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제환경협력 로드맵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김호석,이현우,박준희,정성운,김이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기본연구보고서 Vol.2020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증가하는 국제환경협력 수요에도 불구하고 원 차원에서 국제협력사업의 방향과 우선순위가 부재하여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 ㅇ 이에 주요 국제환경 이슈 및 트렌드 분석을 통해 국제환경협력 수요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국제협력방안을 마련하여 우리나라의 국제협력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필요가 있음 □ 우리 원의 국제환경협력 방향 설정, 우선순위 사업분야 및 연구주제 발굴, 단계적 협력방안 제시 등 종합적인 국제환경협력 로드맵을 수립하는 것이 연구 목적 ㅇ 본 연구를 통해 주요 국제환경 이슈 및 트렌드 분석을 통해 국제환경협력 수요를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국제환경협력 현황 전반에 대한 점검을 통해 국내외적 수요와의 격차를 분석하여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국제협력방안을 모색 Ⅱ. 기존 연구현황 및 한계 □ 국제협력 부문에서 수행한 연구 또는 사업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기관의 실적 및 주요 부처별 국제협력 수요와 함께 살펴본 결과, 몇 가지 한계점이 도출되었음 ㅇ SDGs, 유엔환경총회(UNEA: UN Environment Assembly) 등 지구적 의제 및 협력 프로세스에 대한 지원 및 참여가 부족 ㅇ 국제공동연구 확대를 위한 체계적 노력이 부족 ㅇ 신남방, 신북방 등 정부의 대외정책과 연계가 부족 ㅇ 국제개발협력 부문에 대한 지원과 환경 분야의 신규 ODA 사업 발굴이 부족 □ 시사점 ㅇ 글로벌 의제 및 협의체 참여 지원 ㅇ 국제공동연구 발굴 ㅇ 국가 대외정책과 연계 ㅇ 국제개발협력 제고 지원 Ⅲ. 포럼 주요내용 1. 포럼 개요 □ 국제환경협력에 대한 부처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연구기관 등의 수요를 파악하고, 국제협력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국제·북한협력연구실장이 주축이 되어 전문가로 구성된 포럼을 총 4회 운영 ㅇ 제1차 포럼에서는 KEI의 경영목표 및 비전에 따른 국제협력업무 목표와 현황, 운영조직, 국제협력업무 유형을 논의 ㅇ 제2차 포럼에서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연구기관 중에서 STEPI, KIEP의 국제협력 담당자를 초청하여 우리나라 개발원조의 현황 및 개선할 점을 함께 논의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제협력업무와 예산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경사연이 주도로 구성된 글로벌코리아포럼 활용방안에 대해서도 논의 ㅇ 제3차 포럼에서는 원내 국제협력업무 중에서도 ODA를 중심으로 그 현황과 향후 추진방안에 대해 토론 ㅇ 제4차 포럼에서는 환경부가 설립을 준비하고 있는 국제환경협력센터의 목적과 향후 활동을 전망 2. 포럼주제 및 내용 □ 제1차 포럼 ㅇ 일정: 2019.7.10.(수), 13:30~15:30 ㅇ 발표주제: KEI 국제협력업무 현황과 발전방향 ㅇ 발표 및 토론자: (발표자) 김호석 국제·북한협력연구실장, 박준현 전문연구원 (토론자) 임원실, 국제·북한협력연구실, 기타(기후변화적응센터장, 국토정책평가실장, 기획 전략부장, 통합물관리연구실, 환경계획연구실, 성과관리실, 디지털소통협력팀) □ 제2차 포럼 ㅇ 일정: 2020.1.10.(금), 14:00~16:00 ㅇ 발표주제: 경사연 및 소속기관의 국제협력 전략과 방향 ㅇ 발표 및 토론자: (발표자) 송치웅 STEPI 부원장 (토론자) 정지원 KIEP 개발협력팀장, 임원실, 국제·북한협력연구실 미래전략팀장 □ 제3차 포럼 ㅇ 일정: 2020.1.22.(수), 14:00~16:00 ㅇ 발표주제: KEI 국제협력업무 현황과 추진방향 ㅇ 발표 및 토론자: (발표자) 송영일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선임연구위원, 이병권 국토정책 평가실장 (토론자) 임원실, 국제·북한협력연구실 □ 제4차 포럼 ㅇ 일정: 2020.3.11.(수), 14:00~16:00 ㅇ 발표주제: 국제환경협력센터 유치 관련 주요 이슈 및 준비사항 ㅇ 발표 및 토론자: (발표자) 김호석 (토론자) 임원실, 송영일, 추장민 Ⅳ. 결론 및 제언 1. 정책연구의 목표 및 추진방향 □ 정책연구의 목표 ㅇ 국제공동연구 확대를 통한 연구역량 제고 ㅇ 유엔환경총회(UNEA) 및 다자간환경협약(MEAs) 국가 이행 지원 ㅇ SDGs 이행 및 국제개발협력 전략에 연계된 환경 ODA 지원 ㅇ 국제적 성과 확산 및 네트워킹 강화 □ 추진방향 ㅇ 글로벌 환경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공동연구 확대 ㅇ 권역·지역별 환경 현안 해결에 기여하고 협력을 촉진하는 연구 강화 ㅇ 다자간환경협약의 적극적 대응을 위한 동향 파악 및 추진방향 모색 ㅇ 개도국의 환경 ODA 사업 발굴 및 SDGs 이행 지원 2. 추진방안 □ 주요 과제 ㅇ 지속가능발전 공동연구 확대 ㅇ 미세먼지, 폐기물, 기후변화 분야 국제공동연구 확대 ㅇ 지역 환경 이슈 대응을 위한 협력 강화 ㅇ 중점협력국 환경 ODA 사업 발굴 ㅇ 개도국 SDGs 이행 지원을 위한 환경 분야 ODA 강화 ㅇ 다자간환경협약 국가 이행 강화 및 세계환경협약 등 다자간환경협약 개편 논의 대응 Ⅰ. Background and Aims □ There is a lack of strategic direction and prioritization of activities in responding to an increasing demand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ㅇ It is needed to support the enhancement of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by addressing an increasing demand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developing systemic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strategy.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nthetic roadmap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ncluding a strategic direction, prioritized work areas and research topics, and step-by-step cooperation plans. ㅇ This study assesses needs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by reviewing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ssues and trends, and explores systemic and strategic international cooperation options to improve the KEI’s performance by examining the gap between current and desired practices. Ⅱ. Current State and Limitations □ This study reviewed the KEI’s research works and projects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omparison with the ones conducted by the member institutions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RC) and the demand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related ministries to identify the following limitations. ㅇ Limited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the global agendas and collaboration processes, such as the 2030 Agenda and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 (UNEA) ㅇ Lack of systemic efforts to extend international research collaboration ㅇ Insufficient linkages with the national foreign policies, such as the New Southern Policy and the New Northern Policy ㅇ Insufficient support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new environmental ODA projects □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strategy ㅇ Strengthening support for participation in the global agendas and collaboration processes ㅇ Furthering exploration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ㅇ Enhancing linkages to the national foreign policy initiatives ㅇ Supporting the enhancement of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Ⅲ. KEI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Forum □ The three fora were organized as part of the project, which examined the demand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 The First Forum ㅇ The first forum was held on the 10th of July 2019. ㅇ The theme was ‘The KEI’s International Cooperation: Current State.’ ㅇ The speakers were Hoseok Kim (KEI) and Junhyun Park (KEI). ㅇ Summary and key findings: Current stat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line with the KEI’s goals, vision, and governance □ The Second Forum ㅇ The second forum was held on the 10th of January 2020. ㅇ The theme was ‘Strategy and direction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RC) and its member institutions.’ ㅇ The speaker was Chi-Ung Song (Vice president,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ㅇ Summary and key findings: i) The state of Korea’s development aid and future directions and ii) potential roles of the Global Korea Forum established by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RC) in creating synergies among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ctivities of its member institutions □ The Third Forum ㅇ The third forum was held on the 22nd of January 2020. ㅇ The theme was ‘The KEI’s International Cooperation: Future Directions.’ ㅇ The speakers were Young-il Song (KEI) and Byeong-kwon Lee (KEI). ㅇ Summary and key findings: The KEI’s ODA-related activities and future directions □ The Fourth Forum ㅇ The fourth forum was held on the 11th of March 2020. ㅇ The theme was ‘Hosting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ssues and Preparedness.’ ㅇ The speaker was Hoseok Kim (KEI). ㅇ Summary and key findings: The goals and prospects of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Ⅳ. Conclusion and Suggestions □ Objectives of policy research ㅇ To enhance research capacity through expanding international research collaboration ㅇ To support the national implementation of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 and 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s (MEAs) ㅇ To support the national implementation of the SDGs and the environmental ODA related to the 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trategy ㅇ To strengthen international outreach and global network □ Implementation strategy ㅇ Expand research collabo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ㅇ Expand international research collaboration in the areas of particulate matter, waste and climate change ㅇ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tackle regional environmental issues ㅇ Explore environmental ODA projects with core partner countries

      • 우주비행체 열차폐재료 연구를 위한 아크 플라즈마 특성 평가

        김호석,최채홍,오필용,문세연,홍봉근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0.4 MW 급 분절형 아크 히터 플라즈마 풍동이 전북대학교 고온플라즈마 응용연구센터에 구축되어 있으며, 분절형 아크 플라즈마 토치는 마하 3 의 속도에서 13MJ/kg 이상의 엔탈피를 갖는 초음속 플라즈마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플라즈마 유동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10g/s ~ 16g/s 의 가스 유량과 200A ~ 350A 의 입력전류 조건을 변화하면서 실험하였다. 본 플라즈마 풍동 시설은 10MW/㎡ 이상의 열유속을 발생하여 우주 비행체의 열차폐재료의 성능 시험에 이용한다. 0.4 MW class arc-heated plasma wind tunnel has been constructed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BNU) in Korea. A segmented arc plasma torch was designed to produce a supersonic plasma flow with enthalpy above 13 MJ/kg at a velocity of Mach 3. With flow rate of the gas in the range of 10 g/s to 16 g/s and the input current in the range of 200 A to 350 A, characteristics of the plasma flow were investigated. It is shown that this facility can produce high heat flux above 10 MW/㎡ relevant for the study of a heat shield material for aerospace application.

      • KCI등재

        커피축제 페스티벌 스케이프가 감정반응과 전반적 만족 및 추천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김호석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19 호텔리조트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estivalscape and emotional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latitude of coffee festival participants. We aimed at visitors to the coffee festival. From October 2-5, 2018,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t the main event of the Gangneung Coffee Festival, 400 copies were collected, and 339 copi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61 fraudulent double copies.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frequence, reliabilit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WIN 22.0 and AMOS 21.0. The result of SEM analysis provided the following model fits:χ2=1349.646, d.f.=478(χ2/d.f.=2.823), p=.000, GFI=.810, AGFI=.777, RMR=.194, NFI=.870, IFI=.912, CFI=.911 . This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ill help in the administrative aspects of the festivalscape that make up the festival environment for festival personnel to plan and manage the Gangneung Coffee Festival which is situated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festival of the future Gangneung area, a successful local festivals to provide an efficient marketing implications for the order.

      •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강화방안

        김호석,강상규,최석진외 한국환경연구원 2011 수시연구보고서 Vol.2011 No.-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교육인 동시에 인류가 직면한 생태계 문제와 경제적, 사회적 발전의 관계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 지속가능 발전교육은 인식관련 학습과 이론적 논의뿐만 아니라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성취하기 위한 필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에서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교육과학기술부가 고시하는 국가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이며, 이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하는 교과용 도서(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등)이다. 교과용 도서에 한번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이 포함 및 강조되면 다음 교육과정 개정(우리나라는 평균 개정 주기는 5년∼10년)까지 관련 내용을 의무적으로 지도하고 각종 시험에 출제하게 된다. 정부는 2009년 새 교육과정을 개정하여 이미 총론 편제를 고시하였고, 2011년 중으로 각 교과목의 목표와 내용 체계 등을 포함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교육과학기술부 방침으로 공고하고 있다. 이에 최근 지속가능발전교육 이슈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2009년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 방안 마련과 각 교과목 교육과정에 교과목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반영하고 강화하기 위한 자료의 개발과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독일 및 일본의 동향을 살펴보고, 초·중등학교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각 교과목별로 현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지금까지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 포함 정도와 수준 등을 분석하고 2009년 새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주요과목별(국어, 도덕(윤리), 사회, 과학, 체육, 실업(기술·가정), 영어, 중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창의적 체험활동) 지속가능발전 참고자료를 제시하였다.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s essential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refore, can be a strong platform and a diverse linkage to many fo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ol that has been employed. ESD has encouraged consistent endeavors to support educational programmes and systems including both methods and contents for unsustainable and less developed societies and countries. ESD has an impact on all components of economy, ecosystem, education, legislation, policy, etc. That is to say, ESD can be used as a driving force to induce norms of lifelong learning and increase feasibilit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ase of South Korea, as that the educational needs of people in the world changes constantly, the roles of ESD in South Korea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Korean people changes as well. Accordingly, responding the needs and reinforcement of ESD in Kore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cluding green growth, this paper introduces educational programs and conten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South Korea. Many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 Korea have already implemented ESD. For instance, educators not only weave substantiality themes into compulsory education employing participatory methods, but also a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decision makers intend to raise people’s awareness on ESD with the no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een growth. In fact,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has implemented many programmes using an ESD approach to learning which is essential for improving substantiality.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ourse of study, norm of ESD has been treated. In 2009, new curriculum for public education was adopted. Therefore, the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ESD in South Korea, properties and problems of ESD in Korea, and introduces the case of Germany and Japan. In addition, in order to support educators at front-line who need an guidebook for his or her students, the introductory contents for ESD are included.

      • P4G 파트너십 의제 개발 및 국내 대응방안 연구

        김호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환경포럼 Vol.241 No.-

        지난 2018년 10월 20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는 제1차 ‘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 이하 P4G)’ 회의가 개최되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P4G 회원국 정상과 기관·기업·시민사회 파트너 대표들은 지속가능발전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혁신적 민관 파트너십’을 확대하기로 뜻을 모으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코펜하겐 행동 선언’을 채택하였다. P4G는 식량·농업, 물, 에너지, 도시, 순환경제 5개 분야에서의 SDGs 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된 글로벌 파트너십이다. ‘민관 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s)’을 파트너십의 기본 모델로 삼고 있다는 점과 이를 실제 사업으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경험, 네크워킹, 국제적 인지도 등을 자금과 함께 지원한다는 점에서 다른 SDG 파트너십과 구별되는 특성을 갖는다. P4G는 우리나라의 『2030 의제』 이행 측면에서 두 가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첫째, P4G는 우리나라가 개발도상국의 SDGs 달성을 지원하는 수단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SDGs 파트너십이 운영되고 있는데, 그 중 P4G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회원국과 다양한 민간 파트너가 참여하는 독특한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SDGs 달성을 지원하고 있다. 둘째, P4G는 우리나라의 산업, 제품, 기술, 지식, 경험이 국제적으로 진출·확산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국내 기업들이 개발도상국 SDGs 도전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인 동시에 새로운 시장 개척의 기회가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첫째, 국내에 P4G의 구조와 활동을 소개하여 여러 이해당사자들의 인식을 제고하고 참여를 촉진하고, 둘째, 우리나라가 핵심참여국으로서 P4G의 발전에 기여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셋째, P4G와 국내 정책과의 연계를 통해 국내 이해당사자들의 참여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코로나19 경기 대응을 위한 환경 분야 재정지출 확대의 유효성: 그린뉴딜의 경제학

        김호석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20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9 No.2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야기된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적극적인 확장 재정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1930년대 대공황 시기와 비교되며 ‘뉴딜식’ 정책이 제안되기도 하는데, 그중 하나가 이른바 ‘그린뉴딜’이다. 그린뉴딜은 경기부양을 목적으로 환경 분야 지출을 확대하는 것으로서, 재정정책과 환경정책 두 가지 측면의 효과를 모두 ‘주목적’으로 하는 정책 수단이다. 우리 정부도 경기를 부양하고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그린뉴딜을 한 축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 정책 추진 방안을 발표하였다. 최근 녹색전환과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린뉴딜 추진 방안과 관련하여 다각도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은 환경 분야 사업을 그린뉴딜 방식으로 추진할 때 기대되는 재정정책 및 환경정책 측면에서의 효과를 고찰하는 한편 향후 국내 코로나19로 야기되는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린뉴딜을 추진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정책적 고려사항을 제안한다.

      • 환경평가와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계운용 방안에 관한 연구

        김호석,송영일,김이진,임영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RE-08

        환경평가는 특정한 사회경제적 편익을 위해 시행되는 개발사업이 유발하는 환경적 영향을 사전적으로 평가하는 체계적인 제도적 절차로 지속가능발전 이행을 위해 필수적인 수단이다. 하지만 현행 환경평가는 영향요인을 매우 세부적이고 전문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사업으로 인한 시간적, 지리적으로 광범위한 지속가능발전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평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지표를 중심으로 연계방법론을 개발함으로써 환경평가에 기초한 지속가능성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지금까지 지속가능발전 이행 및 추진과정에서 환경평가의 역할이 제한적이었던 가장 큰 이유는 이미 개발된 다양한 지속가능성 측정 및 평가 방법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환경평가의 지속가능발전 이행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며 그 대안으로 환경평가와 SDI 연계방법론 및 연계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계방법론은 DPSIR체계(Driving forces - Pressure - State - Impact - Response framework)라 불리는 SDI 구축방법론에 그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다. DPSIR체계의 개발을 위해서는 각 유형의 지표 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인과관계에 대한 사전적인 연구와 분석이 요구된다. 이는 한 국가의 환경관련 연구성과와 제도적 경험을 총체적으로 활용하여야 가능한 작업이다. 본 연구의 연계방법론은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환경평가와 국가 및 지역 SDI의 결합을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지속가능성평가의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환경평가를 지속가능성 측정지표 및 평가시스템에 부합하는 형태로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환경평가와 지속가능성 측정지표와의 적절한 연계는 평가시스템 도입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둘째,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평가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평가결과를 지속가능성 측정ㆍ평가체계와 연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평가 결과가 지속가능발전 이행 및 의사결정에 있어서 요구되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본 연구는 이른바 DPSIR체계라 불리는 SDI 구축방법론을 기반으로 연계방법론을 개발하였다. DPSIR체계는 지표를 인간활동(human activities)과 환경여건(environmental conditions) 간 상호작용의 설명과 관리과정에서의 순차적 역할에 따라 분류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요구되는 연계방법론과 그 기본적 구조가 일치한다. 넷째, 평가항목별로 선정된 SDI를 연계방법론의 기본구조인 DPSIR 체계에 따라 재구성하여 최종적으로‘연계된 지표체계’(linked indicator framework)를 구축하고 있다. 환경평가항목을 유발요인(D), 압력지표(P) 및 상태지표(S)로 구분되고, 평가항목별로 분류된 SDI 목록은 상태지표(S), 영향지표(Ⅰ) 및 반응지표(R)로 구분하였다. 연계된 지표체계는 개발사업의 목적, 사업이 유발하는 환경압력 그리고 그로 인한 환경변화를 SDI와 연계함으로써 환경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당해 사업이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속가능발전 촉진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와 전략환경평가의 실효성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영향평가에 대해서는 국가 및 지역단위 SDI를 통해 기존 평가의 시간적ㆍ지리적 범위를 확대할 수 있을 것 Environmental Assessment (EA) is the systemic process for evaluating environmental impacts resulting from various development proposals in different stages of implementation. The primary purpose of EA is to assist decision­makers responsible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to determine how to control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of development proposals. In addition to EA, ?Sustainability Assessment?(SA) and ?Sustainability Impact Assessment?(SIA) are recent ideas that have become widely used by advocates to ensure that development proposals are consistent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Consequently, the role of EA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needs to be redefined. Due to several method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wo assessment approaches, it is difficult to directly integrate EA into a more comprehensive and aggregated SA process. The indicator­based assessment method, the most commonly used approach in sustainability assessment, includes various environmental indicator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it does not appear difficult to integrate them. However the differences in spatial, temporal, and sectoral coverage of the two assessments are obstacles that have to be overcome before any real progress can be achiev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EA is the appropriate environmental management tool for facilitating sustainable development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 and how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can be introduced as a part of the current EIA and SEA systems to enhance their role in sustainability analyses. Based on various initiativ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ustainability indicators, primary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re select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set of measurable indicators of key themes regarding local and national sustainability. These indicators are divided into separat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thematic areas of UN CSD­ISD in order to ease linking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items. Then, the final framework of indicators, ?Linked DPSIR Indicators Framework for Environment Assessment?, is established. This framework classifies environmental assessment items into driving force and pressure and state indicator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into state and impact and response indicators in order for linking to be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