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도시 정보 시리즈 : 광둥성 포산시(广东省 佛山市)

        김홍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14 지역 기초자료 Vol.2014 No.-

        ▶ 중국 광둥(广东)성 중남부에 위치한 포산(佛山)시는 광둥성 내 경제규모가 셋째로 큰 도시이자 대표적인 공업도시로 로컬 민영기업이 중심이 되어 산업발전을 이루었음. - 포산시는 광둥성 성도(省都)인 광저우(广州)시와 인접해 있고, 2011년부터 교통ㆍ물류ㆍ통신 부문을 시작으로 ‘광저우·포산 도시일체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음. - 2012년 포산시의 지역총생산(GRDP)은 6,613억 위안으로 광저우(13,551억 위안), 선전(12,950억 위안)에 이어 광둥성 내 3위이나, 2위인 선전(深川)시와의 격차가 비교적 큰 편임. - 광둥성의 주요 산업이 밀집되어 있는 주장(珠江) 삼각주 9개 도시 중 포산시가 GRDP 대비 2차산업의 비중(62.3%)이 가장 높으며, 메이디(美的), 거란스(格兰仕), 캉바오(康宝) 등 다수의 로컬 가전제품 제조사가 포산시를 근거지로 하여 발전하였음. ▶ 포산시는 각 지역구의 자치역량이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신도심 건설사업을 추진하여 도시를 재건하고 고부가가치 산업육성을 도모하고 있음. - 포산의 난하이(南海)구와 순더(顺德)구는 1980년대 둥관(东莞)시, 중산(中山)시와 더불어 ‘광둥성의 4마리 호랑이’라 불릴 정도로 일개 도시에 못지않은 명성을 떨쳤으며, 현재에도 구정부는 당해 지역사업에 대해 시정부보다 강한 영향력을 발휘함. - 향후 포산 제1중심지가 될 포산신도시(佛山新城)를 순더구에 개발 중이며, 2개의 부심지인 리구이신도시(沥桂新城)와 순더신도시(顺德新城)를 각각 난하이구와 순더구에 개발할 계획임. - 일례로 순더구 정부는 포산신도시에 ‘중국ㆍ독일 제조서비스단지’를 조성하여 생산자 서비스, 신소재, 첨단 IT 분야 등 기업의 투자를 적극 유치하고 있음. ▶ 주요 산업은 전기장비·비금속광물·금속제품 제조 등이며 제조업과 IT 융합, 광전자, 신소재, 신에너자동차 등 전략적 신흥산업 육성 등을 통해 산업구조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음. - 전체 제조업 부가가치에서 전자장비제조가 가장 큰 비중(22%)을 차지하며 주요 생산품목은 가전제품, 자동차부품, 건축자재(도자기류), 가구, 섬유 및 의류잡화 등임. - 구체적으로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 개발과 제조장비 제조, 충격흡수기·구동계통 등 자동차 부품, 코팅·도료 등 석유화학 다운스트림 부문을 육성하고자 함. ▶ 포산시는 소비지출 중 교통·통신비에 대한 지출 비중이 매우 높으며, 2011년 기준 자동차 보급수준은 중국 평균의 2.1배, 광저우시의 1.3배에 달함. - 2013년 포산시 100가구당 자동차 보급수준은 65.3대로 1.5가구당 자동차 1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등록 운전사 수는 전체 상주인구의 35%를 차지함. ▶ 포산시의 발전전략 및 시장수요를 감안하여 직접투자뿐만 아니라 기술협력, 제품공동개발, 유통채널 협력의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 - 우리나라 기업은 현지 시장수요가 높은 환경산업 또는 지역특화산업인 기계장비, 자동차부품, 전자제품 분야의 투자를 고려할 수 있음. - 일례로 포스코는 1998년 현지 철강수요에 따라 포산시에 강판가공공장을 설립하였으며, 최근에는 오랜 공업화로 인해 환경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처리, 에너지절약, 배수관 최적화 등 관련 사업을 추진 중임.

      • 광저우(廣州)시 주요 소비특징 및 상권

        김홍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12 지역 기초자료 Vol.2012 No.-

        ▶ 역사적으로 오랜 통상도시인 광저우시는 광둥성 내 경제 및 소비 규모가 가장 크며, 공업 대도시인 포산(佛山)시와 도시통합계획이 진전 중임. - 광저우시는 진한(秦漢) 시대 이래 중국 대외통상에 핵심적인 도시였으며, 현재에도 중국에서 가장 큰 무역박람회인 캔톤페어(Canton Fair)가 매년 개최되어 중국 대외무역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광저우는 광둥성 내 경제·소비 규모가 가장 크고,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며, 수출입규모와 소득수준은 광둥성 내 3위임. - 지리적으로 광둥성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둥성의 대표적인 공업도시 중 하나인 포산시와 향후 광포(廣佛)경제권을 형성하여 도시 경제·산업 규모를 더욱 확대할 계획임. ▶ 광저우시 소비시장은 최근 5년간(2005~10년)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소득계층 간 소득격차가 크고, 소득수준이 비슷한 다른 도시에 비해 소비성향이 매우 높은 특징을 보임. - 최근 5년간 광저우시 소비재판매액 평균성장률은 18.7%로, 2009년(13.4%)을 제외하고 소비재판매액 증가율이 꾸준히 상승해 왔음. - 2010년 광저우시 소득배율(상위 20%의 소득/하위 20%의 소득)은 5.0으로 상하이(4.2)보다 높으며, 소비 성향(소비/소득)은 81.6%로 선전시(70.4%), 상하이시(72.9%)를 모두 상회함. - 특히 하위 20% 소득층의 소비성향은 106.5%에 달하며, 핵심소비계층의 소비성향(76.8%)도 선전시(59.1%)와 상하이시(65.2%)보다 높음. ▶ 광저우시는 교육·문화·여가 활동에 대한 지출비중이 높고, 휴대폰 및 자동차 보급률이 높으며, 제품품질에 대해 비교적 민감한 편임. - 광저우시는 중국 평균수준 및 상하이시와 비교하여 기초소비에 대한 지출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교육·문화·여가 활동에 대한 지출비중이 비교적 높음. - 휴대폰, 자동차 등 고급소비재의 보급률이 상하이보다 각각 23%포인트, 7%포인트 높음. - 광저우 시민은 제품의 품질에 대한 기대수준이 비교적 높으며, 구매결정 시 품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 ▶ 광저우시 주요 상권은 구(舊)도심인 리완구, 웨시우구와 신(新)도심인 톈허구에 분포하며, 다른 도시와 비교해 도매시장이 매우 발달하였음. - 광저우시의 상권은 웨시우구의 베이징루(北京路), 리완구의 상샤지우(上下九)로 대표되는 구도심상권과 톈허루로 대표되는 신도심상권으로 나눌 수 있음. - 기존의 광저우시 상권의 중심은 웨시우구, 리완구, 톈허구에 집중되었으나, 도시가 팽창함에 따라 하이주(海珠)구, 바이윈(百雲)구 등 주변지역으로 점차 이동, 분산되는 현상을 보임. - 광저우시 도매시장 규모는 광둥성 전체의 54.7%에 달하며, 주변의 제조업 단지에서 생산된 제품이 모여 들었다가 다시 광둥성 전역으로 흩어지는 집산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ㆍ미 FTA와 외국인직접투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홍원 한국관세학회 2007 관세학회지 Vol.8 No.2

        This paper examined activation plan of FTA(Free Trade Agreement) & FDI(Foreign Direct Investment) with KOR US(Republic of Korea - U. S. A.). The Republic of Korea concluded an historic agreement with the United States on April 2, 2007. This comprehensive trade agreement will eliminate tariffs and other barriers to trade in goods and services, promote economic growth, and strengthen economic tie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United States. Korea is a $1 trillion economy and is the United States' 7th largest goods trading partner. In 2006, U. S. goods exports to Korea were about $32.5 billion, an increase of 16.9% from the previous year. U. S. foreign direct investment of 2006 in Korea totaled roughly $1,701 million and was concentrated largely in the manufacturing, banking, and wholesale trade sectors.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FTA and FDI with KORUS promote economic growth and expanded global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