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변혁적ㆍ거래적 리더십의 한국적 적실성 검토

        김호정 서울행정학회 2001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리더십효과가 크고 변혁적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의 효과를 증폭시킨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한국의 행정조직과 기업조직내 중간간부들의 리더십을 대상으로 검증한 것이다. 검증결과 기업조직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정조직에서는 상반되는 결과가 나왔다. 행정조직에서는 변혁적 리더십보다 거래적 리더십의 효과(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가 오히려 더 컸으며 변혁적 리더십의 증폭효과보다 거래적 리더십의 증폭효과가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그 결과 행정조직은 기업조직보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관계가 현저히 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행정조직이 기업조직에 비해 기계적 구조에 더 가깝고 리더의 보상제공 권한이 보다 제한적이어서 행정조직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정개혁을 위해 변혁적 리더십을 장려하거나 발휘하기에 앞서, 조직구조를 개편하고 리더의 보상제공 권한을 강화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가 학령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효능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호정,장혜인,이동미,박주희 한국아동학회 2022 아동학회지 Vol.43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VID-19-related stress, parental efficacy, and cognitive flexibility on depression of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and to examine a moderated mediation model. Methods: Data on cognitive flexibility, parental efficacy, COVID-19-related stress, and depression were collected from 441 working mothers who had at least one school-aged child using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CFI)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 COVID Stress/Disruption,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s.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version 4.0.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COVID-19-related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depression in working mothers, which was mediated by parental efficacy.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further indicated that this indirect effect varied depending upon the mothers’ sense of control a sub-factor of cognitive flexibility. Therefore, when mothers perceived they were unlikely to exercise any control over change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their parental efficacy exerted a greater mediating effect.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reducing COVID-19-related stress and increasing parental efficacy could alleviate depression among working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Furthermore, cognitive interventions could be effective in helping those working mothers experiencing a low level of parenting efficacy due to COVID-19-related stress to perceive the demanding situation as within their control.

      • KCI등재후보

        만성 저산소 환경에 의한 신경세포의 사멸에 recombinanterythropoietin이 미치는 영향

        김호정,백진기,양성준,강기영,김강련,김현 대한체질인류학회 2005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8 No.4

        Chronic hypoxia has been associated with change in neurovascular behavior, mediated, in part, by erythropoietin (EPO). EPO, a hematopoietic growth factor, could act as a neurotrophic facto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PO and erythropoietin receptor (EPOR) expressions by cortical neuron in vivo and in vitro and tested the hypothesis that EPO serves protective functions under chronic hypoxia. E18, P5 and P7 mice for 3 days and primary cultured neurons for 6 days were incubated in hypoxic conditions consisted of a mixture of 10% O2, 5% CO2, 85% N2. To study expressions of EPO, EPOR, caspases, pAKT, pERK, and PARP, immunohistochemical stainning and western blotting were carried out. In addition to expressing EPO and EPOR under normoxic conditions, neurons increased their expression of EPO and EPOR under hypoxia. The effects of recombinant EPO appeared to be mediated via the phosphatidylinositol (PI) 3-kinase-AKT pathway, correlated directly with activation of caspase 3. Also recombinant EPO decreased expression of caspase 8, but not caspase 9. Finally, recombinant EPO decreased apoptosis of cultured neurons as evaluated by expression of PARP. These data support a role for EPO in maintenance of cortical neuron under chronic hypoxia. 만성 저산소증은 중추신경계의 신경세포와 혈관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 EPO (erythropoietin)은 조혈작용을 유도하는 성장인자로서, 최근에는 신경세포의 생존을 유도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만성 저산소증이 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며, recombinant EPO가 신경세포의 사멸을 지연시키거나, 방어할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이번 실험을 시행하였다.만성 저산소 환경을 10% O2, 5% CO2, 85% N2의 가스를 혼합하여 구성하여, 흰쥐를 3일간 사육하였으며, 일차배양된 대뇌피질 신경세포를 6일 간 배양하였다. 대뇌피질에서 EPO와 EPOR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조직 화학법을 이용하여 염색하였으며, 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여 PARP와 pERK, pAKT, 그리고 caspase들의 발현의변화를 관찰하였다. 먼저 만성 저산소 환경에서 3일간 사육한 발생 18일, 생후 5일 및 7일째 되는 흰쥐의 대뇌 피질에서 erythropoietin과erythropoietin receptor가 발현되는 양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이 때 만성 저산소 환경이 대뇌피질에서 erythropoietin과 그 receptor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일차 배양된 신경세포를 만성 저산소 환경에 9일 간 노출한 후 recombinant EPO를 투여한 결과 세포사멸의 표지인 PARP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세포사멸을 방어하는 세포내 신호 전달 경로를 확인하고자 AKT와 ERK의 인산화를 확인하였는데, AKT의 인산화는 증가하였으나, ERK의 인산화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capase 3과 8의 활성화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투여한 EPO의 농도가 높을수록 caspase 3와 8의 발현의 억제가 더욱 뚜렷하였다. 그러나 caspase 9의 발현에는 변화가 없었다.즉 만성 저산소 환경은 신경세포에서 EPO가 EPOR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투여한 recombinant EPO는 AKT 경로를 통해 caspase3과 8의 활성화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세포 사멸을 감소시켰다. 또한 이와 같은 작용은 EPO의 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들은 신경세포의 EPO가 만성저산소증에 의해 유도된 적응의 일종임을 나타내는 것이며, recombinant EPO가 신경세포의 손상을 방어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나아가 EPO가 만성저산소증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방어할 수 있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 학술연구논문 포스터발표 : 3분과: 산림공학, 사방, 토목, 벌채 ; Landsat 위성 이미지를 이용한 임분 수준에서의 산림 특성 분석에 대한 보고

        김호정 한국임학회 2013 한국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

        산림 조건들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Landsat 이미지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수준의 관심이 있어왔다. 우리는 여기서 임분 수준에서의 산림특성에 관한 측정에 있어서의 Landsat 이미지를 집중한다. 최근 관련된 논문들에 근거하여, 분석 기술들에 있어서 연구적인 맹점들이 존재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적용된 이미지 구분 기술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분석 회기 기술이 가장 광범위하게 적용된 것을 알수 있다. k-Nearest Neighbor (kNN) 도 사용이 증가되었음을 알게 된다. 더해서, 다양한 분석 기술 (예, kriging, neural networks)등에 대한 사용이 시작되었고 관심도 증가되어가고 있다. 임분 수준에서의 산림특성에 관하여서는 지상부 바이오매스는 주요하게 분석되었으며, 임분 나이 분석, 수종 분석, 및 수고에 대해서는 더욱 심층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존재한다.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과 전통적 리더십의 관계 및 바람직한 리더십 모형 : 公·私組織의 중간관리층을 대상으로 Focusing on The Middle-level Manager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김호정 한국정책학회 2001 韓國政策學會報 Vol.10 No.3

        본 연구는 최근에 등장한 변혁적 리더십과 기존의 전통적 리더십(구조주조·배려·거래적 리더십)간 상호보완효과를 검증하고, 구조주조·배려·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의 다양한 조합형태 중 어떤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를 찾아내려는 것이다. 나아가 그 결과를 공·사조직간에도 비교하려는 것이다. 분석결과 상호보완관계에 관해 기업조직에서는 선행연구들과 거의 유사하게 나왔으나 행정조직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행정조직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전통적 리더십의 효과를 보완하지 못했으며 오히려 전통적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를 상당히 보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람직한 리더십 모형에서는 공·사조직에서 공통으로 네 가지 리더십을 모두 강하게 발휘하는 리더의 부하들이 조직몰입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plementary effect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and traditional leaderships, and to find the most desirable model among the various combination forms consisting of transformational and traditional leaderships. Furthermore, this study is to compar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terms of complementary effects and the most desirable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s predicted, the complementary effects of public sector contrast with those of a private sector. In a public sect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could not complement traditional leaderships but traditional leaderships complemented significant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Conversely, in a private sector the complementary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are much stronger than those of traditional leaderships. But the most desirable model is common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at is, members whos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the highest perceive their leaders perform strongly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ditional leaderships.

      • KCI등재

        국내외 제도 비교를 통한 폐의약품 관리 개선 방안

        김호정,최예지,이인향 한국임상약학회 2019 한국임상약학회지 Vol.29 No.4

        Background: At the end of the‘Waste Drug Disposal Project’, collection and disposal of waste drugs remain a social issue.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suggestions to improve the drug waste management system in Korea by comparing domestic and overseas relevant programs. Methods: This i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outh Korea, Australia, Canada, France, and the US. These overseas countries were selected because they have been operating waste drug management programs continuously to date. Comparison was conducted by a pre-determined analysis frame including legal regulation, enforcement program and its performance. Results: All selected countries except Australia had legal regulations on drug wastes. The US had the largest variety of drug waste disposal methods. Canada had recommended that pharmacies actively participate in drug waste withdrawal programs. France had the largest variety of methods to promote relevant programs, including window sticker, SNS, and app, as well as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and participation. Australia had the lowest level of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pharmaceutical waste management programs. Pharmaceutical companies took responsibility of paying for these programs in the selected overseas countries. Conclusion: Fur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clear guideline including the role of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to develop various methods for the public to be aware of appropriate ways of disposing drug wast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