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LD 설계용 툴 개발에 관한 연구

        김희석,원충상,Kim, Hee-Suk,Won, Chung-Sang 한국정보처리학회 1994 정보처리논문지 Vol.1 No.3

        본 논문에서는 디지틀 회로를 PLD 소자로 설계하는 PLD 설계용 툴인 PLD Designer 을 개발하였다. PLD Designer는 FSM(finite state machine)의 상태수가 제한적(20개 미만)일 경우, 상태표로부터 부울식을 추출할 수 있는 상태 그래픽 편집기(state graphic editor)와 상태 그래픽 편집기에서 생성된 부울식에 적합한 PLD 소자 (PAL 16R4, PAL22V10, GAL16V8 등)를 선정하여 핀 할당을 실현하는 핀 맵 편집기(pin map editor)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핀 맵 편집기는 fuse map, checksum, JEDEC화일을 생성하며 PLD 디바이스 구현에 사용한다. 생성된 부울식을 검증하기 위해 테스트 벡터 (test vector) 생성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PLD Designer에 의해 생성된 JEDIC화일 과 PALASM의 JEDEC화일과 비교한 결과 동일함을 입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PLD Designer which is a design tool for digital circuits design using PLD device. PLD designer consists of a state graphic editor to extract boolean equations from state table within 20 states of FSM and a pin map editor to assign pin map for PLD device(PAL16R4, PAL22V10, GAL16V8, etc), which is suitable for extracted boolean equations. Also pin map editor generates a necessary JEDEC file to implement PLD device by using fuse map and checksum algorithm. To verify extracted boolean equation, we have developed simulation test vector generation algorithm. The results of JEDEC files generated by PLD designer is same with the results of JEDEC files generated by PALASM.

      • KCI등재

        The Word of God and the Spirit in Isaiah and Acts: Isaianic Influence on Lukan Pneumatology and Its Implications

        김희석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2 구약논집 Vol.23 No.-

        In this article,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 and the word of God, and second, the process of the democratization of both of them, are investigated in Isaiah and Acts. It seems that the role of the Spirit as a helper for the word of God,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has been well established. Moreover, the theolog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lso clearly seen in its relation to the scholarly discussion on the Lukan pneumatology in Acts. It is hoped in this regard that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scholarly discussion, especially to the setting up a new paradigm for Lukan pneumatology. In sum, it is argued argued that the Word of God and the Holy Spirit work cooperatively as a pair for the progress of democratization in the book of Acts. While not placed in the forefront of the scene, the Holy Spirit helps in either preparation for or confirmation of the works of the Word of God. The construal of the theme of New Exodus in Acts could be benefited from the understanding of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Word of God and the Holy Spirit, which is not only influenced by the prophecies of Isaiah in its basic elements but also attempts to go beyond them in its literary/theological loci in the textual flow of Acts.

      • KCI등재후보

        시편 119편 1-64절의 히브리 시적 기법 분석

        김희석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1 구약논집 Vol.20 No.-

        This article purports to perform an analysis on the uses of Hebrew poetic devices in Psalm 119:1-64. Psalm 119 is an acrostic psalm,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accordingly, divided into paragraphs of 8 verses that start with same Hebrew alphabet. This poetic analysis results in diverse features of each paragraph as follows: Paragraph 1(vv.1-8) employs way motif, which implies a life style of obeying God's law. Paragraph 2(vv.9-16) continues to use the way motif of Paragraph 1 to further describe how we should keep the way. Paragraph 3 (vv.17-24) provides description of suffering that the poet needs to endure with in order to continue to walk on the right way. Way motif continuously used in paragraphs 1-3 reaches a climax at paragraphs 4(vv.25-32) where patterns of way motif develops into making clear resolution of the poet in leaving a wrong way and walking in the way of God's words. Paragraph 5(vv.33-40) begins a new interpretive phase, employing Hiphil imperatives and Piel imperatives to make request for God to lead the poet into the way of God's words. Paragraph 6 (vv.41-48절) repeatedly uses cohortatives to bring up the poet's intention established in front of God. Paragraph 7(vv.49-56)은 uses anaphoric demonstrative pronouns and patterns of ‘hayah verb + preposition’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God's words in paragraphs 5 and 6 now have become the poet's song and life. Paragraph 8 (vv.57-64) provides a clearly-made structure by 1st and 2nd suffixes and emphasizes his own request of 'Please teach me' by reversing the order of 1st and 2nd suffixes, thereby establishing a right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imself. 본 논문의 연구목표는 시 119절 1-64절의 히브리 시적 기법을 분석하는 것이다. 알파벳시인 119편을 8절씩 나누어 문단을 구분한 후 분석을 수행했을 때 드러나는 주요 시적 기법은 다음과 같다. 문단1(1-8절)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시적기법은 ‘길’ 이미지가 여호와의 율법으로 행하는 삶을 뜻하는 것으로 설정된 후, 그 길이 여호와의 길임을 선언하고, 그 길이 시인의 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시하는 ‘길’ 이미지의 활용법이다. 문단2(9-16절)는 문단1의 길 이미지를 이어받아 그 길을 정결하게 지켜내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소개한다. 문단3(17-24절)은 시인이 그런 길을 실제적으로 가기 위해 여러 요청들을 하는 고난의 상황들을 묘사했다. 문단1로부터 문단3까지 이어진 길 이미지는 문단4(25-32절)에 이르러 절정을 맞이하게 되는데, 문단4는 길 이미지를 활용한 패턴을 전개하는 시적 장치를 통해, 잘못된 길로부터 떠나 말씀의 길로 걸어가겠다는 의지를 분명하게 드러낸다. 문단5부터는 새로운 흐름이 등장한다. 문단5(33-40절)는 히필 명령형 및 피엘 명령형을 적극 활용하여 하나님께서 시인을 말씀의 길로 인도해 주실 것을 강력하게 요청한다. 이어지는 문단6(41-48절)은 청유형 동사를 연달아 사용함으로써 시인의 의지를 중점적으로 표현한다. 문단5에서 요청을 드린 시인은 문단6에서는 그 요청을 들어주실 하나님께 대한 자신의 결심을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문단7(49-56절)은 전방조응 지시대명사 및 ‘하야 동사 + 전치사’ 패턴의 활용을 통해 문단5와 문단6에서 언급된 하나님의 말씀이 이제 시인에게 노래가, 위로가, 그리고 그의 삶 자체가 되었다는 것을 표현한다. 문단8(57-64절)은 1인칭 접미사와 2인칭 접미사의 구조적 배열을 통해 시적 흐름을 구성하고, 맨 마지막 절에서 1인칭과 2인칭의 순서를 뒤바꾸어 ‘나를 가르쳐 주소서’라는 메시지를 강조하여, 시인과 하나님의 말씀의 관계성을 정립한다.

      • KCI등재

        Anxiety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Progression to Dementia in Patients with Amyloid-Positive Mild Cognitive Impairment

        김희석,주진형,장재원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18 노인정신의학 Vol.22 No.2

        Objective:Anxiety is prevalent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are considered to be a risk factor for conversion to dement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Anxiety symptoms in MCI promote disease progression in a manner related to amyloid statu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symptoms and longitudinal cerebral structural changes. Methods:Baseline data for 230 patients with amyloid-positive MCI (52 with anxiety and 178 without) from the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 study were analyzed. All participants underwent comprehensive cognitive testing, volumetric MRI, and [18F]AV45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myloid imaging. Anxiety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 A voxel-based morphometric analysis using volumetric brain MRI data was used to compare longitudinal structural changes related to anxiety symptoms. Results:The conversion rate to dementia was different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anxiety in amyloid-positive MCI (37.7% vs. 16.1%, respectively ; p=0.001). Anxiety in amyloid-positive MCI was associated with longitudinal cortical atrophy in the left superior temporal gyrus, left Heschl’s gyrus, left parahippocampal gyrus, left anterior cingulum, bilateral anterior cingulum and right superior orbital gyrus. Conclusion:Our study indicates that the presence of anxiety in patients with amyloid-positive MCI is associated with higher conversion to dementia and longitudinal cortical atrophy

      • KCI등재

        잠언 31장 1-9절의 해석학적 기능 -르무엘 왕(잠 31:1-9)과 현숙한 여인(잠 31:10-31)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김희석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5 No.-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Prov 31:1-9, which has been paid not much attention to, with regard to its relationship with its following text, Prov 31:10-31, in order to explore how these texts cooperate as a hermeneutcial conclusion for the entire book of Proverbs. First, in Prov 31:1-9, the mother of king Lemuel warns him against the temptation of women and wine. This set of themes-women and wine-have in common that they put influence upon kings to get away from the righteous judgement, whereby it can be posited that Prov 31:1-9 aims at explaining on an attitude that kings should avoid. Second, several themes in Prov 31:1-9 such as women, righteous judgment, and valor directly connect with description of the woman of valor in Prov 31:10-31. Provided that the woman of valor is a personification of the fear of YHWH, Prov 31:10-31 should be understood as requesting readers to get married to the woman, namely the fear of YHWH.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Prov 31:1-9 functions to present 'what woman should be avoided,' whereas Prov 31:10-31 functions to show 'what woman should be pursued.' Accordingly, the entire chapter of Proverbs 31 serves as a hermeneutical conclusion to the book of Proverbs. Prov 31:10-31 teaches that the readers should utilize the lens of the fear of YHWH as they interpret the individual proverbs in Proverbs 10-31, while Prov 31:1-9 asks the readers to abandon any hermeneutical guidelines but the fear of YHWH. 본 논문은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잠언 31장 1-9절을 주해하되, 특별히 31장 10-31절에 나타나는 현숙한 여인의 주제와 연결하여 살펴본 후, 이 두 본문이 서로 함께 어우러져 잠언 전체의 해석학적 결론으로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점검한다. 먼저 1-9절의 르무엘 왕 어머니의 교훈에서는, 왕에게 여인과 독주에 대하여 경고하는 어머니의 훈계를 발견할 수 있다. 여인과 독주라는 두 가지 주제는 왕으로서 공의의 판결을 행하지 못하게 하는 요소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에, 1-9절은 왕이 버려야 할 통치태도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1-9절의 ‘여인,’ ‘공의의 판단,’ ‘능력’라는 주제들은 10-31절의 현숙한 여인에 대한 묘사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현숙한 여인은 곧 ‘여호와 경외’에 대한 의인화이기에, 10-31절은 독자들에게 여호와 경외와 결혼할 것을 요청하는 본문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1-9절과 10-31절은 각각 ‘어떤 여인을 멀리할 것인가’와 ‘어떤 여인과 결혼할 것인가’를 보여주는 연관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31장의 두 본문은 잠언 전체의 해석학적 결론으로 기능한다. 10-31절이 잠언 전체를 마무리하면서 여호와 경외의 렌즈로 10-30장의 개별잠언을 해석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면, 1-9절은 여호와 경외 이외에는 그 어떤 것도 잠언 해석의 기준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하겠다.

      • KCI등재

        전력 분석에 안전한 AES에 대한 새로운 종류의 충돌쌍 공격

        김희석,박학수,홍석희,Kim, HeeSeok,Park, Hark-Soo,Hong, Seokhie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2 No.9

        본 논문에서는 일차 전력 분석에 안전한 AES의 마스킹 기법을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충돌쌍 공격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충돌쌍 공격은 기존 충돌쌍 공격의 단점인 선택 평문 공격의 단점을 극복하고 기지 평문 공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제안하는 분석기법은 이차 전력분석보다 효율적이며 최근 제안된 충돌쌍 공격에 요구되는 파형 개수에 비해 약 1/27.5배의 파형만을 요구한다. 논문에 포함된 실험 결과들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새로운 분석 기법과 함께 이 방법을 방어할 수 있는 간단한 대응방법을 소개하도록 한다. This paper introduces a new collision attack on first-order masked AES. This attack is a known plaintext attack, while the existing collision attacks are a chosen plaintext attack. In addition, our method is more efficient than the second-order power analysis and requires about 1/27.5 power measurements by comparison with the last collision attack. Some experiment results of this paper support this fact. In this paper, we also introduce a simple countermeasure, which can protect against our atta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