히 상징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나목』에서 계동의 고가가 뜨내기 신흥 부유층이 활개 치는 무대이자, 상스럽고 외래적인 분위기를 발산하는 피엑스 일대의 명동과 의도적인 대칭을 이루고 있다는점에 착안해 이곳이 서울의 전통적인 공간적 중심이었던 ‘문 안’과 문 안으로대변되는 정신적 가치들을 체현한다고 해석하였다. 즉, 퇴락할 대로 퇴락한 끝에 결국에는 해체되는 계동의 고가의 운명은 전쟁이라는 격변기 속에서 서울의전통적인 공간 질서가 해체되고, 기존의 문 안으로 대변되었던 서울의 일상, 문화, 전통, 예술과 같은 정신적인 가치들이 스러져가는 현상을 의미한다고 볼 수있다. 반면, 피엑스 일대의 명동은 전쟁 전의 사회에서는 주변부에 위치하였던 인물들이 강인한 생활력과 달러를 움켜쥐고 서울의 신흥 부유층으로 부상하는 무대로 제시된다. 이들에 의해 명동은 폐허로부터 빠르게 재건되어 나갔고, 명동의 부흥이 곧 이 계층의 비약적인 성장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이들의 노골적인 황금만능주의, 속물주의는 계동의 분위기와 대조되지만, 계동이 더 이상회생 불가능한 암흑과 죽음의 공간으로 표상되었던 것과 비교해 볼 때, 명동을휩싸고 도는 그악스럽고 기승스러운 활기 자체가 부정된다고만은 볼 수 없다. 주인공 이경은 계동의 고가와 피엑스 일대의 명동 사이에서 끊임없이 방황했지만, 결국에는 후자에 편승해 전쟁의 시간을 통과해온 인물이다. 더 이상 전쟁의 자취가 남아있지 않은 평화롭고 풍요로운 전후의 서울에서 그녀는 비로소자신이 계동의 고가로 대변되는 정신적인 가치들을 죽은 것으로 오인하고, 자신이 경멸했던 속물적인 세계에 쉽게 편승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고가가 헐린 자리에 세워진 견고한 양옥에서 느끼는 바로 그 부끄러움은 그녀로 하여금해체되지 않은 한 모퉁이의 고가로 상징되는, 전후의 서울에서 스러져 간 것들에 대해 끊임없이 성찰하게끔 만든다.

      • KCI등재

        모범 소수자를 넘어 이민진의 『파친코』를 통해 본 이주민 소수자 서사의 도전과 과제

        나보령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1

        This article examined how Min Jin Lee’s Pachinko, as a narrative on the immigrant minority, sheds light on Koreans living in Japan, a minority group in Japanese society and one that has not been dealt with in Asian-American literature. The achievements of the minority in the novel are highlight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sectional feminism and transnationalism. Immigration is portrayed as an active move by subaltern women, who are characterized by layers of minority identity. An important discussion was how the minorities’ family relations as ‘bad Gemeinschaft’ were delivered in the form of a family chronicle. Despite such achievements, the minority group in the ‘bad Gemeinschaft’ created by Pachinko are exemplary, and far from ‘bad.’ It is ironic to say “History has failed us, but no matter” considering their huge success as immigrant minority. In fact, the model minority stereotype, which the author attempted to break free from in her previous novel Free Food for Millionaires, is reinforced. Given the surge in anti-Asian sentiments following the outbreak of COVID-19, representing Asians in a genuine, accurate manner is a more critical agenda than the worldwide success of Pachinko. 이 글에서는 이주민 소수자 서사라는 측면에서 이민진의 『파친코』가 일본사회의 소수자이자, 아시아계 미국문학에서 다루어진 적 없는 재일조선인을 재현하는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차성 페미니즘 및 트랜스내셔널리즘의 관점에서 『파친코』에 나타난 소수자 재현의 도전과 성취를 부각하였다. 겹겹의 소수자성을 지닌 서발턴 여성의 능동적 행위로서 이주를 서사화하고, 소수자들의 불온한 공동체로서 열린 가족적 관계들을 가족사 연대기 소설 형식 안에 기입하였다는 점이 이와 관련해 중요하게논의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취에도 불구하고, 『파친코』가 재현한 불온한 공동체 속의 소수자들이 불온하기는커녕 너무도 모범적이라는 점, “역사가 우리를 망쳐 놨지만 그래도 상관없다”고 말하기에는 여전히 매우 성공한 이주민 소수자로 재현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전작 『백만장자를 위한 공짜 음식』에서부터 작가가 부수려 시도한 모범 소수자 성공 신화의 전형을 재생산하는 측면을 비판하였다. 나아가, 코로나 이후 아시아인에 대한혐오와 증오 범죄가 만연한 세태 속에서 『파친코』의 전 세계적인 흥행을 넘어 아시아인의 재현에 대한 더 많은 발굴과 창조라는 과제가 긴요하다고 보았다

      • KCI등재

        편집자 오영수 - 『현대문학』 편집장 활동을 중심으로 -

        나보령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3 한국민족문화 Vol.85 No.-

        이 논문은 오영수의 『현대문학』 편집장 활동을 재구성한 시도이다. 이 과정에서 첫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사장 김기오와 오영수의 관계에 주목해 『현대문학』의 창간 전사를 재조명하였다. 그럼으로써 『현대문학』을 『문예』와 단선적으로 연결 지어온 기존의 접근법 대신, 언양 지역 청년들의 문화적 열망과 문화 운동의 명맥이라는 좀 더 장기적인 문화사 속에서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현대문학』에서 오영수가 담당했던 편집과 제작의 기술적 측면에 주목하였다. 이 논문은 잡지의 체제와 시각적 효과를 고려해 원고를 편집하고 제작하는 이 일을, 문학작품과 장르, 그리고 작가와 독자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하는 작업으로서 논했다. 또한 오영수의 미술적 재능과 디자인 부문의 경험들이 발휘된 영역으로 의미부여 했다. 셋째, 『현대문학』을 매개로 오영수가 시도하였던 독자와의 소통에 주목하였다. 이를 1950년대 문예지 출판시장 속에서 『현대문학』의 독자층을 관리하고 확대하고자 했던 마케팅의 일종으로서 논했다. 이와 함께 잡지의 편집 과정을 소수의 발간 주체의 문학 이념 및 미적 취향을 전달하고 강화하는 과정이 아닌, 독자와 소통하고 교섭하는 과정으로 재인식하고, 독자와 긴밀한 관계를 창출하려 했던 실천면에서 의미 있는 성과로서 재평가했다.

      • KCI등재

        노천명의 한국전쟁기 산문 연구: 카르토그라피로서의 수기, 편지, 수필과 글쓰기 전략

        나보령 한국문학회 2023 韓國文學論叢 Vol.93 No.-

        이 논문에서는 노천명의 한국전쟁기 글쓰기를 ‘부역 여성작가’로서의 사회적, 문단적 위치 및 그와 같은 위치를 규정하는 권력관계의 ‘카르토그라피’를 드러낸 시도로서 재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전집들 및 연구에서 불철저하게 다루어져왔던 수기, 편지, 수필을 포괄하는 노천명의 산문을 연구 대상으로 새롭게 포함하였다. 또한 그로부터 노천명이 여러 문학 장르를 활용해가며, 자신이 처해있었던 문단 안팎에서의 억압과 배제의 상황을 드러내려 했던 측면을 부각하는 한편, 그 장르별 글쓰기 전략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반공주의, 가부장제, 문단문학 제도가 지배적인 전후 한국문학에서 주목 받지 못한 부역 여성작가의 전쟁 체험과 서사를 가시화했으며, 그 점에서 노천명 문학의 의의를 재평가하였다.

      • KCI등재

        羅蕙錫의 초기 텍스트와 崔承九, 李光洙라는 컨텍스트

        나보령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4 No.2

        This paper will discuss the intimate exchange of ideas between Na Hye-sok, Choi Seung-gu and Yi Gwang-su during Na’s studies in Tokyo, as well as investigating what agenda she was promoting while also specializing her writing,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her literary activity in <Hakjigwang> and its sister magazine <Yeojagye>. Specifically, I intend to look at the influences these men’s texts had on Na’s creative focus point in this period, her works on art and wome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in the 2nd chapter I will take a fresh look at 「The Ideal Wife(isangjeok buin)」, which thus far has been read through the lens of feminism, in the context of the new discussions on art found in <Hakjigwang> and regarding Na’s other works of the time, 「Gyeonghui」, 「To the Revitalized Girl」 etc. as supplementary to Na Hye-sok’s artistic views. I will also take a look at how Na Hye-sok’s understanding of art(beauty) is shown in her literary works, and how she resonates with and separates herself from the artistic sensibilities of the ‘ideal artist’ Choi Seung-gu. I confirmed that Na Hye-sok’s texts of that period, and the art theory being published in <Hakjigwang> showed tendencies of seeking out art as one of life’s imperative questions while making art the cornerstone of life and understanding art as something through which to maximize one’s satisfaction in life which correspond with Choi Seung-gu’s art theory. However, Na Hye-sok’s attempts to make life into art, specifically her attempts can be seen as those trying to bring art into the territory of women. In this way one can see through 「Miscellaneous Thoughts(japgam)」 how Na Hye-sok uses Choi Seung-gu’s writings while also monopolizing them through her own particular critical thought process. In the 3rd chapter, I focus on the prominent female consciousness in Na Hye-sok’s texts and how it corresponds to the importance of Joseon women’s lives and rights, and the problem of female enlightenment in Yi Gwang-su’s texts of the same period, as well as the wide berth of intertextuality to be found between the two’s texts. In particular, I analyse the narrative of Byeong-uk in 『Heartless(mujeong)』 and noticing the similarities reiterated in Na Hye-sok’s 「Gyeonghui」 and how this can be seen as Na Hye-sok continuing the Yi Gwang-su’s narrative while discussing new problematic issu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even though 「Gyeonghui」 and 『Heartless』 have similarly focused narrative, when they arrive at the same conclusion, the point where Byeong-uk’s worries end are where Gyeonghui’s begin. To be specific, what sets 『Heartless』 and 「Gyeonghui」 apart is that suspicious and suffering Gyeonghui differs from Byeong-uk, who is an ideologue who iterates a simple and superficial platform saying that women are people too and should be allowed to learn, by being someone whose narrativized interiority is enlarged to the fullest and this difference is also were their most important literary results can be found. In addition to this,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Yeong-chae found it possible to live a new life by recreating her identity from being a gisaeng to that of an artist one can see that both stories are not only showing the image of a New Woman facing a feudalistic value system and reforming it to an independent individualistic one, but both stories also confirm that women embody a type of artist. The fact tha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ation in these two works, in art women were finally able to transcend the restrictions placed on them through traditional, feudalistic society by way of becoming self-aware through discovering that before they are someone’s wife or mother, they are a unique entity, an autonomous subject. This point of view is consistent with the artistic view found in Na Hye-sok’s early texts through which I attempted to shed new light upon particular elements rela... 이 글에서는 羅蕙錫이 일본 유학 당시 崔承九, 李光洙와 함께 <學之光> 및 <女子界>를 중심으로 구축된 談論場에서 문필활동을 해나갔다는 사실에 착안해 羅蕙錫의 초기 텍스트가 이들과 어떤 어젠다를 공유하면서도 특수화시키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羅蕙錫의 텍스트는 <學之光>의 예술담론과 마찬가지로 예술을 삶의 절대의 문제로 추구하면서도, 이를 생활을 토대로 하고 생활의 만족을 극대화시켜주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특히 崔承九의 예술론과 맞닿아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羅蕙錫이 시도한 생활의 예술화, 즉 예술을 생활의 영역으로 하강시키는 일은 생활이라는 여성에게 특권화 된 영역으로 예술을 이끌어오는 시도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李光洙의 『無情』과 「경희」를 함께 읽는 과정에서 두 소설이 모두 자유롭고 주체적인 개인으로 거듭나는 新女性像을 제시할 뿐 아니라, 그 같은 여성을 일종의 예술가로 형상화하고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경희」가 『無情』의 서사를 이어 받으면서도, 병욱의 고민이 끝나는 지점에서 비로소 경희의 고민이 시작되는 양상을 서사화함으로써 進一步한 점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령을 위한 레시피-그레이스 M. 조의 『전쟁 같은 맛』을 통해 본 한국계 미국인의 한국전쟁 기억과 재현

        나보령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人文論叢 Vol.81 No.1

        이 논문에서는 한국계 미국인의 한국전쟁 기억과 재현이라는 측면에서 그레이스 M. 조의 『전쟁 같은 맛』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때 한국전쟁 기억은 비단 한국전쟁뿐아니라, 이 책에서 엄마가 겪은 것으로 제시되는 전후 기지촌에서의 성노동, 국제결혼과미국 이민, 조현병, 그리고 사후에도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엄마의 유해가 드러내는또 하나의 분단 상황에 이르는 일련의 한국전쟁 후일담을 포괄하는 확장된 개념이다. 이를 위해 우선, 『전쟁 같은 맛』에 이르는 작업들에서 나타나는 그레이스 조의 주된문제의식 및 형식적 실험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 연장선상에서 다양한 주체의 목소리와양식을 넘나드는 혼종적 회고록 쓰기를 통해 엄마의 유령적 속성을 가시화하고, 엄마를유령으로 만든 권력에 대항하고자 했던 이 책의 글쓰기 형식상의 특성을 ‘유령 되기’의재현 전략으로서 논했다. 다음으로, 엄마를 구조적 폭력에 의한 희생자뿐만이 아니라, 행위성을 발휘하는 주체로서 재조명하는 과정에서 이 책이 새롭게 주목한 음식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문제와 관련해서는 기지촌 디아스포라로서 엄마가 만든 음식 및 요리 행위로부터 동화와 반란의 양가적 수행성 및 민족주의 젠더 담론에 대한 패러디적 측면을 논했다. 마지막으로, 상기한 재현의 시도와 성과의 다른 한편에서 이 책에서 그레이스 조가 직면하는 엄마의 한국전쟁 기억을 당사자를 대신해 말하는 곤경에 대해 논했다. 이때 주류의 위치에서 주류의 언어로써 소수자의 언어와 말해지지 못한 것들을 번역하는 상황에서 초래되는 간극 및 해석 불가능한 영역들을 과도하게 해석하려는 작가의 욕망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와 동시에 엄마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미국과 한국 양쪽에서 복원되지 못한 유령이라는 점을 부각하면서, 사실, 원본, 정통성 개념을 넘어서는 창조적 재현으로서 이 책에서 시도한 요리와 글쓰기의 의미를 재평가했다. This paper examines Grace M. Cho’s Tastes Like War in the context of Korean American memory and its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War. Here, memory of the Korean War is understood as an expansive concept that encompasses not only the war itself, but also a range of post-Korean War experiences that Cho’s mother is portrayed as having undergone. These experiences include engaging in sex work in the post-war camptowns, international marriage and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schizophrenia, and the ongoing situation of division revealed by her mother’s remains, which never returned to Korea after her death. In order to accomplish this exploration, the paper first examines Cho’s key concerns and formal experiments in the works leading up to Tastes Like War. Following this analysis, it discusses the book’s formal attributes as a strategic approach to representing the concept of ‘becoming ghost’ through hybrid memoir writing. This method aims to make her mother’s ghostly attributes visible through the use of multiple subject voices and forms, thereby challenging the forces that turned her mother into a ghost. The paper then examines the book’s renewed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food in the process of reconsidering the mother as an agent of agency, moving beyond the representation of her solely as a victim of structural violence. Related to this theme is the ambivalent performativity of assimilation and rebellion, as well as the parodic aspect of nationalist gender discourses evident in the food and cooking practices of Cho’s mother as a camptown diaspora. Finally, in light of the aforementioned efforts and achievements in representation, the paper examines the predicament Cho faces in speaking on behalf of her mother’s Korean War memories. It critically analyses the author’s tendency to over-interpret the gaps and uninterpretable areas that result from translating the language of the minority and the unspoken into the language of the mainstream from a position of dominance. At the same time, the paper emphasises that Cho’s mother remains a ghost in both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oday. This leads to a re-evalua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book’s attempts at cooking and writing as a creative recreation that transcends conventional notions of fact, originality, and authenticity.

      • KCI등재

        두 갈래의 ‘작별하지 않는다’는 의지-『소년이 온다』와 겹쳐 읽은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

        나보령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7 No.-

        This paper compared Han Kang’s We Do Not Part (Jakbyeolhaji Anneunda) with Human Acts (Sonyeoni Onda) as a literary representation of history and examined how the form and themes of the author’s former work, Human Acts, are altered in We Do Not Part. First, regarding its form, this paper focused on how We Do Not Part brings the indirect testimonies from a spirit and third-person narrator as a proxy to the fore rather than relying on direct testimonies of the victims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This paper also examined how the novel attempts to collage the testimonies. Through the analysis, this paper shed light on the novel’s attempt to bring history to the present by actively visualizing parts of history that cannot be recreated instead of concealing or complementing it by using the voice of an imaginary yet authoritative subject. Such features of this novel can also be linked to literature’s unique mission to represent history. Next, in terms of themes, this paper discussed how mourning is an ongoing theme in both Human Acts and We Do Not Part. Using Judith Butler’s concept of mourning, this paper posited that mourning in this novel is not an individual and depoliticized act. Instead, mourning becomes a political act that restores the “grievability” in the face of the state’s ban on public mourning. Adding to the themes which were emphasized in Han Kang’s previous works, such as the will to grieve by remembering the past and the determination not to say goodbye to those who have disappeared into history, We Do Not Part imparts the significance of a life worth living, as well as the effort to restore such a worthy life and the determination not to part with the loved ones that live with us here and now. Lastly, this paper pointed out how this novel can be understood as a meta-text of the writing process of a literary work about making two different vows of not parting ways, conveying Han Kang’s notion of literature’s mission and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