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병원 간호사의 느린 간호 영향요인

        김효춘,임경희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노인간호 스트레스가 느린 간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방법: 자료수집은 2023년 2월 27일부터 3월 5일까지 D시와 K도에 소재한 요양병원 간호사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요양병원 간호사의 느린 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느린 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역량(β=.628, p<.001), 노인간호 스트레스(β=-.142, p=.037)로 나타났고, 느린 간호에 대한 설명력은 43.1%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요양병원 간호사의 느린 간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느린 간호 수행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포괄간호서비스 요구도 및 만족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효춘,이병숙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for improving service quality by identifying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inclusiv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s of geriatric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in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Feb. 3 to June 20, 2020.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with SPSS 22.0, and various and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and post-hoc analysis was performed by Scheff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ed for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of geriatric hospitals in terms of age (F=1.73, p=.020)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F=7.66, p=.003), and satisfaction with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s significant in age (F=2.27, p=.036). In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it is believed that follow-up research to find various variables by developing and applying various studies and programs to increase the demand and satisfaction of inclusive nursing services is necessary.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포괄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및 만족도를 파악하여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20년 2월 3일부터 6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으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제 변수와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effe’s로 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포괄간호서비스 요구도는 연령(F=1.73, p=.020)과 일상생활수행능력(F=7.66, p=.00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포괄간호서비스 만족도는 연령(F=2.27, p=.036)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포괄간호서비스 요구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다양한 변인들을 찾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화장품 옴니채널 속성이 채널신뢰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효춘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3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7 No.6

        This stud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omni-channel during the cosmetics distribution process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properties, channel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the general public who have experience using cosmetics brands (Amore Pacific, LG Household & Health Care, Beauty Net, Tony Moly, etc.) that operate in an omni-channel format, and will be surveyed by an online expert panel from June 15 to June 30, 2023. After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a total of 302 copies of data,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sub-factors of cosmetics omni-channel attributes recognized by consumers were identified: convenience, economic efficiency, safety, and storeability. In terms of the impact of omni-channel attributes on channel trust,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order of storeability, convenience, and safety.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omni-channel attributes on behavioral intention,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order of economy, safety, and convenience. It has been shown to have an impac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hannel trust between omni-channel attributes and behavioral intention, it was found that convenience had a full mediating effect and safe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this study, we understand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related to omni-channel selection attributes and suggest methods to increase customer awareness and evaluation. In order to avoid wasteful competition and secure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in the perfectly competitive online market, It is believed that an omni-channel strategy that combines the strengths of online and offline can be an alternativ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김효춘 ( Hyochun Kim ),박희숙 ( Heesook Park ),최동숙 ( Dongsook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4월 18일부터 5월 10일까지 간호대학생 3, 4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앱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β=.28), 자아탄력성(β=18), 스트레스 대처방식(β=.16)으로 나타났고, 이 중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수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설명력은 21.8%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 탄력성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많이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8th to May 10th, 2020 using a smartphone app questionnaire for 3rd and 4th grade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In the study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subjects were academic self-efficacy (β=.28), ego-resilience (β= .18), and stress coping style (β=.16). Academic self-efficacy had the greatest effect, and the explanation power for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se variables was 21.8%.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ethod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promotes academic self-efficacy, self-resilience and can utilize a lot of stress coping methods.

      • KCI등재

        뷰티아카데미 교육 강사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김효춘 ( Hyo-choon Kim ),권기한 ( Ki-han Kwon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2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뷰티아카데미를 이용하는 학생의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에 뷰티교육 강사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의 관점에서 만족하는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설문대상은 서울ㆍ경기 지역의 뷰티아카데미에서 교육받은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21년 9월1일부터 9월 25일 까지 총 370부의 설문지중 불성실한 응답자의 설문지 20부를 제외한 35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유의수준 p < .05에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뷰티아카데미 교육 강사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교육 방식 만족도와 교육설계 만족도, 진로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설계 만족도, 교육방식 만족도가 진로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만족도는 뷰티아카데미 교육 강사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뷰티아카데미 교육 강사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를 통해 뷰티 아카데미 교육강사의 커뮤니케이션 활용능력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즉, 미용을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교육의 만족도를 높이고 교육의 질을 개선하여 미용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미용교육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eauty academy instructors’ communication competence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with a goal of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s which meet students’ need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students from beauty academies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September 1 to 25, 2021. Among a total of 37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50 copies excluding 20 poorly answered on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assuming a significance level of 5% (p < .05),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Beauty academy instructors’ communication compet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a training method,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design and career decision-making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a training method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design reveale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Educational satisfaction also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influence of beauty academy instructors’ communication competence on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In other words, beauty academy instructors’ communication competence has an impact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The above results confirm that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beauty industry by hiring qualified instructors through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도 요인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김효춘 ( Hyochun Kim ),박희숙 ( Heesook Park ),최동숙 ( Dongsook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도 요인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지역 간호대학생 3, 4학년 173명으로 구조화된 앱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사회적지지는 회귀계수가 .165에서 .036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지적 유연성이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또한 이러닝 기술환경은 학습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므로(B=.28, p <.001), 사회적지지는 이러닝 기술환경이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제 변수들의 설명력은 23.2%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매개효과인 사회적지지 환경 내에서 학습몰입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대상자의 학습몰입과 관련된 다른 변인들과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research stud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learning immersion factors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3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K area, in grades 3 and 4,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app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social support showe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decreased from .165 to .036, which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learning immersion. Also, since the e-Learning technology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B=.28, p <.001),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the e-Learning technology environment on learning immers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3.2%.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learning immersion within the social support environment, which is a mediating effect, in order to increase the learning immersion of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a follow-up study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related to the subject’s learning immersion is suggested.

      • KCI등재

        병원 규모별 간호사의 느린 간호 수행도 비교

        우현미,김효춘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low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by hospital size and to compare this performance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es and hospital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0 nurses from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Daegu Metropolitan City, 100 nurses from a general hospital, and 100 nurses from a nursing hospital who had clinical work experience in direct patient care for more than one yea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at the tertiary general hospitals in all the variables evaluated. The slow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The slow nursing performance of nursing hospital nur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age,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and working experience. Therefore, any research on slow nursing by hospital size should evaluate the significant factors identifi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slow nurs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each hospital and to develop slow nursing measurement tools and a program to address the issues related to slow nursing. 이 연구의 목적은 병원 규모별 간호사의 느린 간호 수행도를 조사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느린 간호 수행도를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대구광역시에 있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100명, 종합병원 간호사 100명, 요양병원 간호사 100명으로 임상근무 경력 1년 이상인 직접 환자 간호를 수행하는 자이며, 제한기준은 직접 환자를 간호하지 않는간호사이다. 자료 분석은 기술 통계 분석, t- test, ANOVA를 활용하였다.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느린 간호 수행도는제반 변수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종합병원 간호사의 느린 간호 수행도는 성별, 연령, 학력, 근무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느린 간호 수행도는 연령, 학력, 직위, 근무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병원 규모별로 느린 간호에 대한 연구를 할 때 이 연구 결과에서 확인한 유의한 요인을반영하여 각 병원 특성과 규모에 따른 느린 간호 구성요인 확인과 느린 간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느린 간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운동지속 관련연구

        박희숙,김효춘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연구목적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는 2017년 11월 20일부터 12월 10일까지 수집되었다. 대구와 경북의 요양병원 입원환자 1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SPSS 22.0을 이용하여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운동지속의 차이는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 입원기간, 일일 운동소요시간과 주당 운동 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운동지속 변수의 설명력은 47.4%였다. 연구결론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운동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와 신체기능이었고, 그 중 사회적 지지가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지속적인 운동을 위해 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와의 교류 및 교육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of the elderly in hospital.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November 20, 2017 to December 10, 2017. The subjects were 123 hospitalized patients in Daegu and Gyeongbuk gerontological hospitals and analyzed by t-test, ANOVA, Scheffe’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2.0 The differences in exercise dur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level of educa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admission period, daily exercise time, and exercise frequency per week. The explanatory power of exercise adherence variables of gerontological hospital was 47.4%. The social support and physical function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ercise adherence of the gerontological hospital, and social suppor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development of related programs and the exchange and education with the community for the continuous exercise of the gerontological hospital.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희숙,최동숙,김효춘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데 있다. 자료수집은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2~4학년의 간호대학생 141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앱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2.0으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된 학업성취도, 학습태도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의 전공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51.4%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를 인지하고, 학업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본다.

      • KCI등재

        일 간호 대학생들의 노인 성 태도 관련요인

        최동숙,박희숙,김효춘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 간호 대학생들의 노인 이미지와 노인 성 지식, 노인 성 태도 정도를 확인하고, 노인 성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7년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일개지자체에 소재한 간호 대학생 1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2.0으로 t-test, ANOVA와 Scheffe’s test, multiple regression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결과를 살펴보면 연령, 학년, 노인의 이성교제, 노인의 재혼이었다. 노인의 성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노인 성 지식과 연령, 이성교제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노인 성 태도에 대한 설명력은 32%였다. 결론: 대상자의 노인 성 지식이 높을수록 노인 성 태도가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간호 대학생들이 노인 성지식을 보다 쉽게 학습하여 노인 성 태도를 향상시키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lderly image,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of the elderly in a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exual attitudes of the elderly. Methods: This study was to descriptive research 149 nursing college students in a one local from May 15 to May 31, 2017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Scheffe 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2.0. Results: The resul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ge, grade, dating, remarried of the elder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xual attitudes of elderly people were sexual knowledge of the elderly, age, dating and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ere 32%. Conclusion: The higher the sexual knowledge about the elderly, the more acceptable the sexual attitudes of the elderl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for nursing students to learn the knowledge of the elderly more easily and to expand th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attitude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