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교육 실태,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의 비교
김호상,유미현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5 과학영재교육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rivate education, subjective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between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a survey about private education, subjective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was conducted with 272 sciencegifted students selected and educated by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Seoul and Gyeonggid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97 avera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was similar and over 90% of students received private education. Private education was recognized as positive help to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admissions of gifted students and school grades of average students. However, gifted students thought reading and in-depth learning in interested areas were more helpful in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admissions than private education. Second, compared to average students,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ubjective well-being, low stress and low depression. Third, comparison of gifted students’subjective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from private education showed the more hours were spent for private education, the lower selective well-being and the higher depression were. Fourt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showed that gifted students with high subjective well-being had lower stress and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교육 실태,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을 비교하고 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을 정서적으로 보다 더 이해하고 지도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소재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선발되어 교육받고 있는 과학영재 272명과 일반학생 97명이다. 연구를 통해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교육 실태 현황은 비슷하게 나타나 90% 이상의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고 있었으며, 사교육이 과학영재의 영재교육기관 선발과 일반학생의 학교 성적에긍정적인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이 높고 스트레스가 낮으며 우울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 시간에 따른 과학영재의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 정도를 비교해본 결과 사교육을 받는 시간이 많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낮고, 우울 정도는 높았다. 넷째,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과학영재가 스트레스, 우울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재료를 이용한 박스빔 형태 금형의 온도상승에 따른 치수 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김호상,이찬희,이원기 한국복합재료학회 2018 Composites research Vol.31 No.1
Composite material and mold steel can be expanded differently with the temperature gradients during the forming process because their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s are not the same. Therefore, in order to manufacture the product with accuracy, it is necessary to verify that the forming pressure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is maintained to the required level from the material supplier. In this paper, the pressure between the composite material and mold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was predict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accuracy of predicted value was verified by measuring the thermal expansions of mold steel by the ruler. The predicted value by finite element analysis is closely in agreement with one by the experiment within the required tolerance value of ±0.05 mm. 복합소재와 금형강 간에는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하여 성형 과정 중의 온도 구배에 따라 다른 열팽창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금형 내에 복합소재를 삽입하여 성형을 하는 경우 복합소재의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이 소재의 업체에서 추천하는 성형 압력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의 차이에 따른 복합소재와 금형 사이의 압력을 유한요소해석법을 사용하여 예측하였으며 열팽창에 따른 금형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해석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각 온도에서의 해석과 실험값의 차이로써 매우 근사한 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틈새 예측 값의 목표치인 ±0.05 mm 안에 들어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복합소재에 작용하는 압력을 추정한 해석값이 신뢰할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新羅王京에 나타난 自然現像 - 三國史記 新羅本紀 記錄을 中心으로 -
김호상,황보은숙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6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of natural phenomenon in Silia capital based on the records of 『三國史記』 「新羅本紀」, including passing it over by other scholars. And the changes of natural phenomenon in Silia capital is made a list in tabular form for the other researchers. On all the records about natural phenomenon in 『三國史記』 「新羅本紀」, these could be found: First, red tide, representative phenomenon in the sea, is only 3 times of records in 『三國史記』 「新羅本紀」 and all of them were occurred in July from Adalla king's days. In these days red tide also is occurred in same season compared to the past's. Second, there are 48 times of earthquake and 29 times of flood records in 『三國史記』 「新羅本紀」 and most of them were occurred in same province compared to these days. And flood influenced on the people heavily in ancient society, so administrator worried about it extremely and tried to relieve it from people above all things. Lastly, there are 6 times of yellow dust, 23 times of typoon, 22 times of hail, 24 times of frost, 9 times of thunder, 3 times of fog, 13 times of snow, 30 times of solar eclipse and 70 times of comet and shooting star of records in 『三國史記』 「新羅本紀」. Especially there were our ancestors' excellence and precision in records of yellow dust and flog rain in addition to records of solar eclipse, comet and shooting star.
김호상,김권일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7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
Archaeological research in Hwangseongdong in Gyeongju has continued since the official excavation launched in 1990. For a time, the study focused on the examination of metal artifacts and an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the metals used. Research has since developed into a study of the processes of iron metallurgy and iron ware manufacture. One result of this more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these processes should be regarded as a significant achievement in ancient Korean iron-making culture. The most remarkable findings of the research show that iron-making furnaces, which play he most important role in iron and iron ware manufacturing,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process involved, such as purifying, forging, fusion and iron manufacturing, and that these different processes were carried out in one particular iron-making complex, Hwangseongdong. This study attempted to discover the manufacturing sites unearthed in Hwangseongdong according to their proces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urnaces employed in different processes of iron and iron are production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reference to the results of analytic study of the relics and metals. It confirmed char both the structures of furnaces and their iron products are different in different processes. In addition, in the ancient Korean culture of iron and iron-making, different furnaces and facilities were used in producing cast iron, forged iron, and steel.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since a variety of iron-making and steel-making furnaces were in use in Silla by the third century, it is almost certain that steel was manufactured prior to the third century. This is significant in connection with the finding of steel material in the analysis of iron ware from the Samhan era. It was possible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Sill a iron manufacturing culture at Hwangseongdong through the study of iron-making processes and their accompanying conditions, the structure of furnaces, the distribution of iron mines, the location of iron manufacturing and charcoal furnace sites, and ventilation pipes and molds. It is possible that the mass production of iron and iron ware,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 political and economic hierarchy brought about by an increase in production capacity and a change in production method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cial reform in Silla.
김호상 경주사학회 2013 경주사학 Vol.0 No.37
삼베[麻布]는 문헌의 기록이나 남겨진 유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오랜 기간 우리민족에게는 가장 일반적인 의복의 재료일 뿐만 아니라 민족의 전통문화가 고스란히 스며있는 상징물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베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급격한 사화적인 변화와 기술의 발전으로 공장제 면·견직물의 대량생산으로 급격하게 소멸되었고, 현재는 그 명맥만을 유지하는 정도이다. 이 논문에서는 삼베길쌈과 관련된 연구현황을 통하여 국내의 연구는 복식사적 연구, 경제학적 연구, 사회경제사적 연구, 인류학 및 민속학적 연구, 고고학적인 연구 등 다양한 방면에 걸쳐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초적인 문헌의 검토와 삼의 재배과정과 삼가마에 대해서는 언급이 매우 미약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삼이 재배되어지고 있는 안동시 임하면의 금소리와 고곡리의 삼 재배과정과 삼가마의 현황 등을 고찰하였다.
COVID-19 팬데믹에 따른 연안환경의 변화와 해양생태계 영향 고찰
김호상,이청재,이정현,김태우,이인옥,김종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3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26 No.1
COVID-19 사태가 전세계적으로 장기화됨에 따라 사회적 봉쇄 조치 및 방역용품 사용 의무화 등으로 사람들의 생활 방식이 바뀌었다. 본 연구는 문헌 리뷰를 통해 COVID-19가 변화시킨 사람들의 생활 방식이 연안 생태계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리뷰는 COVID-19가 확산되기 시작한 2020년 이후에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연안 환경 및 연안 서식 생물 영향은 지역별, 생물 분류군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COVID-19 확산 이후 많은 지역에서는 연안 쓰레기가 줄고, 연안 서식 생물 개체수가 증가하는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이는 환경을 교란시키고 생물에 스트레스를 주었던 관광 및 산업 활동이 사회적 봉쇄 조치로 인해 감소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안 환경이 악화되고 연안 서식 생물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난 경우는 코로나바이러스 전파를 막기 위한 방역 활동의 영향이 컸다. 버려진 마스크나 일회용 장갑 등이 연안에서 발견되는 빈도가 증가했고, 마스크나 소독제 등의 잔여물은 생물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종 풍부도를 감소시키기도 하였다. 리뷰를 통해 팬데믹은 인간의 생활뿐만 아니라 질병과 관계없는 생물 및 환경까지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짧은 기간일지라도 인간 활동의 제한은 생태계를 일부 회복시킬 수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인간 활동과 생태계와의 긴밀한 연결성을 보여주며, 연안 생태계 관리를 위한 기초 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김호상,최진욱 경주사학회 2009 경주사학 Vol.0 No.30
신라왕경연구는 신라사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연구과제이지만 최근까지도 고고학적 연구결과에 중점을 둔 도시계획적인 측면에 치중·국한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 결과 도시계획적 측면으로는 많은 부분에 있어 성과를 올린 것도 사실이나 왕경연구의 폭을 확대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라왕경의 유지와 운영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요소였던 창고시설의 기능과 성격 등을 밝혀 조금이나마 신라왕경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신라시대 전반적으로 모든 창고는 왕실의 권위에서 자유롭지 못했다는 사실과 왕경을 보호하는 주변 산성의 내부에 위치했던 입지를 통해 그 기능과 성격을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