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자인 개발에서 기업 고유의 제품이미지 중시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호곤(Kim, Ho Go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0 디자인지식저널 Vol.13 No.-

        본 연구는 기업에서 디자인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211명의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디자인 개발에서 기업 고유의 제품이미지 중시가 기업성과 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기억, 이미지와 태도, 제품차별화와 제품이미지, 제품이미지와 기업성과 둥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분석에는 SPSS 12.0의 통계프로그램으로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디자인 개발 시 기업 고유의 제품이미지 중시는 기업성과인 매출액, 영업이익, 기업이미지, 시장점유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과 가설검증의 결과에서 동일하게 나타남으로써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주고 있다. 지금까지 기업의 고유한 제품이미지의 중시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주로 단편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경험적으로 인식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서 이들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큰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범위를 고유의 제품이미지 중시가 기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한정하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적용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차후의 다른 연구들을 통해서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corporate product image centered design development influence to the business performances. Preceding researches on memory, image and attitude, product differentiation and product image, product image and corporate performances were used to develop hypothesis.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with 211 designers in order to test relationship. Main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have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Corporate product image centered design development has positive effect on sales, benefit, corporate image, market shar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has been discussed.

      • 전략적 리더십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한 조직 창의성의 조절효과

        김호곤(Ho gon Kim) 대한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3 No.3

        제품이나 서비스에 있어서 기술적 격차의 축소와 가격경쟁력의 약화가 보편화 되고 있는 현대의 경영환경에서 기업들이 특히 주목하는 것이 최고경영자의 전략적 리더십과 창의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고경영자의 전략적 리더십과 창의 성 및 기업성과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미한 실정임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직장에 소속하고 있는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실시한 346 부의 설문지를 상관관계, 계층적 회귀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략적 리더십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조직 창의성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전략적 리더십 (성취지향, 변화추구, 도전정신)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조직 창의성은 전략적 리더십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매개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문적 관점에서는 현대 경영환경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전략적 리더십과 조직 창의성 및 기업성과의 관계를 실증분석의 방법으로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 실무적으로는 전략적 리더십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조직 창의성이 조절한다는 사실을 제시함으로써, 경영성과의 향상을 위한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에 지나치게 편중하는 현대의 경영관행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leade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with 346 designers at Korean firms. Main tests are composed correlation,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rategic leadership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business. Second, organizational creativity has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leade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CEO의 전략적 리더십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한 제품 차별화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김호곤(Ho gon Kim) 대한리더십학회 2011 리더십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제조업 조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전략적 리더십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제품 차별화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소재 제조업체의 중간계층의 조직원 23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상관관계, 계층적 회귀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취지향, 변화추구, 모험정신 등 세 차원을 가지고 측정한 전략적 리더십은 기업이미지와 시장점유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제품 차별화 전략은 전략적 리더십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매개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결과들이 제공하는 시사점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학문적 관점에서 현대 경영환경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전략적 리더십과 제품 차별화 전략 및 기업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그 실체를 최초로 밝혔다. 둘째, 실무적 차원에서 제조업의 제품차별화 전략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즉, 제품차별화 전략은 CEO의 리더십 스타일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촉매역할을 수행하므로 CEO의 스타일과 제품전략을 일치시키려는 실무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와 앞으로의 연구주제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roduct differentiation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leade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with 232 designers at manufacturing firms. Main tests are composed of correlation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rategic leadershi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orporate image and market share. Second, product differentiation strategy has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leade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was provided.

      • 디자인 컨설턴트의 탄생과 전성기 컨설턴시의 조직구조에 관한 연구

        김호곤(Ho-gon Kim),차종석(토론자) 한국전략경영학회 2005 한국전략경영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 No.-

        오래 전부터 조직이론분야에서는 조직구조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리고 이들 연구의 결과는 상황이론적 관점에서 조직의 규모, 기술, 그리고 환경 등이 조직구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라는 결론을 제시해 왔으며, 비교적 최근에 권력통제의 정도, 최고경영자의 태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br/> 제1차 대전 이후 전후 특수를 누리던 미국의 경제는 대공황의 발발로 소비가 급속도로 위축되자 제조업자 간의 판매 경쟁은 극도로 격화되는, 경영환경이 사상 최고 수준의 불확실성과 급변성을 가지고 있던 상황을 직면하였으나, 당시 출현한 디자인 컨설턴시는 주목할만한 경영성과의 창출로 주목을 받고 있었다.<br/> 본 연구는 주목할만한 성과의 창출 결과로 부와 명예를 동시에 가지게 되었던 디자인 컨설턴시의 조직구조와 극도로 불확실한 환경과의 관련성을 규명해 보고자 하는 의도로 출발하게 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지식 또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전문조직 구조의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치열한 경쟁과 불확실성 시대에 놓여 있는, 디자인 컨설턴시를 포함한 대다수 기술 혁신형 기업들의 조직구조 설계와 관리체계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Long-term studies on factors of determining structure have drew the conclusion that key factors are scale, technology, and environment of an organization in terms of contingency theory. Other studies made more recently suggested that the degree of power control or attitudes of CEO make a difference.<br/> Having enjoyed prosperous times after World War I, the American economy, with the Depression, had to face sharply decreased public consumption, intensified competition among manufactures, and unprecedented uncertainty or unstableness of circumstances. However, newly emerged design consultancies attracted exceptional attention to their outstanding business performance.<br/>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view of finding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structure of design consultancy and extremely uncertain environment. This will also be able to offer a theoretical basis in structuring professional organization based on knowledge or technology and provide some practical advice in designing and managing structure of technology-innovative companies, which are confronted with fierce competition and uncertain environment, including design consultancies.

      • KCI등재

        부품의 디자인 요소와 디자인 만족도의 관계

        김호곤(Ho Gon Kim),박성근(Sung Keun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IT 제품 관련 부품의 디자인 개발에서 려되어야 할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디자인만족도와 디자인 요소의 관계를 검증한 실증적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고, 통계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디자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인을 도출하였다. Likert형 7점 척도로 설계한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의 심미성, 상징성, 물리성, 정체성, 인간공학성, 환경친화성 등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IT 관련 제품 부품의 디자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제성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다소 소홀해 왔던 부품의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도 경제성을 제외한 이들 요소들을 심도 있게 반영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부품의 디자인 요소와 디자인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의 시도는 디자인 연구 범위 확대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factors and design satisfaction to identify the design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development of the accessories of the IT product. Based on previous studies, design elements were extracted,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ere used to determine the design elements. Likert`s 7 point scale survey designed to collect data, us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design factors such as aesthetics, symbolism, physical, identity, ergonomics, environmental friendliness, affects the design satisfaction of IT-related accessories, but ergonomics of design is not. This result means that these elements except economics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accessories design that until now have been somewhat neglected. And because the attempts of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elements of accessories and design satisfaction suggest the possibility and the necessity about expanding of the design research scope,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 KCI등재

        전략적 디자인 관리와 기업이미지의 관계

        김호곤(Ho Go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학계와 업계의 중요성 인식에 비해 연구가 저조한 전략적 디자인 관리가 기업이미지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략적 디자인 관리의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측정도구와 기업이미지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먼저 전략적 디자인 관리와 관련한 핵심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13명의 학계 및 업계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pilot study를 실시하여 전략적 특성, 구조적 특성, 관리적 특성 등 세 가지의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그 후, 이들 세 가지의 요인들의 정도에 따라 기업이미지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153개의 전기전자제조업체에 종사하는 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의 요인들은 전략적 디자인 관리 측정도구로써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기업이미지를 종속변수로 하여 전략적 디자인 관리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략적 특성, 구조적 특성, 관리적 특성 모두 기업이미지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가 향후의 전략적 디자인 관리 연구에 주는 학술적, 실무적 의미를 토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design management and corporate image. This study empirically developed factors of strategic design management, and tested their relative effectiveness in terms of corporate image in two different studies. A pilot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a panel of 13 design experts from academicians and design practitioners, resulting in three strategic design management-related factors-strategic characteristic, structural characteristic, managerial characteristic. Later,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with 153 designers or product developer in electronic goods manufacturing firms in order to test corporate image differences between the strategic design management group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porate image exists between high and low group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has been discussed.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