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부시 블루베리의 품종별 과실 특성

        김호철,김태춘,Kim, Ho Cheol,Kim, Tae-Choo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ternal and external fruit quality of highbush blueberry cultivars introduced in Korea. The fruit of blueberry showed a double S-shaped growth curve, and the fruit weight increased significantly per seed increased by 0.02 g. The sugar content ranged from 9.5 to 14.2°Bx, with a large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And the free sugar was composed of glucose and fructose as a reducing sugar, and mannitol as a sugar alcohol. The organic acid content was 0.7~1.13%, and citric acid was higher than that of malic acid. Fruit hardness showed a berry characteristic that rapidly declined as the coloring progressed.

      • KCI등재

        육묘 기간에 따른 고추 묘의 소질과 정식 후 생육 및 수량

        김호철(Ho Cheol Kim),조윤희(Yun Hee Cho),구양규(Yang Gyu Ku),배종향(Jong Hyang Bae)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6

        본 연구는 고추 묘의 소질과 정식 후 생육 및 수량에 대한 육묘 기간(45, 55, 65, 75일 및 85일)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육묘 기간에 따라 정식 전 고추 묘의 초장, 마디수 및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은 육묘 기간이 긴 묘일수록 높았고, T/R율은 45일 및 85일 묘에서 높았다. 육묘 기간에 따라 생산된 고추 묘의 정식 후 10주째에 초장, 경경, 엽면적은 45일 및 55일 묘에서 뚜렷이 높았다. 식물체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45일 묘에서 무거웠지만, 건물률은 가장 낮았다. 착과된 과실의 수 및 무게는 45일 묘에서 가장 높았다. 정식 후 18주 동안 성숙과 수확량은 45일 및 55일 묘에서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하면 고추의 생육 및 상품과 생산량은 45일과 55일 묘에서 좋았다. 그러므로 노지 재배 시 고추 묘의 육묘 기간은 45일에서 55일 사이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eedling quality,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hot pepper (Capsicum annum) grown in the open field according to seedling growth periods (SGPs) of 45, 55, 65, 75, and 85 days. Before planting, plant height, node number, leaf area, fresh and dry weight of seedlings were high in longer-SGP treatments, the T/R ratio was high in SGP 45 and SGP 85 treatments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At 10 weeks after planting, plant height, stem diameter and leaf area of plants treated with SGP 45 and SGP 55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Fresh and dry weight of the plant with SGP 45 treatment was greatest, however, the dry matter percentage with SGP 45 was low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Fruiting number and weight per plant were highest in SGP 45 treatment. Shorter SGP treatments such as 45 and 55 days gave greatly increased total weight of ripened fruit at 18 weeks after planting. Our results showed that SGP for hot pepper grown in the open field influences plant growth parameters and marketable yield, so that SGP 45 to SGP 55 is optimum to cultivate hot pepper plant.

      • KCI등재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 시 적정 급액농도

        김호철(Ho Cheol Kim),차승훈(Seung Hoon Cha),김철수(Chul Soo Kim),이혜진(Hye Jin Lee),이용범(Yong-Beom Lee),배종향(Jong Hyang Ba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8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7 No.3

        코이어 배지(코코넛 분말:섬유=70%:30%, v/v)를 이용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에서 공급 배양액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고자 EC 2.5, 3.0, 3.5 및 4.0dSㆍm?¹의 농도를 공급하였다. 생육 기간 동안 배양액의 급액 농도에 따른 슬라브내의 EC는 급액 농도가 높아지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 함량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배액의 pH는 안정적이었으며, EC는 급액 농도 EC 4.0dSㆍm?¹에서 EC 7.3dSㆍm?¹로 높았을 뿐만 아니라 표준편차와 변이계수도 높았다. 초장은 급액농도 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광합성율은 급액 농도 EC 4.0dSㆍm?¹에서 전반적으로 높았다. 과중은 급액 농도 EC 4.0dSㆍm?¹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과형은 급액 농도 EC 3.5dSㆍm?¹에서 정사각형에 가까웠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vestigation of optimum concentration of supply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s of sweet pepper using coir substrates (coconut dust : fiber=70% : 30%, v/v). During the growing period, it was found out that the electric conductivity (EC) would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supply nutrient concentration but it wa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isture content. The pH of drainage was stable, while EC was high showing EC 7.3 dSㆍm?¹ in EC 4.0 dSㆍm?¹ of supply nutrient concentration. Also,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were high. Plant length was no difference by the supply nutrient concentration. Photosynthesis rate was generally high in supply nutrient concentration EC 4.0 dSㆍm?¹. Fruit weight was heavy in supply nutrient concentration EC 4.0 dSㆍm?¹, fruit shape was close to a regular square in supply nutrient concentration EC 3.5dSㆍm?¹.

      • KCI등재

        감 ‘부유’의 과실 비대 및 착색 증진에 대한 과실 성숙기에 결과지의 잎 제거 효과

        김호철(Ho Cheol Kim),배현주(Hyun Ju Bae),김태춘(Tae-Choon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0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9 No.3

        본 연구는 단감 ‘부유’ 품종을 대상으로 과실 비대 및 착색에 대한 성숙기에 결과지의 잎 제거 정도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잎 제거 정도에 따라 과실 주변의 조도는 자연광의 70.1klux에 대하여 무처리구에서는 7.9%, 20% 처리구에서는 13.6%, 50% 처리구에서는 16.4%, 그리고 100% 처리구에서는 30.0% 수준이었다. 과피색 a값은 무처리구 및 20% 처리구에서 수확직전까지 일정 수준으로 꾸준히 증가하였고, Chroma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다가 처리 7주 이후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확된 과실의 무게와 직경은 100%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가볍고 짧았다. 과형지수는 무처리구와 다른 처리구들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과실 당도는 무처리구보다 다른 처리구들에서 낮은 경향으로 50%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과피색 a값은 무처리구 및 20% 처리구에서 높았고, 과피색 b값과 Chroma 값은 20%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과피 내 베타 카로틴 및 라이코펜 함량은 잎의 제거 비율이 높은 처리구일수록 낮은 경향이었고, 총 엽록소 함량은 이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괴질 성숙기에 과실 주변 잎을 제거하는 처리는 과실 착색 증진에 다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f removal on enlargement and coloring of persimmon fruits (Diospyros kaki L. cv. 'Fuyu'), four treatments control (0%), 20%, 50%, and 100% depend on leaf removal of fruit bearing branch were applied to persimmon trees. Sunlight intensities around fruits with treatments depend on removal level, compared with natural sunlight intensity (100 percentage level), was 7.9%, 13.6%, 16.4%, and 30%, respectively. Hunter a<SUP>*</SUP> of the fruit with control and 20% removal treatments to harvest season increased continuously. Chroma<SUP>*</SUP> of the fruit since the removal treatments of leaves increased continuously in all treatments, but from seventh week that had a decreasing tendency. The fruit weight and diameter were significantly heavy and short in treatments with 100% removal level. L/D ratio of the frui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the other treatments. Soluble solids of the fruits lowed significantly in treatment with 50% removal level. Hunter a<SUP>*</SUP> of the fruits was better in treatments with control and 20% removal levels, Hunter b<SUP>*</SUP> and Chroma<SUP>*</SUP> lowed significantly in treatment with 20% removal level. β-Carotene and Iycopene concentration of the fruits lowed in treatment with the higher of removal level, total chlorophyll contents had the opposite tendency to the pigments. All results considered, removal level of leaves around fruit on bearing branch in fruit maturation stage had effect on fruit coloring improvement.

      • KCI등재

        단감 ‘부유’의 과실 비대와 착색에 대한 결박 처리 영향

        김호철(Ho Cheol Kim),배현주(Hyun Ju Bae),김태춘(Tae-Choon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0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9 No.2

        단감 ‘부유’를 대상으로 과실 비대 및 착색 증진에 위한 결박 처리 시 가지 종류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고자 결과모지, 부주지 및 주지에 철사를 이용하여 결박 처리하였다. 철사 제거 직후 6주 동안 과실 직경과 과피색 a값은 무처리에 비해 결과모지 및 주지 결박 처리에서 더 많이 증가하였지만 부주지 결박처리에서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박 처리 8주 후 수확된 과실을 처리하지 않은 과실과 비교하면, 과중은 모든 결박처리에서 더 무거웠는데 특히, 주지 결박처리에서는 월등히 무거웠다. 과고는 주지 결박처리에서만 더 높았고, 과경은 결과모지 및 주지 결박처리에서 더 길었다. 과실 당도는 결과모지 및 부주지 결박처리에서 다소 높거나 비슷하였으나, 주지 결박처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과피색 a값은 결과모지 및 주지 결박처리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이와 반대로 과피색 b값은 낮게 나타남으로써 Chroma값은 결과모지 및 부주지 결박처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과피 내 라이코펜 및 베타카로틴 함량은 부주지 및 주지 결박처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지만, 결과모지 결박처리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 엽록소 함량은 모든 결박 처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To investigate effects of binding treatments of branches (FMB, fruiting mother branch; PSB, secondary scaffold branch; SSB, primary scaffold branch) on enlargement and coloring of persimmon ‘Fuyu’ fruits in ripening period, the branches were bound by steel wire. For eight weeks after binding treatments, Hunter a* of fruit peel in FMB and SSB binding treatments was more increased than in the others. In fruit characteristics harvested at eight weeks after the binding treatments, the fruit weight was heavier in the binding treatments than in control, the first of those was in SSB binding. The fruit height was higher in SSB binding than in the others, but the fruit diameter was longer in FMB and SSB binding treatments. Solid soluble content was higher in FMB and PSB binding treatments. Chroma* of the fruit peel was higher in FMB and PSB binding treatments as Hunter a* and b* values were higher and lower in FMB and SSB binding treatments, respectively. Lycopene and β-carotene content in the fruit peel were higher significantly in PSB and SSB binding treatments, total chlorophyll content in all the binding treatments was lower than in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