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수업 중에 실행되는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양상 연구

        김호정(Kim, Ho Jung),정연희(Jung, Yon Hee)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5 No.-

        본 연구는 한국어 교수·학습 중에 이루어지는 수정적 피드백의 실행 양상을 살피고, 이에 대한 학습자 및 교사의 인식 양태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초급 수준의 대학 한국어 수업을 세 차례에 걸쳐 녹취하였으며, 교사에게 수업 전, 후로 교수·학습 과정안 및 교수 일지를 작성하게 하고 그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 및 대면 인터뷰를 실시하고 피드백 실천에 대한 그들의 인식 양상을 조사하였다. 총 6차시 분량의 수업 담화 분석 결과, 수업별로 수정적 피드백의 세부 유형 및 선택 빈도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1에서는 반복(32.43%), 수업2와 3에서는 고쳐 말하기(38.29%, 53.48)%) 유형의 피드백이 가장 많이 제공되었으며, 전체 수업에서는 총 127회 피드백 가운데 고쳐 말하기가 43회(33.85%)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수업 중에 제공된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 결과를 통해서는 피드백의 실행 빈도, 유형, 방법 등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와 관련 문법 항목의 이해 정도, 어려운 요인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서면 인터뷰와 대면 인터뷰에서는 교사의 피드백 결정에 관여하는 맥락적 변인을 고찰할 수 있었다. 동시에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 간에 간극이 있음을 인지하고, 수정적 피드백의 수준을 제고하며 일회성, 즉각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the corrective feedback is provided in a Korean language classroom and then propose how to improve efficacy of corrective feedback on the grammar. For this study, first, it examines the aspects of feedback provided in a real teaching·learning situation. It records a Korean class three times offered for beginning learners at A University for basic liberal art education. Then video-recorded classroom discourse are analyzed under consider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Second, it investigates students" and a teacher"s perceptions on the feedback and analyzes the variations to effect pedagogical decision on the corrective feedback. Third, it conducts a joint study with the teacher not to observe classroom discourse and analyze the result of interview from a third party perspective. For this, the result of transcribed discourse and interview are analysed with the teacher after video-recording and interviewing. On the basis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this paper suggests educational discussion points on optimized corrective feedback consider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variation.

      • KCI등재

        한국어 수업 담화 분석을 통한 교사의 문법 용어 사용 사례 연구

        김호정(Ho Jung Kim),박재현(Jae Hyun Kim),김은성(Eun Sung Nam),남가영(Ka Young Nam) 언어과학회 2011 언어과학연구 Vol.57 No.-

        This paper examines how Korean language teachers determine the use of grammar terms in their class, analyzing teachers` class discourse about 10 hours and one focus-group interview data among them for two hours. The results indicate that even teachers consider the use of grammar term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should not be suggested mostly, but they actually use them in various ways in detailed class scenes.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this paper suggests that teachers make a pedagogical decision, examining learners` proficient level, institution`s teaching policy, textbook`s features, learners` learning track, class characteristics, and also their own teaching experiences and academic orientation as a teacher. These factors mutually interplay and eventually influence their pedagogical decision about the use of grammar terms in classes. As a result, the use of grammar terms by teachers appear to be far more complicated and dynamic than expected, and their explicit thought about the use of grammar terms do not often seem to correspond with their actual practices. Thus, this paper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consider themselves as a teacher, that is, ``an independent decision-maker`` with specialty and experienc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소화성궤양 환자에 있어서 공복시 혈청 Gastrin 및 Pepsinogen 1 측정치에 관한 연구

        김호정(Ho Jung Kim),이호심(Ho Sim Lee),유병철(Byung Chul Yoo),박실무(Sill Moo Park) 대한내과학회 1989 대한내과학회지 Vol.37 No.4

        N/A Fasting serum gastrin and group I pepsinogen levels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in 42 patients with gastric ulcer, 111 patients with duodenal ulcer, 80 patients with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and 25 patients with recurrent duodenal ulcer confirmed by endoscopic biops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sting serum gastrin level between patients with peptic ulcer and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2)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as noted in fasting serum pepsinogen I levels between patients with duodenal ulcer and patients with gastric ulcer and also patients with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3) The fasting serum pepsinogen I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patients with recurrent duodenal ulcer than in patients with duodenal ulcer. 4)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in fasting serum gastrin levels and fasting serum pepsinogen I levels in patients with gastric ulcer, duodenal ulcer,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and recurrent duodenal ulcer.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fasting serum pepsinogen I may be useful as a subclinical marker far recurrent duodenal ulcer.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행정풍토와 관료의 부패행태

        김호정(Kim Ho-Jung) 한국정치학회 1999 한국정치학회보 Vol.33 No.2

        본연구는 행정풍토가 관료의 부패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행정풍토와 관료부패행태가 한국과 미국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차이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이론적 검토를 보완하기 위해 경험적 연구도 추가하였는데, 한국의 부산광역시 공무원과 미국의 뉴욕주정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료부패행태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행정풍토는 신뢰, 책임성, 이기주의, 엄격한 내부감사, 엄정한 관리자로 나타났다. 둘째, 행정풍토 중 신뢰, 이기주의, 내부제보 여건, 엄정한 관리자는 한ㆍ미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면서 미국이 양호한 상태였다. 셋째, 부분적 조사이기는 하지만 한국이 미국보다 관료부패행태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한국이 미국에 비해 행정조직 구성원들간 신뢰가 낮고 이기주의가 강한 반면, 내부제보에 불리한 여건이고 관리자들이 부하의 위법행위에 관대한 성향을 보이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부패의 성격과 설문조사의 한계로 인해 변수측정에서 부패행태에 속하는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없었던 아쉬움을 안고 있다.

      • KCI등재

        일반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습득 양상 연구(1)- "-고"와 "-어서"를 중심으로-

        김호정 ( Ho Jung Kim ),강남욱 ( Nam Wook Kang ) 한국어교육학회(구-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0 국어교육 Vol.0 No.132

        This paper aimed at examining Korean learners` grammar acquisition focusing on the conjunctive suffixes `-go` and `-eoseo`. As such, we examined 82 advanced-low to mid-intermediate written texts over a two year period. One hundred seventeen errors out of a total of 1,179 conjunctive suffixes were investigated. We found a total of 43 errors regarding the use of `-go` and among them, replacement errors from the use of `-eoseo` occurred 23 times, representing the largest proportion of errors. Errors regarding the use of `-eoseo` numbered 25, of which only three replacement errors resulting from the use of `-go` occurred. The error rates regarding the use of `-go` (36.75%) and `-eoseo` (21.37%) were found to occupy the largest proportion (i.e., 58.12%) of replacement errors. The phenomena of replacement errors involving `-go` and `-eoseo` could be explained by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conjunctive clauses such as `list`, `related sequence`, and `cause`. In this study, weconsidered aspects of subsequent acquisition of `-go` to `-eoseo` and focused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conjunctive suffixes with respect to markedness, condition of grammar use, and error cause analysis.

      • KCI등재

        한국어 쓰기 교육의 원리와 교육 방안 탐색

        김호정 ( Ho Jung Kim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이 논문에서는 L2 쓰기 교육의 패러다임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쓰기 교육의 원리를 찾아, 이를 토대로 하는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일부 실제 적용 예를 살펴보았다. L2 쓰기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는 작문 현상을 설명하는 여타 이론의 영향 관계에 따라. ``형식 초점``, ``필자 초점``, ``내용 초점`` 및 ``독자 초점`` 이론으로 기술·설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같은 초점과 관점의 변화로, 어느 하나의 이론이 다른 하나를 대치하고 절대적인 지위를 확보했던 것은 아니다. 각각의 이론은 뚜렷하게 변별되는 차이점 외에, 시기적으로 겹치기도 하고, 개념적인 면에서 공통점을 보이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이 같은 패러다임의 변화 발전을 수렴하여, 학습자를 중심으로, 결과가 아닌 과정을 중시하고, 텍스트 장르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쓰기 교육을 표방하되, 무엇보다 독자와 필자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쓰기 교육 원리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 같은 쓰기 교육 원리를 토대로, 초고에서 퇴고에 이르는 쓰기 과정을 함께 하며, 독자와 필자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 속에, 텍스트의 거시적 차원에서 미시적 차원에 이르기까지 교사의 피드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hifts in pedagogical focus on L2 writing and to search for principles and devices of L2 writing pedagogy. Approaches to L2 writing pedagogy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four foci, each of which can be linked to a particular school of thought:``focus on form``, ``focus on the writer``, ``focus on content``, and ``focus on the reader``. Based on these approaches, some principles are presented, which are focusing on learners, procedures of writing, knowledge about genre, and interaction between writers and readers. Furthermore, devices for developing lesson plans are proposed, which are intended to realize multidrafting, lively interacting, and providing feedback from macrolevel concerns to microlevel features of tex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